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유형지별 식생구조와 환경요인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jor Type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30 no.1, 2014년, pp.167 - 178  

윤정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용식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김기송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성정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박기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창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신현탁 (국립수목원) ,  이명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in South Korea were grouped into 4 types;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Fraxinus sieboldiana & Rhus javanica & Quercus mongolica and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Pru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따라 동북형, 금강형, 중부남부평지형, 안강형, 중부남부고지형, 위봉형 등 6개의 형질로 구분되는(Uyeki 1928)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의 서식 환경을 조사ㆍ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 형질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토양환경 뿐만 아니라 지형적 특성 및 빛 환경조건과 소나무 개체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환경에 따른 소나무 군집의 차이 및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따라 동북형, 금강형, 중부남부평지형, 안강형, 중부남부고지형, 위봉형 등 6개의 형질로 구분되는(Uyeki 1928)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의 서식 환경을 조사ㆍ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 형질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토양환경 뿐만 아니라 지형적 특성 및 빛 환경조건과 소나무 개체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환경에 따른 소나무 군집의 차이 및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T: importance percentage in tree layer, ST: importance percentage in subtree layer, S: importance percentage in shrub layer, H: importance percentage in herb layer, M: mean importance percentag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는 전세계적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전 세계적으로 한국과 만주, 일본 및 중국의 일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상록침엽수 가운데 가장 많은 식물종을 포함하며, 한반도에 25종이 생육한다. 이 가운데 5종이 자생하고 방크스소나무, 백송, 리기다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구주소나무 등과 같은 외래수종도 다수 식재되어 있다(Kong 2004).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따라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의 서식 환경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따라 동북형, 금강형, 중부남부평지형, 안강형, 중부남부고지형, 위봉형 등 6개의 형질로 구분되는(Uyeki 1928)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의 서식 환경을 조사ㆍ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 유형지별 개체군 형질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토양환경 뿐만 아니라 지형적 특성 및 빛 환경조건과 소나무 개체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환경에 따른 소나무 군집의 차이 및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소나무는 국가적인 보호책에도 불구하고 왜 면적이 감소하는가? 우리나라에서 소나무는 생활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하지만 국가적인 보호책에도 불구하고 솔잎혹파리 등의 각종 병해충, 환경변화, 자연감쇠 및 지구온난화에 따른 경쟁수종의 번성으로 점차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Lee and Hong 2004). 이에 따라 소나무에 관한 연구는 병해충(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IS. 2012.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Based on the Ecotyp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Ph. D. diss., University of Seoul.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3. Choi JW, Kwak JI, Lee KJ, Choi WK. 2009.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Environment Ecology 23: 447-459. 

  4. Choi SH, Kim JH. 2004. The Analysis of Forest Ecosystem in Wangpicheon Area,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 Korean Society Environment Ecology 17: 153-168. 

  5. Curtis JT,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6. Cho HJ, Lee CB. 2011.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Journal Korean Forestry Society 100: 118-123. 

  7. Jo JC, Cho W, Han BH. 1995.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Environment Ecology 8: 121-134. 

  8. Kim JG, Kim BK, Lee SK, Kim JC, Han SS, Cha BJ. 2012a. Research Article: Distribu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Naturally Infected Pinus densiflora and P. koraiensis and Migration of B. xylophilus in Artificially Inoculated P. densiflora Seedlings. Korean Society Plant Pathology 18: 101-108. 

  9. Kim JH, Choi SH, Cho W, Sung CY. 2012b. Vegetation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Korean Society Environment Ecology 26: 730-740. 

  10. Kim YM, Hong YP, Ahn JY, Park JI. 2012c. Mating System of Japanese Red Pines in Seed Orchard Using DNA Marker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5: 63-71. 

  11. Kim YS, Shin HT, Kang SK, Yoon JW, Kim GS, Sung JW, Park KH, Kim EJ, Yi MH. 2011.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s in Gyeongsangbuk-do,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 1-10. 

  12. Kong W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 528-543. 

  13. Korean Agricultural Information Institution. 2006.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Seoul, Korea. pp 366. 

  14. Lee CS, Lee WK, Yoon JH, Song CC. 2006.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 663-671. 

  15. Lee JH, Hong SC. 2004. Community Types and Population Struct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ound the Bulyeongsa Valley in Uljin-gu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 59-66. 

  16. Lim KB. 2001. Pinus densiflora. Daewonsa. Seoul, Korea. pp 144. 

  17. Lee KJ, Yim KB, Jo JC, Ryu CH. 199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23-32. 

  18. Lee KJ, Han BH, Lee OH. 1998.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Distan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493-505. 

  19. Lee KJ, Han BH, Lee HG, Noh TH. 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 1993 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 S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559-575. 

  20. Lee KJ, Ki KS, Choi JW. 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208-219. 

  21. Lee KJ, Cho W, Han BH. 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 115-125. 

  22. Ludwig JA, Reynolds JF. 1998. Statistical ecology: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John Wiley & Sons Publication, New York, pp 337. 

  23. Reich PB, Machado JL. 1999. Evaluation of several measures of canopy openness as predictors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in deeply shaded conifer-dominated forest understory.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1438-1444. 

  24. Park IH, Lee SM. 1990.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9: 196-204. 

  25. Park SG, Yi MH, Yoon JW, Si HT. 2012.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82-90. 

  26. Uyeki H. 1928. On the physioggromy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Corea and silvicultural treatment for its improvement.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College Suigen (Suwon). Korea 3: 263. 

  27.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