$\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려 장천1호분 귀부인의 유(襦)와 군(裙)의 재현에 관한 연구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Noble Womans Yu(jacket) and Gun(skirt) on Wall Painting of Jang-Cheon No.1 Tomb in Goguryeo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3, 2014년, pp.32 - 46  

이호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olution for Goguryeo costume and its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accessori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in precedent studies and were treated as irrelevant subjects. The specific object of reconstruction with identification from the historical vi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증재현 작업 시에 논의되어야 할 문제점은? 또한 고증재현 작업 시에 논의되어야 할 문제점이몇 가지 제기되었다. 우선 고구려 복식은 대부분 벽화에 묘사된 것을 재현하게 되는데, 이때의 자료가 실물이 아닌 회화이기 때문에 그 표현방식에 따라 실제 형태의 왜곡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른 형태로 표현될 가능성이 있다.15) 이는 곧 복식 착용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으며, 결국 정확하지 않은 착용법으로 미완성적인 재현의 결과물이 보일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남자 포(袍)의 표현에 있어, 기본적으로 전개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간과하고, 관두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형태의 왜곡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색채와 문양, 비슷한 실루엣과 태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 선택, 전체적인 상의와 하의의 비례 문제 등이 나타났다. 특히 문양의 경우에는 제작자의 주관적인 의지가 반영되어 점문양을 왜곡시킨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표현하는 등의 문제도 파악되었다. 따라서 상의의 경우 깃의 형태와 여밈의 방향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며, 주름치마 혹은 색동치마인 군의 경우, 각 폭의 연결방법과 착용 실루엣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작 방법에 대한 논의가 더욱 심도 있게 요구된다.
복식유물의 복제는 목적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고증(historical research)의 사전적 의미는 옛 문헌이나 유물에 기초하여 증거를 찾아 밝히는 것3)으로, 사학, 건축, 문헌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복제(reproduction, replication)는 본디의 것과 똑같은 것을 제작하는 것, 또는 제작된 것 자체4) 라는 의미를 가지며, 복식유물의 복제는 목적에 따라 복원복제(Restoral Replication)5)와 현상복제(Current Replication)6)로 구분할 수 있다.7) 재현(reproduction)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사실이나 현상이 다시 나타나는 것 또는 다시 나타나게 하는 것8)이며, 일반적으로 인간이 관찰하는 외부의 세계에 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이 이미 존재하고 있고, 그것이 인간을 거쳐 다시 나타내어지는 것9)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증(historical research)의 사전적 의미는? 본 연구와 같이 고증, 복제, 재현의 방법을 통한 복식사의 연구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고증(historical research)의 사전적 의미는 옛 문헌이나 유물에 기초하여 증거를 찾아 밝히는 것3)으로, 사학, 건축, 문헌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복제(reproduction, replication)는 본디의 것과 똑같은 것을 제작하는 것, 또는 제작된 것 자체4) 라는 의미를 가지며, 복식유물의 복제는 목적에 따라 복원복제(Restoral Replication)5)와 현상복제(Current Replication)6)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2005년도 춘계 KOSCO전(2005. 5. 7-5. 11, 숙명여자대학교) 

  2.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68. 

  3.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4. 

  4.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 

  5.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884. 

  6. 김민수 (2003), 건축에서 재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2. 

  7.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 1. 

  8. 봉현숙, 이상은 (2000), TV사극드라마 의상의 고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 pp. 113-136; 

  9. 김경실 (2002),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복식, 52(6), pp. 1-13 

  10. 이태옥, 윤현진, 조우현 (2005), 악학궤범의 처용무복식 고증제작,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pp. 1-13 

  11. 한은희 (2005), 명성황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20 

  12. 김문자 (2006), 춘향전에 등장하는 주요 여자복식 고증연구, 韓服文化, 9(2), pp. 41-58 

  13. 이은주, 박가영 (2007), 조선시대 궁중의례 재현행사를 위한 고증복식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궁중의례 재현사업을 중심으로, 韓服文化, 10(1), pp. 115-127 

  14. 이영혜 (2010), 2000년대 대중문화와 사극의상-TV드라마.영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63 

  15. 손윤혜 (2012), 조선후기 왕세자 입학례 복식 고증,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28 

  16. 곽경희 (2013), 조선시대 후기 궁중 어린이복식에 관한 연구 및 재현: 영친왕 일가 중 진왕자와 구왕자의 유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6 

  17. 박정식 (1989), 텔레비전 드라마 원효대사의 고증과 실제: 복식 중심, 배화논총, 8, pp. 51-101 

  18. 김영재 (2000), 왕회도에 나타난 우리나라 삼국사신의 복식, 韓服文化, 3(1), pp. 17-25 

  19. 박현정 (2000), 고구려 수산리벽화 남자주인 포 고증제작을 위한 실험적 연구, 韓服文化, 3(3), pp. 95-104 

  20.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제작, 韓服文化, 4(1), pp. 73-87 

  21. 정희정 (2003), 고구려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자 복식의 고증제작 연구 -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7 

  22. 조우현 외 (2007), 대가야복식: 1500년만의 화려한 외출, 서울: 민속원, pp. 1-270 

  23. 최해율 (2008), 고려 초중기 기녀의 고증복식 캐릭터 연구, 복식, 58(7), pp. 151-163 

  24. 최정 (2010), 원의 진주 장식방법 및 고려 후기 제국 대장공주의 진주의 형태 고증연구, 복식, 60(6), pp. 48-61 

  25. 김문자 (2011),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주요인물복식고증, 복식, 61(7), pp. 135-151. 

  26. 최정 (2011), 황성동 출토 여성토우의 복식고증과 돌코스튬 응용디자인 연구, 복식, 61(7), pp. 67-79 

  27. 권수현 (2008), 고구려 복식의 고증을 기초로 한 구체관절인형복의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43 

  28. 한국복식학회, 한성백제박물관 편 (2012), 이천년의 고도, 우리옷의 재발견 2012 KOSCO Costume Exhibition, 서울: 한국복식학회, p. 71. 

  29. 서울대학교 박물관 편 (2000), 역사와 의식, 고구려의 숨결을 찾아서, pp. 10-17 

  30. 한복문화학회 (2001), 한국의상전 -고구려고분벽화 복식, pp. 16-75 

  31. 특별기획전 고구려! 행사추진위원회 편 (2002), 특별기획전 고구려!, pp. 160-169 

  32. 한복문화학회 (2003), 한국민족복축제, pp. 16-27 

  33.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p. 358-361 

  34. (사)한국궁중복식연구원 편 (2008), 궁중복식 儀禮美-하늘과 땅을 품은 옷-, pp. 14-15, pp. 18-20. 

  35. 임현숙 (2009), 고구려복식재현을 위한 장식문양 연구-고구려 복식관 실행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1, pp. 94-106. 

  36.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01-205. 

  37.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6-17. 

  38.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24-330. 

  39.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31-333. 

  40. 隋書, 卷81, 列傳, 第46 東夷, 高麗, "婦人裙?加?"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124.) 

  41. 北史, 卷94, 列傳, 第82, 高句麗. "婦人裙?加?."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42.) 

  42. 周書, 卷49, 列傳, 第41, 高麗, "婦人服裙?, ?袖皆爲?."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一, p. 596.) 

  43.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5. 

  44.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9-100. 

  45. 홍정민 (2001), 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에 관한 연구-장천1호분, 삼실총 벽화를 중심으로-, 韓服文化, 4(3), p. 47. 

  46.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47.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48. KBS 한국방송공사 편 (1998), "영상복원-무용총 고구려가 살아난다", 역사스페셜 10월 17일 방송분, CD-ROM 

  49. KBS 한국방송공사 편 (2000), "북녘 땅 고구려 고분벽화, 무엇을 그렸나?", 역사스페셜 6월 17일 방송분, CD-ROM 

  50. KBS 한국방송공사 편(2002), "월드컵 특별기획 역사스페셜 제 2편, - 고분벽화, 되살아나는 고구려", 역사스페셜 6월 8일 방송분, CD-ROM. 

  51. 朝鮮?報社편 (1986), 高句麗古墳壁畵, 日本東京: 朝鮮?報社, pp. 17-264 

  52.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53. 황욱 (1958), 안악 제3호분 발굴보고, 평양: 과학원출판사, pp. 25-32. 

  54. 최몽룡 (2000), 흙과 인류, 서울: 도서출판 주류성, pp. 145-149. 

  55.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94-203. 

  56.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57. 박일록 (2004), 한국 견의 역사학적 연구, 서울: 경춘사, pp. 97-119 

  58.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8. 

  59.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99. 

  60. 新羅本紀, 第十一, 景文王, 九年, 秋七月, ...大花魚牙錦一十匹. 小花魚牙錦一十匹. 朝霞錦二十匹. 四十升白疊毛布四十匹. 三十升紵衫段四十匹..., (김부식 (2005), 삼국사기(제 8 개정판), 이병도 역, 서울: 을유문화사, p. 302.) 

  61. 김소현 (2003), 실크로드의 복식 호복, 서울: 민속원, pp. 52-53. 

  62.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7-19. 

  63. 한경순 (2003), 高句麗古墳壁畵와 古代유럽壁畵의 比較硏究-壁畵製作技術을 中心으로-, 高句麗硏究 16권, pp. 217-239. 

  64. 안병찬 (2003), 高句麗古墳壁畵의 製作技法硏究-바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高句麗硏究, 16, pp. 457-473. 

  65. 이호정, 조우현 (2012),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근대복식 고찰, 복식, 62(4), p. 23. 

  66. 자료조사일: 2013. 6. 29, http://www.dychemi.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86785501&category001002 

  67.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85. 

  68.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221-223. 

  69.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 220. 

  70.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