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태풍 내습 시 강수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PM10, NO2, CO, SO2)의 농도 변화 분석
Effect of the Rainfall during Typhoon Periods on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Ambient Air Pollutants (PM10, NO2, CO, SO2)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0 no.2, 2014년, pp.128 - 138  

안숙희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박소연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김정윤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김백조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centration variation of four air pollutants ($PM_{10}$, $NO_2$, CO, and $SO_2$) during the typhoon periods over 10 years (2002~2011). In this study, 10 typhoon events which had rainfalls in Korean Peninsula were selected during th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한반도에 영향을 끼치는 태풍의 경우 대부분 강수를 동반하므로 태풍 기간 및 태풍의 영향 전후에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의 영향기간 내 강수와 태풍 전후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통해 태풍에 동반된 강수에 의한 세정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에 수반된 강수로 인한 세정효과에 초점을 맞춰 대기질 개선을 정량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의 경우 여름철에도 고농도 현상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여름철 대기질 관리를 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태풍의 사회경제적 가치평가 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재난적 성격이 강한 태풍의 부정적인 측면이 아닌 긍정적인 기능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 강수를 동반한 10개의 한반도 영향 태풍을 선정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자료와 기상청의 강수량 관측 자료를 이용해 강수에 따른 태풍 전후의 대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 저감율을 분석하였다. 한반도 영향 태풍 시즌인 7월부터 9월까지 강수량의 34%가 태풍에 의한 것이었으며, 태풍기간의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월별 대기오염물질 농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태풍기간 내 강수와 대기오염물질 농도 감소 사이의 상관관계는 PM10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의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들은 어떤 과정에 의해 대기 중에서 제거되는가? 대기오염물질(air pollutant)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을 위협하고 식물이나 구조물에 해를 끼치며 환경을 유독화할 정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 액체, 혹은 기체 형태의 물질로 자연과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다(Min and Min, 2008). 대기 중의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들은 강수, 안개 및 응축 등에 의한 습식침착(wet deposition)과 강수의 영향 없이 진행되는 중력침강, 확산, 관성충돌 등에 의한 건식침착(dry deposition)의 과정에 의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일반 적으로 습식침착은 대기 중 입자상 오염물질이 구름 내에서 응결핵(nuclei)으로 작용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rainout 과정과 비 또는 눈 등의 강하 시 충돌, 간섭, 흡수 및 흡착과정에 의해 제거되는 washout (세정과정)으로 분류되고 대기 중에서 습식에 의하여 제거된 대기오염물질은 건식에 의한 침착량 보다 단시간 내 많은 양이 제거된다(Wesely and Hicks, 2000).
대기오염물질이란? 대기오염물질(air pollutant)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을 위협하고 식물이나 구조물에 해를 끼치며 환경을 유독화할 정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 액체, 혹은 기체 형태의 물질로 자연과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다(Min and Min, 2008). 대기 중의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들은 강수, 안개 및 응축 등에 의한 습식침착(wet deposition)과 강수의 영향 없이 진행되는 중력침강, 확산, 관성충돌 등에 의한 건식침착(dry deposition)의 과정에 의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 강수를 동반한 10개의 한반도 영향 태풍을 선정하여 태풍기간 중 강수와 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태풍기간 중 강수와 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태풍에서 영향기간 내에는 강수에 의해 대기질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강수가 끝난 뒤 바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태풍 기간 다음날에도 강수가 계속된 경우에는 태풍기간보다 더 많은 농도 감소를 보여 강수량이 많고, 강수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가 더 감소하였다. 또한 PM10의 경우, 강수가 끝난 직후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농도가 증가하거나 서해상에서 다가오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은 사례에서 농도가 더 높아졌고, NO2와 CO는 자동차 등록대수와 통행량이 많은 대도시를 위주로 농도가 높아졌으며, SO2는 고기압 하에서 낮은 풍속일 때 고농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haskar, B.V. and V.M. Mehta (2010) Atmospheric particulate pollut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eteorology in Ahmedabad, Aerosol Air Qual. Res., 10, 301-315. 

  2. Chate, D.M., P.S.P. Rao, M.S. Naik, G.A. Momin, P.D. Safai, and K. Ali (2003) Scavenging of aerosols and their chemical species by rain, Atmos. Environ., 37, 2477-2484. 

  3. Chate, D.M. and T.S. Pranesha (2004) Field Studies of aerosols by rain events, J. Aerosol Sci., 35, 695-706. 

  4. Jeon, B.I., Y.K. Kim, and H.W. Lee (1994)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_2$ Concentration Variation in Pusan, Korea, J. KAPRA, 10(4), 245-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W.S.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in Gwang-ju area, Doctor's thesisat Chosun University, 166 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MA (2011a) Typhoon White Book. National Typhoon Center of KMA, 345pp. 

  7. KMA (2011b) Analysis Report of Typhoon 2010, National Typhoon Center of KMA, 359 pp. 

  8. KMA(2012) Analysis Report of Typhoon 2011, National Typhoon Center of KMA, 299 pp. 

  9. Kwon, Y.S., D.W. Song, and K.H. Kang (1996) Studies on the Transportation and Wet Deposition of Air Pollutant ( $SO_{2}$ ) by Modeling and Precipitation Analysis in Wonju City, Anal. Sci. & Technol., 9(1), 98-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T.J., D.H. Shin, J.H. Cho, J.Y. Baek, and D.S. Kim (2009) A study on air pollutant concentration change cause by precipitation using data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for 1998-2007, Proceeding of the 49th Meeting of Korean Soc. Atmos. Environ., 506-5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im, D.Y., T.J. Lee, and D.S. Kim (2012) Quantitative estimation of precipitation scavenging and wind dispersion contributions for $PM_{10}$ and $NO_2$ using long-term air and weather monitoring database during 2000- 2009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8(3), 325-3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in, K.D. and G.H. Min (2008) Essentials of Meteorology, CENGAGE Learning, p. 301. 

  13. Mircea, M., S. Stefan, and S. Fuzzi (2000) Precipitation scavenging coefficient: influence of measured aerosol and raindrop size distributions, Atmos. Environ., 34, 5169-5174. 

  14. NIER (2011)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of MOE, 444 pp. 

  15. OH, S.M. (2012) The washout effect of summertime rainfall on air pollutants( $O_3$ , CO, $NO_2$ , $SO_2$ , $PM_{10}$ ) over South Korea, Master's thesis at Ewha Womans University, 33 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J.H., K.C. Choi, and Kasahara Mikio (1996)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erosols Scavenged by Rain Water, J. KAPRA, 12(2), 159-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J.K., B.S. Kim, W.S. Jung, E.B. Kim, and D.G. Lee (2006) Chan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tmos. of Korean Meteorol. Soc., 16(1), 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S.M., K.J. Moon, J.S. Park, H.J. Kim, J.Y. Ahn, and J.S. Kim (201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mbient aerosol during Asian Dusts and high PM episodes at Seoul intensive monitoring site in 2009, J. Korean Soc. Atmos. Environ., 28(3), 282-2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laude, N.O., E.A. Stulov, I.P. Parshutkina, Yu.B. Pavlyukov, and N.A. Monakhova (2012) Precipitation effects on aerosol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Russ. Meteorol. Hydrol., 37(5), 324-331. 

  20. Wesely, M.L. and M. Hicks (2000)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knowledge on dry deposition. Atmos. Environ., 34, 2261-2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