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암 광화대의 지질구조와 광화작용
Geological Structures and Mineralization in the Yeongam Mineralized Zon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1, 2014년, pp.1 - 15  

류충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박성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이한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에는 상은과 은적 그리고 바람재 광산이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목포-해남-영암 지역에 걸쳐 확인되는 대규모 화산성 환상구조의 북동부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인 상은-은적-바람재 지역에서 확인된 13개소의 석영맥광화대는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을 모암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남-북 내지는 북북서 방향의 주향에 서측으로 고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은, 은적, 바람재 지역에 발달하는 석영맥은 단일맥인 경우도 있으나, 주로 폭 1-5 cm의 맥들로 다발을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석영맥과 평행하게 발달하는 단층면의 발달로 보아 석영맥의 관입과 광화작용의 전후에 단층운동이 존재했음을 지시한다. 또한 이들 석영맥과 광화대는 광화작용 후기에 작용한 북서 방향의 좌향이동 단층에 의해 변위된 양상을 보인다. 북서 방향의 단층은 불치와 상은광산 부근에서 잘 관찰되며, 장동리와 장천리 일대의 석영맥의 분포나 선상구조에 의해서도 이 단층과 평행한 단층들이 발달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역의 서측인 상은적산 남측에서 서측으로 북서 주향의 석영맥이 관찰된다. 은적-상은 광상 주변에서 확인된 12개 석영맥의 현장조사 및 금, 은 품위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측으로 가면서 석영맥의 발달 양상이 미약해 지고 있다. 바람재 부근 광상의 경우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석영맥이 약 20 m 연장되고 있다. 섬아연석, 방연석 등 유화광물은 함유하고 있으나 금-은의 발달은 미약하다. 금품위가 평균 <0.1 g/t, 은품위가 평균 5.7 g/t으로 은적광산(금; 12.3 g/t, 은; 1,380.0 g/t)과 상은광산(금; 2.7 g/t, 은; 23.5 g/t)에 비해 남측으로 가면서 금, 은의 품위는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그 외 연, 아연 등 유화광물 함량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eongam mineralized zone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angeun, Eunjeok and Baramjai mines. This zone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Mokpo-Haenam-Yeongam volcanic circular structure. The 13 sites of quartz vein with mineralization are d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는 영암지역에 부존하는 은적, 상은 함금 열수광상의 연장을 추적하기 위하여 지표 지질 조사, 광화대의 형성과 관련된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지질구조 분석 및 광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에는 상은과 은적 그리고 바람재 광산이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목포-해남-영암 지역에 걸쳐 확인되는 대규모 화산성 환상구조의 북동부에 해당한다.
석영맥의 관입과 광화작용의 전후에 단층운동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 증거는 무엇인가? 상은, 은적, 바람재 지역에 발달하는 석영맥은 단일맥인 경우도 있으나, 주로 폭 1-5 cm의 맥들로 다발을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석영맥과 평행하게 발달하는 단층면의 발달로 보아 석영맥의 관입과 광화작용의 전후에 단층운동이 존재했음을 지시한다. 또한 이들 석영맥과 광화대는 광화작용 후기에 작용한 북서 방향의 좌향이동 단층에 의해 변위된 양상을 보인다.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는 어떤 지역에 해당하는가?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에는 상은과 은적 그리고 바람재 광산이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목포-해남-영암 지역에 걸쳐 확인되는 대규모 화산성 환상구조의 북동부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인 상은-은적-바람재 지역에서 확인된 13개소의 석영맥과 광화대는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을 모암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남-북 내지는 북북서 방향의 주향에 서측으로 고각도를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wden, C.D., 2007, Epithermal systems of the Seongsan district, South Korea and investigation on the geological setting and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high and low sulfidation systems. Ph. D. dissertation, James Cook University, Australia, 334p. 

  2. Cha, M.S. and Yun, S.H., 1988, Cretaceous volcanic cauldrons and ring complex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4, 67-86. 

  3. Cha, M.S., Yun, S.H., and Hwang, I.H., 1987, Cretaceous Mokpo cauldron, southwest Korea. Jour. Coll. Educ., Pusan National University, 14, 197-206. 

  4. Chi, S.J., Koh, S.-M., Ko, I.S., Kim, S.K., Kim, Y.U., Kim, E.-J., Kim, T.-K., Kim, H.-S., Ryoo, C.-R., Park, S.-G., Park, S.-W., Park, J. T., Bae, K.-H., Seo, J.-R., Sohn, J.- S., Yang, D.H., Yoo, B.C., Yoo, J.H., Lee, G.J., Lee, D.G., Lee, H.-Y., Jo, Y.-D., Hong, Y.-K., and Lee, J.Y., 2010, Technical development on the life cycle of the Haenam epithermal gold mineralized area and hydrothermal clay resources. KIGAM-Research Report, GP2009- 003-2010(2), 250p. 

  5. Choi, M.S., 1987, Petrochemical and fluid inclusion study of sulfide-bearing metallic deposits in Yeongam area. M. Sc.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30p. 

  6. Heo, C.-H, Park, S.-W., and Lee, J.-H., 2010, Revaluation of ore deposits within the Yeongam district, Cheollanamdo- province: the Eunjeok and Sangeun mine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3, 73-84. 

  7. Kang, J.-H., Hayasaka, Y., and Ryoo, C.-R., 2012,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29-150. 

  8. Kang, J.-H. and Lee, C.G., 2002, Geological structure of Ok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Miwon-Boeun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1, 234-249. 

  9. Kim, I.J., 1991,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alteration and clay deposits in the Haenam area, southwest Korea. Ph. D. dissertation, Tokyo University, Japan, 219p. 

  10. Kim, I.J. and Nagao, K., 1992, K-Ar age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and surrounding igneous rocks in southwes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 58-70. 

  11. Kim, M.Y., Shin, H.J., and Kim, J.H., 1991, Mineral paragenesi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angeun Au-Ag ore ve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4, 347-361. 

  12. Kim, M.Y., Shin, H.J., and Jang, Y.N., 1990, Study on ore mineral from Eunjeok mine. KIER-Research Report, KR-89-2A-2, 189-228. 

  13. Kim, O.J., Jeong, B.I., Um, S.H., Chang, K.-H., Park, B.-S., and Kang, P.C., 1980, Geotectonic analysis of Korean Peninsula. MOST, 159p. 

  14. Kim, S.Y., 1989,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f the Eunjeok volcanic-hosted silver-gold vein deposit, Youngam-Naju mining area, Korea. M. Sc.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65p. 

  15. Koh, S.M., 199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and Bukok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Haenam volcanic field, Chollanamdo,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81p. 

  16. Koh, S.M. and Chang, H.W., 1996, Ge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Cretaceous strata in the Haenam area, Chollanamdo,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381-393. 

  17. Koh, S.M., Kim, H.-S., Kim, C.K., Yi, M.-J., Jo, Y.-D., Yoo, J.H., Jeong, S.-B., Ryoo, C.-R., Kim, Y.-D., Heo, C.H., Kim, Y.U., Park, S.-G., Lee, D.G., Son, J.-S., Kim, T.-K., Hong, Y.-K., Park, S.-W., Yang, D.H., Park, J.T., Kim, S.K., Sohn, J.-S., Lee, J.-H., Chi, S.J., Seo, J.-R., Ko, I.S., Lee, H.Y., Kim, I.-J., Kim, D.-O., and Lee, T.S., 2009, Technical development on the life cycle of the Haenam epithermal gold mineralized area and hydrothermal clay resources. KIGAM-Research Report, GP2009-003-2009(1), 182p. 

  18. KOMIS, 2009, http://www.komis.or.kr 

  19. Lee, C.S., Kim, J. and Kim, H.N., 1996, Mineralization of the gold-silver ore deposits in Naju-Young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7, 166-173. 

  20. Park, K.H., Yoon, K.S., Kim, E.H., and Freeland, M.H., 1979,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5, 201-208. 

  21. USGS, 2008, http://minerals.usgs.gov/minerals/pubs/commodity 

  22. Yun, J.H., 1989,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gold-silver deposit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1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