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지정도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Degree of Recognition for Smart Phone Syndrome of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8 no.4, 2014년, pp.941 - 948  

김태희 (Department of Information Security, Dongshin University) ,  강문설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Gwangju University)

초록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정신과 신체 건강, 학업,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스마트폰 증후군도 어느 사이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식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1일 평균 5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건망증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을 포함한 스마트폰 증후군이 매우 심각한 상태로 분석되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mart phone became popular, a word smart phone syndrome is also commonly used among us. Its excessive uses cause adverse effects on daily lives such as mental and physical health education and individual relationships. This paper targe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mostly using smart ph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2]된 대학생들을 표 2와 같이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식 수준,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건망증, 카카오톡 의존도 및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대응 방안에 대하여 2013년 12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2,3]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지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디지털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 결과와 각종 발표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까지 밝혀진 스마트폰 증후군의 종류를 조사하고, 세 그룹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지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스마트폰을 잠시 손에서 내려놓은 채 직접 찾아보고, 머리를 굴려 쓰고, 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지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디지털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 스마트폰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편리함을 조금만 포기한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여유를 되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윤리 교과목을 수강한 A 그룹 학생들에게 스마트폰 증후군의 개념, 종류, 증상, 자가진단, 예방 및 해결 방안을 찾아 보고서로 정리하여 제출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스로 스마트폰 증후군을 스스로 인지하고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찾아 실천하려고 노력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줄이고 오프라인의 여유를 찾자는 ‘디지털 디톡스’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잠시 손에서 내려놓은 채 직접 찾아보고, 머리를 굴려 쓰고, 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지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디지털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증후군에는 무엇이 있는가? 2013년 말까지 알려진 스마트폰 증후군은 SNS 피로증후근, 가수면증, 거북목(일자목) 증후군, 나르시시즘, 근막통증 증후군, 디지털 건망증(치매), 디지털 중독, 목 디스크, 비염․기관지염유발, 소음성 난청, 손가락 관절염, 손목터널 증후군, 수면 장애, 스마트폰 강박증, 스마트폰 노안(눈), 스마트폰 노안(얼굴), 스마트폰 어깨 증후군, 스크린 불면증, 슬개대퇴 증후군, 안구 건조증, 우뇌증후군, 유령진동(진동착각) 증후군, 유아스마트폰 증후군, 정보피로증후군, 팝콘브레인 증후군, 학습 장애, 항문 질환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 치매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에 과도하게 의존한 나머지 기억력이나 계산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을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라고 한다. 그러나 디지털 치매는 정식 병명이 아니다.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여 나타나는 몸의 이상신호는? 이러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우리 몸에 이상 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손저림증, 목 통증, 어깨 통증, 시력 저하 등 여러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스마트폰 과다사용 증후군(smartphone overuse syndrome)” 또는 “스마트폰 증후군(smartphone syndrome)”이라고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aehee Kim et al, "Typ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Side Effects of using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7, No. 12, pp.2984-2994, Dec. 2013. 

  2. KAA, "2013 KAA Media Research", Journal of Korea Advertisers Association, Vol.11-12, pp.27-31, 2013. 

  3. Hwa Jo, "Study on usage of gender and age of smartphone users", Internet & Security Focus, pp.35-51, Nov. 2013. 

  4. NIA, Internet Addiction Survey : 2012 Summary Report, MSIP, Jun. 2013. 

  5. KISA, 2012 Survey of smartphone use, KISA. Dec. 2012. 

  6. Kangtak Oh et al, "The 'Smart Life' Revolu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3, No.4, pp.21-43, Dec. 2012. 

  7. Younha Cho, "Study on Policies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et Detox",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3, No.4, pp.62-85, Dec. 2012. 

  8. Hasung Hwang et al,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JJCS, Vol.25 No.2, pp.277-313, Apr. 2011. 

  9. Beongwan Chu, "Internet addiction and caring for self: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Internet & Security Focus, Vol.3, No.4, pp.44-61, Dec. 2012. 

  10. Jongman Le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Use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Class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8, No. 4, pp.191-199, Apr. 2013. 

  11. Bokim Le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26, No.1 , pp.45-53, Jan. 2013. 

  12. Bonghyun Kim et al, "A Study on Voice Analysis by Withdrawal Symptoms Identific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 20 Male College", The Journal of the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Vol.38C, No.3, pp.233-238, Mar. 2013. 

  13. Sungbo Ha et al, "Inquiry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Using Form and Environment of Smart Phon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7, pp.89-99, Jul. 2011. 

  14. Hangmin Cho,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and Consequent New Risk Typ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8, pp.353-364, Aug. 2011. 

  15. Ilyoung Yang et al, "Exploring smartphone early adopters categories on the basis of motivations", KJJCS, Vol.55 No.1, pp.109-139, Feb. 2011. 

  16. Jaiyoung Kim, "Types of smart phones and consumer views", Consumer Policy Review No. 11, pp.1-17, Apr. 2010. 

  17. KIAC(Korea Internet Addiction Center),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 Self-report" http://www.iapc.or.kr/dia/survey/addDiaSurveyNew.do?dia _type_cdPAAS 

  18. Mehye Lee, "Counterattack of Digital Dementia", Livingsense (http://ilivingxense.co.kr), Dec 2013. 

  19. Mehye Hur, "SNS toxicity : Severe than alcohol and tobacco", Itdonga(http://www.itdonga.com), Ma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