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만 서부 덕적도 사퇴의 탄성파층서 및 퇴적환경 연구
Seismic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Dukjuk-Do Sand Ridge in Western Gyeonggi Bay,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4 no.1, 2014년, pp.9 - 21  

이윤오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상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 경기만의 덕적도 서부에 발달하고 있는 사퇴해역에서 획득된 고해상 탄성파탐사자료, 해저면측사탐사자료, 표층퇴적물 및 주상코어시료에 대한 정밀분석과 연구가 실시되었다. 탄성파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의 층서는 3개의 퇴적단위(sequence I, II, III)로 구분되어진다. 최상부 퇴적단위 I은 $^{14}C$ 연대측정 자료에 의하면 5,000~6,000 yr BP경 본 해역이 해침을 받은 후 강한 왕복성 조류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단위 II는 주상코어 자료에 의하면 니질이 주로 분포하는 고 조간대 니질퇴적층으로 추정된다. 퇴적단위 III은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분포된 음향기반암 상부에 플라이스토세 말기로 추정되는 육성퇴적층인 자갈 내지는 조립질 퇴적물이 부정합으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해저면측사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 정상의 해저면은 모래파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대체로 조류의 방향과 일치하는 $N20^{\circ}W$ 방향이다. 사퇴 정상부에서 멀어지면 모래물결자국이 발달하고, 경사면에서는 균질한 사질로 분포한다. 표층퇴적물과 주상퇴적물(시료 VC-1, 2, 3)은 특정 내부 구조를 갖지 않는 비교적 균질한 중립토 내지 세립토(Mz, 1-$2{\phi}$)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high-resolution seismic data, side scan sonar data, surface sediments, and vibrocore samples from a sand ridge off the western part of Dukjuk-Do in Gyeonggi Bay, with the aim of interpretation of seismic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Based on the seismic data, the deposite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목적은 덕적도 서부해역에 발달하고 있는 사퇴에 대한 고해상탄성파탐사(high resolution seismic survey, 3.5 kHz) 자료에 의한 퇴적층서와 퇴적상을 규명하고, 탄성파음향기반암(acoustic basement)을 설정하여 상위에 쌓인 해저퇴적층의 부정합면 혹은 정합면에 의한 퇴적단위 구분과 퇴적층의 두께를 밝히고자하며, 또한 사퇴에 대한 퇴적환경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파탐사자료, 해저면측사탐사(side scan sonar)자료, 해저퇴적물 시료분석 그리고 주상시추자료 등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사퇴에 대한 수평적 및 수직적 퇴적양상을 파악하고, 고기후학적 퇴적환경과 퇴적의 역사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이 한반도 중부에 위치하고 섬주위에 조류의 방향과 평행한 사퇴가 잘 발달되어 있음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은? 경기만은 한반도의 중부에 위치하여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며, 이들 섬주위에 조류의 방향과 평행한 사퇴가 잘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넓은 조간대, 조류성사퇴 그리고 섬들 주위에 깊은 수로가 형성하고 있으며 깊은 곳은 60 m 정도 된다. 조류성 사퇴의 특성은 강한 왕복성 조류에 의한 사질퇴적물의 이동으로 조류방향과 대체로 일치하며 불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어 앞으로의 항만준설, 수중에 건설되는 교량이나 방파제 및 해상풍력 발전기 건설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건설을 위해서는 해저 퇴적구조의 규명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해상탄성파탐사는 어떤 탐사방법인가? 해양물리탐사는 해양공학 측면으로 보면, 해저자원탐사, 항만준설, 수중에 건설되는 교량이나 방파제의 기초 지반의 심도, 인공섬이나 매립지의 연약지반 분포상황, 해상풍력 발전기 건설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기초지반조사 활용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고해상탄성파탐사는 한 지점 개념의 해상시추 자료와 병행하여 퇴적환경과 공간적인 해저지층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아주 경제적인 탐사방법중의 하나이다.
해저 퇴적구조의 규명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넓은 조간대, 조류성사퇴 그리고 섬들 주위에 깊은 수로가 형성하고 있으며 깊은 곳은 60 m 정도 된다. 조류성 사퇴의 특성은 강한 왕복성 조류에 의한 사질퇴적물의 이동으로 조류방향과 대체로 일치하며 불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어 앞으로의 항만준설, 수중에 건설되는 교량이나 방파제 및 해상풍력 발전기 건설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건설을 위해서는 해저 퇴적구조의 규명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lliott, T., 1986, Siliclastic Shorelines. In: H. G. Reading (ed.),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faces, 2nd ed., Blackwell Sci. publ., Oxford etc., pp. 155-188. 

  2. Emery, K. O., 1967, Estuaries and lagoons in relation to continental shelves. In : Lauff, G.H. (ed.), Esturaries Amer. Assoc. Adv. Sci. Publ. 83, Washington, DC. pp. 9-11. 

  3. Folk, R. L. and Ward, W. 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 Sed. Petrology, 42, 973-974. 

  4. Lee, Y. O., Park, Y. S., Jhin, J. H., at al., 1994, Evaluation of aggregate resources report. (sea aggregate of northern Kyeonggi bay, Korea), In : Lee, D. Y., et al.,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Vol. 2, pp. 16-149(in Korean). 

  5. Lee, Y. O., Park, Y. S., Kim, S. W., et al., 1995, Evaluation of aggregate resources report. (sea aggregate of southern Kyeonggi bay, Korea.) In : Lee, D. Y., et al.,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Vol. 1, pp. 520-539 (in Korean). 

  6. Milliman, J. D. and Emery, K, O., 1968, Sea level during the past 35,000 years, Science, 162, 1121-1123. 

  7. Min, G. H., 1994,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f Pliocene-Holocene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shelf, Korean Peninsul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6p (in Korean). 

  8. Mitchum, R. M. and Vail, P. R., 1977,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 part 7 : Seismic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procedure. In : Payton, C. W. ed., Seismic Stratigraphy-Application to Hydrocarbon Exploration. A.A.P.G. Mem. 26, 135-143. 

  9. Park, S. C., Yoo, D. G. Lee, C. W., and Lee, E. L., 2000, Last glacial sea-level changes and paleo-geograph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Geo-Mar. Lett., 20, 64-71. 

  10. Suk, B. C., 1989, Quaternary sedimentation processes, structures and sea level changes in the Korea-Tsushima Strait Regions. PhD Thesis, Univ. tokyo, Japan. 246p. 

  11. Vail, P. R., 1987, part I :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procedure. In Bally, A.W. ed., Atlas of Seismic Stratigraphy, VI. A.A.P.G. studies parameter. Jour. Sed. Pet. 44, 295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