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 분석
Analyses on Comparison of UTCI, PMV, WBGT between Playground and Green Space in School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1, 2014년, pp.80 - 89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박승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환경과학과) ,  김원태 (천안연암대학 환경조경과) ,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 및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열적 쾌적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학교시설(3개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7 ~ 8월까지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의 경우 UTCI, PMV, WBGT를, 녹지구조는 녹피율녹지용적계수를 측정하였다.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4.71m^3/m^2$) > B학교($3.34m^3/m^2$) > C학교($0.38m^3/m^2$)의 순이었으며 학교별 열적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면, UTCI는 녹지공간 $32.30{\sim}35.68^{\circ}C$, 운동장 $40.66{\sim}2.94^{\circ}C$, PMV수치는 녹지공간 1.76~2.66이었으며 운동장은 모두 3으로 나타났다. WBGT는 녹지공간 $26.15{\sim}31.38^{\circ}C$, 운동장 $31.67{\sim}34.53^{\circ}C$이었다. 3개 지표 모두 녹지공간 대비 운동장에서 매우 불쾌적한 수준이었다. 열적 쾌적성 및 녹지와의 상관분석결과, 열적 쾌적성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f the school's outdoor space for relaxing and activity of the two most numerous students, high heat and low heat with a green space, playground targe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using the thermal comfort students feeling compare the analyzed. The destination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소재 학교 옥외공간 중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과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중 인건의 착의량, 대상량, 지구의 평균복사온도, 풍속 등의 요인을 반영한 지표인 PMV와 UTCI를 이용하여 열적 쾌적 성을 측정하고 아울러 조경분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WBGT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교의 대표적 외부공간인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열적 쾌적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향후 외부공간 지표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소재 학교 옥외공간 중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과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중 인건의 착의량, 대상량, 지구의 평균복사온도, 풍속 등의 요인을 반영한 지표인 PMV와 UTCI를 이용하여 열적 쾌적 성을 측정하고 아울러 조경분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WBGT와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교의 대표적 외부공간인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열적 쾌적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향후 외부공간 지표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을 고려하여 여름철 기간인 7~8월 중 부적절한 날씨를 제외한 10일간을 대상으로 오전 9시부터 17시까지 측정지점별 1분 간격으로 10분간 측정하였다. 측정 시 모든 측정은 지면에서 약 1.5m 높이에서 측정하여 인간이 지면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고려하고자 하였다(Kim,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열환경에 대한 쾌적 상태란? 온열환경에 대한 쾌적 상태란 일반적으로 열에 의해 스트레스나 긴장감을 받지 않는 환경을 의미하며, 열적 쾌적성의 정의를 미국공조학회에서는 “That condition of mind which expresses satisfaction with thermal environment” 즉, “열적 환경에 만족을 느끼는 마음의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ASHRAE, 1981). 국내의 경우 온열환경에 대한 열적 쾌적성의 관한 연구는 주로 실외공간보다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실외공간의 경우 온열환경 구성요소가 다양하고 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가 복잡하고 아울러 다양한 인간활동 때문에 외부공간에서의 물리적 특성을 계산,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yu et al.
WBGT는 주로 어떠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가? WBGT는 인체가 느끼는 감각적 온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주로 체육, 군사훈련, 노동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다른 열적 쾌적성 지표에 비해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관련 연구로는 WBGT를 활용한 폭염발생피해 저감 대책 연구(Park et al.
도시화의 진행은 온도 측면에서 도시민들에게 어떠한 문제를 주고 있는가? 도시화의 진행은 인간생활의 발전을 가져 왔지만, 친환경적 원칙에 따른 개발보다는 도시 생활의 편리성과 경제원칙을 중시함으로써 자연 생태계 훼손, 물순환 체계 훼손, 생물 다양성 감소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도시지역의 엔트로피와 불투수 포장 증가, 도시 인공열 등에 따른 도시열섬(Yoon et al., 2011)은 도시민들에게 열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동시에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SHRAE(1981) ASHRAE Handbook: 1981 Fundamental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New York, pp. 8-20. 

  2. Chi Shing, C.C. and A.H. Melissa(2014) Climate change and thermal comfort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4: 137-148. 

  3. Guk, J.H.(2009)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Members and Open Space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2pp. (in Korean) 

  4. Han, B.H.(2000)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 Ph. D. Dissertati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27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Harazono, Y., T. Murakami and Y. Hayashi(1990) Therm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haded area of dense and sparse red pine canopies,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3(5): 233-238. 

  6. Hoppe, P.(2002) Different aspects of assessing indoor and outdoor thermal comfort. Energ Buildings 34(6): 661-665. 

  7. Incheon(2004) Basic plan of green conservation and greening promotion for Incheon. Incheon, 132pp. 

  8. ISO 7730(1994) Moderate Thermal Environments - Determin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Specification of the Conditions for Thermal Comfor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100pp. 

  9. Joung, D.W., Y.H. Choi, C.H. Kwon, D.G. Yoem, G.W. Kim, K.N. Kang, Y.T. Kim, D.H. Ji, M. Yoshifumi and B.J. Park(2013)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fo forest and grass area on human physiological response ?Focu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 Keumkang arboretum-,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143-148. 

  10. Ju, C.H., Y.H. Yoon., B.J. Park and W.T. Kim(2008) The influence of land cover types on thermal comfort in urban open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3): 59-65. 

  11. Ju, M.J., C.S. Lee and N.H. Ryu(2004) The effect of urban shade trees on the WBGT (Wet Bulb Globe Thermometer Index),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 51-59. 

  12. Jung, S.H., W.K. Park., J.K. Choi and D.S. Song(2013) A development of the outdoor environmental design considering the domestic climate condition-Proposal of the outdoor thermal comfort indicator. Proceedings of the Korean Urban Design, pp. 132-138. 

  13. Kayoko, H. and S. Kazuo(1981) A Study on the measuring the thermal resistance of women's wear. Journal of Japan Textile Fiber Product Consumption Science 24(8): 31-37. 

  14. Kim, H.J., D.Y. Yoon and J.Y. Son(1999) PMV-PP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in summer. Proceedings of Journal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 39-40. 

  15. Kim, I.H.(2007) Improvement plans of school forest for eco-school -focused on the school forest project led by the government-. Journal of Educational Facilities 14(1): 121-129. 

  16. Kim, S.C.(2008) Study for globe temperature characteristic and practical use way in downtown area on summer seaso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orea, 8pp. (in Korean) 

  17.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1996) Green Town Development Project I.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97pp. 

  18. Kum, J.S., D.G. Kim, K.H. Choi, J.R. Kim, K.H. Lee and H.S. Choi(1998)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of Korean (Part II: Analysis of subjective judgement in summer experiment).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 65-73. 

  19. Lee, J.A., D.Y. Jeong., J.H. Jeon., S.M. Lee and Y.B. Song(2010)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12-20. 

  20. Lee, P.(2008)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of Wild Birds by Types of School Green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113pp. (in Korean) 

  21. Lee, S.H., J.Y. Jeong., Y.H. Lee and S.Y. Cha(1997) Green Space Expansion for Green Network in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77pp. 

  22. Lim, H.J. and K.H. Lee(1992) A Study on the climatic properties of Cheju Island by biolimatic chart. Journal of Architecture 12(1): 235-238. 

  23. Lim, J.H., H.G. Hwang, D.S. Song and T.Y. Kim(2008) A Study on Evaluation the Thermal Comfort in Residential Building Block in Summer. Proceedings of the Korean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110-115. 

  24. Park, J.K., W.S. Jeong and E.B. Kim(2008) A study on application of WBGT by calculated globe temperature, Proceedings of the Korean Atmospheric Environment Conferences, pp. 413-414. 

  25. Park, J.K., W.S. Jeong., E.B. Kim and S.C. Kim(2008) Application of HI and WBGT for estimate of thermal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Atmospheric Environment Conferences, pp. 586-587. 

  26. Park, S.H.(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outdoor health indicator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school faciliti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104pp. (in Korean) 

  27. Park, S.K.(2012)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with human thermal sensatio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 1-11. 

  28. Ryu, M.K., J.H. Lim., H.G. Hwang and D.S. Song(2009) Study on assessment of outdoor thermal environment with coupled simulation of convection and radiation.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s: 565-572. 

  29. Takayama, N., T. Kagawa, T. Kasetani, B.J. Park, Y. Tsunetsugu, Y. Oishi, H. Hirano and Y. Miyazaki(2005) The comfortableness of the light thermal environment for bathing in the forest atmosphere.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8(5): 819-824. 

  30. Yamada, H., S. Yabu, A. Nakashima, and S. Nakao(2000) Estimation of the summer seasons heat stresses in several types of outdoor areas on the different ground surface structures. J. JIKA 63(5): 543-546. 

  31. Yoon, Y.H. and W.T. Kim(2004)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plant species of elementary school -the case study on 10 elementary schools in chungju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6): 1-11. 

  32. Yoon, Y.H., C.H. Ju and J.H. Kim(2011)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mport by land-use using bioclimatic chart. Journal of Regional Development 23(3): 39-58. 

  33. Yoon, Y.H., G.H. Cho, S.Y. Beck, S.T. Kim and W.T. Kim(2003) Study on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within Green Belts. Journal of turfgrass 17(1): 45-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