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동백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Busa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2, 2014년, pp.205 - 214  

김경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염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안인수 (토펙엔지니어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46호인 동백섬에 대해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동백섬 내 자연휴식년제 지역인 정상부 주변 $20,000m^2$이었다. 지형, 식생, 식생관리현황을 기준으로 식생구조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식생구조 유형은 관리되고 있는 동백나무림,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 험준지의 미관리된 사스레피나무림 등 3개로 구분되었으며,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유형 I), 사스레피나무(유형II, III)가 우점하였다. 특히, 관목층을 중심으로 난대림의 극상수종인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유형 I, II에서 중경목의 팽나무와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고 모든 유형의 관목층에서 후박나무가 4~44주 생육하였다. 교목층의 평균 수령은 66년, 아교목층은 22.9년이었으며 종다양도는 0.5472~0.8646로 분석되었다. 동백섬의 식생관리 방향으로서 기존 관리된 동백나무림은 주기적인 관리를 유지하며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은 사스레피나무를 제거하고 동백나무를 식재하는 관리를 제안하였다. 관리되지 않은 험준지 사스레피나무림은 동백나무경관 형성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측되어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천이유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as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which is the district monument. The study area was $20,000m^2$ around the peak area in management as the nature sabbatical area. Vegetation structure type was classif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7). 관리된 지역이 넓게 분포하여 천이경향을 명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으나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통해 식생관리유형별 난대림의 극상수종으로서 천이를 주도할 수 있는 교목성상의 수목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표본목 분석을 통해 식생관리유형별 주요 수종의 생육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유형별 종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Pielou, 1975), 균재도(J'), 우점도(D), 최대종다양도(H'max) 등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로부터 인간에 의한 지속적 훼손과 함께 자연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동백섬의 식생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동백섬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산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는? (2011)은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과 주변 지역의 상록활엽수류인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현황을 분석을 통해, 후박나무는 동백나무와 참식나무에 비해 출현 개체수가 적고 치수발생량도 적어 경쟁관계에서 다소 떨어진다고 하였다. 하지만 후박나무의 분포범위가 참식나무와 유사하며(Ohwi and Kitagawa, 1983) 난온대 상록활엽수 중에서 가장 넓은 분포역을 가지고 고위도 까지 분포하기(Lee and Choi, 2010) 때문에 확산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본 대상지의 후박나무 치수 분포도 아직은 미미하나 향후 확산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구조 유형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지형, 식생, 식생관리현황을 기준으로 식생구조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식생구조 유형은 관리되고 있는 동백나무림,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 험준지의 미관리된 사스레피나무림 등 3개로 구분되었으며,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유형 I), 사스레피나무(유형II, III)가 우점하였다. 특히, 관목층을 중심으로 난대림의 극상수종인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로부터 인간에 의한 지속적 훼손과 함께 자연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동백섬의 식생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동백섬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이유는? , 2008), 경기도 수원시 화성 내 팔달공원을 대상으로 세계문화유산에 적합한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Sim, 2010)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과거의 사료를 기준으로 하여 자연천이가 진행된 문화경관림에 대한 식생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생경관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대상지인 동백섬 역시 문화적으로 동백나무 경관이 아름다웠던 숲으로서 현재의 식생구조 현황에 따른 체계적 식생경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J.S.(2009)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sa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2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W.(2009)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Biotope Type by Sui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30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J.M., H.R. Jung and H.S. Moon(2011) Spreading patter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forest community adjacent to the Camellia japonica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5(6): 89-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5. Haeundaegu(2006) White Paper for Haeundae Borough. Haeundaegu, 897pp. (in Korean) 

  6. Han, B.H., H.S. Cho and K.S. Song(1999)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forest at Hakdong, Kojedo, Hallyo-Haesang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12(4): 345-3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wang, G.W.(2006) Ulsan Bankudae heritage in the viewpoint of landscape. Journal of Art History Study Society 252: 353-368. 

  8. Jin, Y.G. and I.T. Kim(2005) Study of community classification Camellia japonica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Life Science 15(5): 767-7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K.W.(2013) Growth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the Pinus densiflora Forest for Sugumagi of Unmun Temple, Cheongdo-gun, Ko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7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D.H.(2000) Reading landscape for quality of life - "Sense of union with the living earth" of Neo-Confucian tradition as themes of cultural geography -. Journal of Geographical Society 35(2): 281-2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W.(2006)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340pp. 

  12. Koo, J.W.(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yasan National Park.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0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H.K.(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6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H.Y.(2006) Cultural landscape characters of Hansan Palyoung (Eight Beautiful Landscap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3): 2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J.H. and B.H. Choi(2010)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Korean J. Pl. Taxon. 40: 267-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J., J.S. Kim, J.W. Choi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2(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2006) Change for fifteen years (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0(2): 188-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K.J., K.B. Yim, J.C. Jo and C.H. Ryu(1990) A study on forest Sokrisan (M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Korean J. Environ. Ecol. 4(1): 2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K.J., K.S. Ki and J.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3(2): 208-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J., N.H. Jo, Y.K. Jong and H.S. Jo(1991)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Daekwanrim in Hamya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2): 2052-20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OCT(1999) A Study on Environmental Evaluation Criteria for System Improvement in Green-belt. MOCT, 280pp. (in Korean) 

  22. Oh, K.K. and S.H. Choi(1993) Vegetational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regio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6(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Ohwi, J. and M. Kitagawa(1983) New flora of Japan. Shibundo Co., Ltd., Tokyo, 1716pp. 

  24.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Korean J. Environ. Ecol.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85pp. 

  26. Sim, H.R.(2010) Management Planning of Vegetation Landscape in Paldal Park, World Culture Heritage Hwaseong, Suwon, Ko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5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