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시스템의 용수공급량 결정방법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Problems of Water Supply Capacity Determination in Water Resources System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4, 2014년, pp.331 - 342  

이광만 (Kwater, Kwater연구원)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수자원 계획에 있어 적정 용수공급량(계획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댐과 같은 중요 수자원시설물의 경우 한번 계획이 결정되면 이후 수십년간 국가 수자원 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 1980년대 이후, 보다 체계화된 수자원 계획이 시행되었음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댐에 적용되어온 신뢰도 지표의 분석방법이나 기준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자원시스템의 용수공급량 결정방법의 신뢰도 지표 문제점을 진단하고 적정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간신뢰도의 경우 분석시간단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분석시간단위와 평가단위시간을 달리할 경우 큰 차이를 보였다. 양적신뢰도는 기간신뢰도보다 2~3% 큰 값을 보이며, 회복도와 취약도 역시 분석시간단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water resources planning, to decide proper water supply capacity is a very important task. Once water supply system such as a dam is decided, it will affect whole range of water resources circumstances for a long time. Even though systematic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1980, many pro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iii) 과거 적용사례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평가하였으며, iv) 현재 이와 관련 제기되고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상세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v) 현재 수자원 평가와 관련, 논란이 되고 있는 신뢰도 지표 적용의 의문점에 대하여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이수안전도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댐을 단일운영조건으로 계획공급량의 충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의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저수지 모의 운영을 위해서는 상태변수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추적하기 위한 상태방정식을 수립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자원계획시 적용하고 있는 평가지표와 기준에 대한 의문점을 도출하고 평가방법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불확실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자원시스템의 설계 혹은 계획 공급량 결정을 위해 지금까지 적용되어 오고 있는 평가방법에 대하여 i) 기존 15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타당성,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정리하고, ii)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 지표의 적용 한계를 분석하였다.
  • 다음은 분석단위기간과 평가단위기간을 달리할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분석기간과 평가기간을 달리할 경우에 대한 결과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우리나라 수자원시스템의 용수공급 계획이나 저수용량 배분 사업에서 이용된 이론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가? 과거 우리나라 수자원시스템의 용수공급 계획이나 저수용량 배분 사업에서 주로 적용된 이론은 보장공급량(firm supply) 기준을 제외하면 대부분 신뢰도 지표에 근거하고 있다. 이의 개념은 Kritskiy and Menkel (1952)가 정의한 신뢰도라 할 수 있다.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신뢰도는 적용이 간편하고 수요와 공급의 상호관계(수요가 증가하면 지표가 나빠지고 저수용량이 증가하면 지표가 좋아지는)를 잘 나타내고 있어오래전부터 적용해오고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발생신뢰도, 기간신뢰도 그리고 양적신뢰도로 구분한다(Klemes, 1969).
과거 건설된 용수공급시설들에 대한 계획공급량 결정은 어떠한 문제가 있었나? 과거 건설된 용수공급시설들에 대한 계획공급량 결정은 개별 사업마다 나름대로의 특징과 이유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수문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이용 가능한 정보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 결과 계획 시설물의 용수공급량을 정하는 방법이나 과정도 당시의 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금까지도 분석절차나 방법의 오류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용수공급량 결정에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shimoto, T., Ste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2. Jinno, K., Zongxue, X., Kawamura, A., and Tajiri, K. (1995). "Risk assessment of a water supply system during drough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1, No. 2, pp. 185-204. 

  3. Klemes, V. (1969). "Reliability estimates for a storage reservoir with seasonal input." Journal of Hydrology, Vol. 7, pp. 198-216. 

  4. Kritskiy, S.N., and Menkel, M.F. (1952).Water Management Computation, GIMIZ, Leningrad, pp. 392. 

  5. Kundzewicz, Z.W., and Kindler, J. (1995). "Multiple criteria for evaluation of reliability aspects of water resources systems." Modelling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Basin-scale water Resources Systems (proceedings of a Boulder Symposium), IAHS Publication No. 231, pp. 217-224. 

  6. Kundzewicz, Z.W., and Laski, A. (1995). Reliabilityrelated criteria in water supply system studies. In: New Uncertainty Concepts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ed. by Z. W. Kundzewicz).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Lee, G.M., Cha, K.U., and Yi, J. (2013). "Analysis of Non-monotonic Phenomena of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in Water Resources System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2, pp. 183-193. 

  8. Lee, S.H., and Kang, T.U. (2006). "An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a Dam by Firm Yield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5, pp. 467-478. 

  9. McMahon, T.A., Adeloye, A.J., and Zhou, S.L. (2006). "Understanding performance measures of reservoirs." Journal of Hydrology, Vol. 324, pp. 359-382. 

  10.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6).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Revirsion).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12. Moy, W.-S., Cohon, J.L., and ReVelle, C.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pp. 489-498. 

  13. Safe Yield Committee. (2011). Safe Yield Committee of St. Helena City. 

  14. Srinivasan, K., Neelakantan, T.R., Shyamnarayan, P., and Nagarajukumar, C. (1999).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reservoir performance optimizati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5, No. 5, pp. 298-301. 

  15. State Water Control Board. (1985). Safe Yield of Municipal Surface Water Supply System in Virginia, Planning Bulletin No. 335. 

  16. Vogel, R.M., and Bolognese, R.A. (1995). "Storagereliability-resilience-yield relation for over-year water supply system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3, pp. 645-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