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논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의 하나로, 우리나라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8개 분야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총 11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규명할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2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공급유도형 모형을 활용하여 공급 지장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통해 물가파급효과를 도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된다. 첫째,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는 2.1776원의 생산과 0.7080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9.0337명이다. 둘째,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1원 공급지장으로 인한 국민경제 전체적인 생산 차질액은 1.6314원으로 분석되어 그 값이 작지 않았다. 셋째, 신재생에너지 부문 산출물의 가격이 10% 오를 때의 국민경제 전체적인 물가파급효과는 0.0123%로 작은 편이다. 이상의 정량적 정보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 및 투자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made the 2nd Energy Basic Plan to achieve 11% of new and renewable energies distribution rate until 2035 as a response to cope with international discussion about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Renewable energies include solar thermal, photovoltaic, bioenergy, wind powe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정량적 정보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 및 투자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기에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규명할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2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2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면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때 지나친 가정을 할 필요가 없고 실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 그간 산업연관표 상에서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기에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했거나 또는 분석결과가 있다 하더라도 지나친 가정에 근거하여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단행된 한국은행 산업분류 방식 변경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별도로 식별됨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한 파급효과 분석이 가능하게 되어,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2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는 어떤 방향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는가?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논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의 하나로, 정부에서는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 대신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발전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신재생연료 의무할당제 (RPS), (RFS), 신재생열에너지(RHO) 공급의무화 제도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2014.
국내의 신재생에너지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8개 분야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총 11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1차 에너지 대비 3.
신재생에너지부문의 공급지장효과 분석결과 중화학공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이유는? 6314원으로 분석되어 그 값이 작지 않았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산출물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특히 중화학공업 부문에서 전력이 중요한 중간재로 투입되므로 중화학공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와 마찬가지로 공급지장효과에서도 광산품(제2부문)의 값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김윤경, 김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수소 에너지 도입에 따른 중장기 국내 총산출 변화 분석, 신재생에너지, 제2권, 제1호, 72-81, 2006. 

  3. 김윤경, 산업연관표 2009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설비산업의 생산유발효과분석, 신재생에너지, 제8권, 8-17, 2012. 

  4. 김태영, 진세준, 박세헌, 표희동,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에너지공학, 제22권, 184-196, 2013. 

  5. 박소연, 이경실, 유승훈, 집단에너지 부문과 도시 가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제23권, 83-92, 2014. 

  6.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14. 

  7. 산업통상자원부,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2014. 

  8. 임슬예, 송태호, 유승훈, 에너지원별 가격조정의 물가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22권, 376-385, 2013. 

  9. 진세준, 정동원, 권용오, 유승훈, 풍력발전 해외 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 21권, 281-291, 2012. 

  10. 홍준석, 박성환, 박중구,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공학, 제21권, 109-117, 2012. 

  11. 한국은행, 2012년 산업연관표, 2014. 

  12. Bulmer-Thomas, V. Input-outpu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Wiley, 1982. 

  13. Ciaschini, M. Input-output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1988. 

  14. Davis, H. C., Salkin, E. L.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Resulting from Supply Constraints. Annals of Regional Science, 18, 25-34, 1984. 

  15. Ghosh, 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1958. 

  16. Giarratani, F. Application of an Interindustry Supply Model to Energy Issu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8, 447-454, 1976. 

  17. Han, SY., Yoo, SH., Kwak SJ. 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 1531-1543, 2004. 

  18. Hirschman, A. O.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8. 

  19. Heo, JY., Yoo, SH., Kwak, SJ.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5(4), 327-336, 2010. 

  20. Kwak, SJ., Yoo SH. Chang JI. Role of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29, 371-383, 2005. 

  21. Miller, R. E., Blair, P. 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22. Miller, R. E., Polenske, K. R., Rose, A. Z. (ed.)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3. Osterhaven, J.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s. Southern Economic Journal, 62, 750-759, 1996. 

  24. Wu, R. H., Chen, C. Y.,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 71-76,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