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급배수시스템에서 잔류염소 농도 균등화를 위한 재염소 처리
Rechlorination for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equalization in distribution system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8 no.1, 2014년, pp.91 - 101  

김진근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한지안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water treatment plants(WTPs) in Jeju island whose source water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mainland of Korea were investigated. Coefficients of bulk water decay($k_b$) of free chlorine at $5^{\circ}C$ for ES, GJ, NW WTPs were $-0.003hr^{-1}$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급과정에서의 잔류염소 농도는 환경부의 맛있는 물 가이드라인과 일본 동경도의 유리잔류 염소 관리 목표인 0.1 ~ 0.4 mg/L과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적정 재염소 지점 및 주입농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재염소 시설은 급배수시스템에서 적정 잔류염소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염소를 주입하는 시설로서, 본 연구에서는 잔류염소 조절이 가장 어려운 최악 조건에서 적정 재염소 주입 지점 및 농도를 모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수돗물 공급과정에서의 고농도 잔류염소 농도 유지로 발생할 수 있는 염소 냄새와 소독부산물 농도 등을 줄이기 위하여 공급과정에서의 잔류염소 농도를 저감하고 균등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한 수돗물의 생산공급을 위해 정수처리 공정에서 무엇을 필수로 해야 하는가? 안전한 수돗물의 생산공급을 위해 정수처리 공정에서 염소 소독에 의한 미생물의 불활성화(inactivation)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2002년 환경부에서 제정한 정수처리 기준에 의하면 바이러스와 지아디아의 불활성화 목표는 각각 4 log, 3 log 이상이며 이는 각각 99.
안전한 수돗물의 생산공급을 위해 환경부는 바이러스와 지아디아의 불활성화 목표를 어떻게 정하였는가? 안전한 수돗물의 생산공급을 위해 정수처리 공정에서 염소 소독에 의한 미생물의 불활성화(inactivation)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2002년 환경부에서 제정한 정수처리 기준에 의하면 바이러스와 지아디아의 불활성화 목표는 각각 4 log, 3 log 이상이며 이는 각각 99.99 %, 99.9 %의 불활성화율에 해당된다(MOE, 2014).
적정 잔류염소 농도의 유지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적정 잔류염소 농도의 유지는 수돗물 공급과정에서의 2차 오염 제어와 미생물 재성장 억제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국내 수돗물 공급 시스템은 전국 평균 누수율이 15 % 수준으로 단수 등 급배수과정에서 수압이 저하될 경우 상수관로내로 다양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MO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J. Lee, S. Rho, B. Choi, Y. Choi, J. Kim, H. Park, T. Park, C. Koo, J. (2007) Modeling residual chlorine and THM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J.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KSWW), 29(6) 706-714. 

  2. Cha, J. Kim, J. (2012) Leakage reduc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block system in Jeju city. J. of KSWW, 26(5) 693-703. 

  3. Fisher, I. Kastl, G. Sathasivan, A. (2011) Evaluation of suitable chlorine bulk-decay models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 Res. 45, 4896-4908. 

  4. Hallam, N.B. West, J.R. Forster, C.F. Powell, J.C. Spencer, I. (2002) The decay of chlorine associated with the pipe wall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 Res. 36, 3479-3488. 

  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vision of water supply (2014) www.jejuwater.go.kr. 

  6. Kim, D. Lee, D. Kim, K. Bae, C. Joo, H. (2010) Computing the dosage and analysing the effect of optimal rechlorination for adequate residual chlorine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J. of Korean Society of Env. Engineers, 32(10) 916-927. 

  7. Korea Water Works Association(KWWA) (2010) Standards for water supply facilities. 

  8. K-water (2014) www.kwater.or.kr 

  9. Lee, H., Park, J. Kong, M. Kang, S. Kwak, P. Lee, J. (2013) A Study on calculation of the pipe wall decay constants of residual chlorine and affecting factors in reclaimed water supply system. J. of water treatment, 21(2) 15-27. 

  10. Mays, L.W. (2000) Water distribution systems handbook, McGraw-Hill. 

  11.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06) Internal report. 

  12.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3) Water supply statistics 2012. 

  13.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4) www.me.go.kr. 

  14. Powell, J.C. Hallam, N.B. West, J.R. Forster, C.F., Simms, J. (2000) Factors which control bulk chlorine decay rates, Wat. Res. 34(1) 117-126. 

  15. Rossman, L.A. Clark, R.M. Grayman, W.M. (1994) Modeling chlorine residuals in drinkingwater distribution systems, 120(4) J. of Env. Eng. 803-820. 

  16. The Of fice of waterwork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2014) arisu.seoul.go.kr 

  17.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TMG), Bureau of waterworks (2014) www.waterworks.metro.tokyo.jp. 

  18. Uber, J.G. Boccelli, D.L. Summers, R.S. Tryby, M.E. (2003)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residuals through booster chlorination. AWWARF. 

  19. USEPA (2014) www.epa.gov. 

  20. Yoo, H.J. Kim, J.W. Jeong, H.J. Lee, H.K. (2003) Chlorine residual prediction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EPANET. Kor. J. env. hlth 29(1) 8-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