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방형상과 홍수파형에 의한 제방의 파이핑 안정성 평가
Levee Stability Assessment Depending on Levee Shape and Flood Wav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4, 2014년, pp.307 - 319  

강태운 (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  안현욱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연구원)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의한 재난이 빈발하고 있어 미국이나 네덜란드 같은 제방 선진국에서는 특수한 경우 적게는 500년, 크게는 10,000년 빈도의 홍수위까지도 고려하는 극단적인 수준의 제방설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몇 년간 국가하천을 중심으로 대하천 정비사업이 추진되었다. 주로 하천준설과 제방증축 및 신축 등으로 진행된 사업에 의해 하천환경이 광범위하게 변화되었으나 제방의 안전과 관련된 하천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침투감지시스템 Testbed가 구축되어 있는 낙동강 회천의 율지제를 대상으로 제방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간극수압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 지하수 침투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파이핑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제방의 형상과 홍수파형에 따른 침투현상을 모의하여 제방안정성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the rapid rising of water related disasters due to the global warming, the extreme design criteria of levee construction for severe flood has been applied in several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Netheland. In Korea, the nation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on 4 maj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하천 정비사업으로 달라질 수 있는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홍수파형과 제방형상에 따른 침투거동을 모의하고 그에 따른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예측모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978 cm/s로 산정하였고 모든 Case의 모의결과에서 침투유속이 한계유속의 1/100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수경사에 의한 파이핑의 안정성만을 고려하고 한계유속에 의한 파이핑의 안정성 분석은 생략하기로 한다.
  • 본 연구는 실제제방에서 관측한 자료와 침투모의결과를 분석하여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율지제를 대상으로 2차원 침투유동을 분석 하였고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설치한 센서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통해 침투모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변화요인들이 침투 거동과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비정상-불포화 침투모형인 SEEP/W를 사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실제 제방을 대상으로 침투모의를 수행하였고 제방에 설치된 센서를 통한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대하천 정비사업으로 달라질 수 있는 홍수 파형과 제방형상에 따른 지하수 침투거동을 Case별로 모의하여 제방의 안정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차원 침투모형을 사용하여 제방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낙동강본류의 영향을 고려하기 힘들다는 모형의 한계를 고려하면 이러한 지하수위 변동경향의 유사성은 모형의 기본적인 검증자료로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구축된 모형을 통한 안정성 분석의 신뢰도를 높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방파괴로 인한 피해를 저감을 위해 하천수 변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분석해야하는 이유는? 이때의 강우유출은 하천으로 집중되며 하천수위의 상대적인 급상승과 급강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하천수위의 급변동은 제방의 내구성에 손상을 주어 국부적인 제방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급상승한 하천수의 제방침투는 제체내 침윤선과 침투유속, 동수경사를 변화시켜 강우가 끝난 후에도 제방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제방파괴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하천수 변동 및 침투-제체내 지하수위 변동-제방의 안정성 변화로 이어지는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한 문제점은?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홍수, 가뭄, 태풍과 한파 등 과거의 경향분석만으로는 예측이 어려운 자연재해가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그리고 한파 등의 영향으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근래에 들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천수위의 급변동은 어떤 문제의 원인이 되나? 이때의 강우유출은 하천으로 집중되며 하천수위의 상대적인 급상승과 급강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하천수위의 급변동은 제방의 내구성에 손상을 주어 국부적인 제방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급상승한 하천수의 제방침투는 제체내 침윤선과 침투유속, 동수경사를 변화시켜 강우가 끝난 후에도 제방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tieres, O., Beck, Y.L., Fry, J.J., Guidoux, C., and Pinettese, P. (2012). Monitoring of Earthdams Leaks and Stability with Fibre-Optics based Monitoring System, 8th ICOLD european Club Symposium, pp. 432-437. 

  2. Brunch, P.G. (1993). A Laboratory Study of Evaporative Fluxes in Homogeneous and Layered Soils, Master thesis, Saskatchewan University. 

  3. Choi, J.J. (2006). Reasonable Seepage measure of Levee, Ma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4. Geo-Slope International Ltd. (2004). Seepage Modeling with SEEP/W 2004. Calgary, Alta., Canada. 

  5. Im, D.K., Yeo, H.K., Kim, K.H., and Kang., J.G. (2006). "Suitability Analysis of Numerical Models Related to Seepage through a Levee." J.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39 No. 3 pp. 241-252. 

  6. Jeon, S.J. (2009). A Study on the solution for the Dimensionless Flood Waves for the Unsteady Seepage Analysis of Levees, Doctoral Thesis, Suwon University. 

  7. Kang, M.S. (2003). A Study on The Stability of Levees in Nakdong River Considering Basin Characteristic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8. Kang, T.U. (2014). Study on the Stability of Seepages by River Level Fluctuation and Transform of Levee Shape,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 Kim, J.I. (2011). A analytical study on influence of gradients on section chatacteristics of river banks, Mater Thesis, Hangyang University. 

  10. Kim, K.H. (2004). A Analysis of current Urban Levee Design, Urban Flood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in Korean) 

  11. Kim, K.H. (2005). Design Technology for Levee-Seepage-, Urban Flood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in Korean) 

  12. Kim, K.H. (2008). Guide Line for Levee Design,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Urban Flood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in Korean) 

  13. Kim, Y.D. (2006). Analysis of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Levee and Determination of Depth of Cut-offWall according to Water Level and Flow Time, Master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14. Kim. J.M., Choi, B.H., and Cho, S.D. (2004). Evaluation of Affecting Factors for Seepage Analysis on Levee. 30th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 3381-3386. 

  15. Kwak, H.S. (2007). Influence of Embankment Shape on Exit Gradients in Levee,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16. KWR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5, 2009). River Design Standard. (in Korean) 

  17. KWRC.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3). Field Application and Analysis to Levee Leakage Monitoring Method. (in Korean) 

  18. Meer, M.T., Woldringh, R.F., and Knuuti, K. (2009). Comparison of the Dutch and American Levee Safety Approach, 2009 ASFPM Conference Orlando USA. pp. 59-68. 

  19.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Nakdong River Flood Control Office, Internet Homepage, http://www.nakdongriver.go.kr 

  20.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3). Planning Report for Jeonggok Levee Et al. in Nakdong River Improvement, Busa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in Korean) 

  2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4).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Report for Leve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n) 

  22.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4 Major River Master Plan. (in Korean) 

  23. Pradel, D., and Raad, G. (1993). "Effect of Permeability on Surficial Stability of Homogeneous Slopes" J. Geotech. Eng., Vol. 119, No, 2, pp. 315-332. 

  24. USACE. (2009). Guidelines for Landsacpe Planting and Vegetation Management at Levees, Floodwalls, Embankment Dams, and Appurtenant Structures, USACE, USA. 

  25. USACE. (2010). USACE Process for the 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NFIP) Levee System Evaluation, USACE, USA. 

  26. Van Genuchten, M.Th. (1980). "A Closed 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of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 Vol. 44, pp. 892-898. 

  27. Wang, H.F., and Anderson, M.P. (1995). Introduction to Groundwater Modeling, SaeronBooks. 

  28.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3). http://www.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