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민의식을 반영한 반건조지역의 산림농업 전략 - 몽골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
Agroforestry Strategies Reflecting Residents' Attitudes in a Semi-arid Region - Focusing on Elsentasarhai Region in Mongolia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2, 2014년, pp.263 - 269  

조현길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박혜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진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막화가 진행 중인 몽골의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 설문조사, 조림지 현장답사, 관련 문헌고찰 등을 통해 환경생태적 및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산림농업의 전략을 모색하였다. 산림농업의 접근유형은 사막화 및 작물 풍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풍조림, 소득자원 생산을 위한 농경, 대상지역의 주 산업인 축산 등을 함께 배합하는 농림축혼업을 제안하였다. 주민의견과 생육환경을 반영하여, 조림수종은 사막지대의 자생종인 시베리아포플러와 비술나무를, 경제작목은 짧은 생장기간에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한 갈매보리수, 감자, 사료작물 등을 각각 선정하였다. 농림축혼업의 다목적 효과를 충족시킬 토지배분 전략으로서, 다열의 방풍용 수목과 소득용 작물을 교호 대상으로 배식하는 간작기법을 권장하였다. 아울러 강풍과 건조에 대응하여, 경제작목 생산 및 수목생장의 조건을 함께 개선하기 위한 간작 시스템 관련 바람직한 식재기법을 모색하였다. 본 결과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몽골은 물론 유사한 환경의 반건조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산림농업을 추진하기 위한 유용한 기반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agroforestry strategies to achieve ecological and economic effects simultaneously for Elsentasarhai region in Mongolia under desertification, based on attitude survey with a questionnaire, field survey on planting sites, and literature review. The agrosilvopastoral approach was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몽골은 과도한 방목, 불법 벌채, 극심한 가뭄 등으로 인하여 국토면적의 90%가 사막화의 위협에 처해 있다(KEI, 2003; Tsogtbaatar,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사막화가 진행 중인 몽골의 엘센타사라이(Elsentasarhai)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의식을 반영하여 환경생태적 및 경제적 효과를 통합적으로 달성할 산림농업의 전략을 마련하여 현장 시업에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 하는 것이다
  • 관련 기법으로서 한-몽 그린벨트사업 지의 경우 수목을 깊이 60cm 고랑에 식재하였는데, 이들 수목의 생장상태가 일반적 깊이의 식재보다 양호하나 조성 비용이 높았다(Ulziijargal, 2011; KFS,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고랑조성에 요구되는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근원부가 지표면으로부터 최소 30cm 깊이에 위치하도록 굴착한 구덩이 내 식재를 제안한다(Figure 7). 대상지에 실제 이 깊이의 구덩이에 시베리아포플러를 시험 식재한 결과, 연간 생장율이 일반적 깊이의 식재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KFS, 2014).
  • 본 연구는 몽골의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 설문조사, 조림지 현장답사, 관련 문헌고찰 등을 통해 환경 생태적 및 경제적 효과를 통합적으로 달성할 산림농업의 전략을 모색하였다. 산림농업의 시행은 현지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필요로 하며, 설문조사 결과 주민의 대부분은 산림 농업 참여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농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산림농업의 시행은 현지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필요로 하며, 설문조사 결과 주민의 대부분은 산림 농업 참여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제안과 같이 시행 주체인 주민에게 관련 기술교육을 제공하고, 이러한 교육을 포함한 정책 및 예산을 지원할 행정기관이 필요하다. 본 결과는 관련 정보 및 사업이 미진한 몽골은 물론 유사한 환경의 반건조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산림농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 세계의 최근 사막화 면적은 어떠한가? 사막화는 황사의 발생에 의해 대기오염, 호흡기 질환, 농작물 피해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감소, 생산성 저해에 따른 인구이동 등 자연생태계 및 사회경제적 시스템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KFRI, 2004). 전 세계의 최근 사막화 면적은 아시아 16억 7,200만㏊, 아프리카 12억 8,600만㏊,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5억 1,300만 ㏊로서, 육지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며 매년 600억㎢의 면적이 사막화되고 있다(http://www.unccd.
사막화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건조 및 반건조지역의 사막화는 근래 국제적으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주요한 환경 이슈 중의 하나이다. 사막화는 황사의 발생에 의해 대기오염, 호흡기 질환, 농작물 피해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감소, 생산성 저해에 따른 인구이동 등 자연생태계 및 사회경제적 시스템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KFRI, 2004). 전 세계의 최근 사막화 면적은 아시아 16억 7,200만㏊, 아프리카 12억 8,600만㏊,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5억 1,300만 ㏊로서, 육지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며 매년 600억㎢의 면적이 사막화되고 있다(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ene, J.G., H.W. Beall, and A. Cote(1977) Trees, Food, and People: Land Management in the Tropics.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er, Ottawa, 52pp. 

  2. Finch, S.J.(1988) Field windbreaks: design criteri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22-23: 215-228. 

  3. Garrett, H.E. and L. Buck(1997) Agroforestry practice and polic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1: 5-15. 

  4. Garrett, H.E., L. Buck, M.A. Gold, L.H. Hardesty, W.B. Kurtz, J.P. Lassoie, H.A. Pearson and J.P. Slusher(1994) Agroforestry: an Integrated Land-use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on and Farmland Conservation. USDA Soil Conservation Service, Washington, D.C., 58pp. 

  5. Grey, G.W. and F.J. Deneke(1986) Urban Forestry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99pp. 

  6. Huke, S. and J. Plecan(1988) Planning for Agroforestry. Save the Children, Westport, 68pp. 

  7. Jain, S.K. and P. Singh(2000) Economic analysis of industrial agroforestry: poplar (Populus deltoides) in Uttar Pradesh (India). Agroforestry Systems 49: 255-273. 

  8. Jo, H.K., H.M. Park, J.Y. Kim and D. Ulziijargal(2013a) Residents' preferences for sustainable agroforestry in Mongolia.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pring Conference, Seoul, pp. 147-148. (in Korean) 

  9. Jo, H.K., J.Y. Kim, and H.M. Park(2013b) Monitoring tree growth and propriety after riparian greenspace establishment-the case of an ecological planting site in Gapyeong County.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Seoul, 23(1): 55. (in Korean) 

  10. KEI(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3) Analyzing Northeast Asian Dust and Sandstorm Damages and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I. Res. Rep., 21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4) Cause and Mitigation of Desertification in Northeast Asian Regions. Res. Rep., 390pp. (in Korean) 

  12. KFS(Korea Forest Service)(200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ooperation Strategies of Forestry in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Res. Rep., 145pp. (in Korean) 

  13. KFS(Korea Forest Service)(2013) A Study on Combatting Desertification in Arid and Semi-arid Areas I. Res. Rep., 203pp. (in Korean) 

  14. KFS(Korea Forest Service)(2014) A Study on Combatting Desertification in Arid and Semi-arid Areas II. Res. Rep., 334pp. (in Korean) 

  15. Khaulenbek, A.(2013) Research and Experimental Center for Combatting Desertification, Elsentasarhai, Mongolia (personal communication). 

  16. Kort, J.(1988) Benefits of windbreaks to field and forage crop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22-23: 165-190. 

  17. Lee, K.G., M.H. Lee and H. Cho(2012) Development of sea buckthorn beer using Mongolian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fruit. Food Engineering Progress 16(2): 129-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iller, R.W.(1997) Urban Forestry (2nd ed.).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480pp. 

  19. MNET(Ministry of Nature, Environment and Tourism)(2009) Mongolia: Assessment Report on Climate Change 2009. Res. Rep., 228pp. 

  20. MOE(Ministry of Environment)(2008)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itigation Measures of Yellow Dust Outbreak in Mongolia. Res. Rep., 189pp. (in Korean) 

  21. MOFA(Ministry of Foreign Affairs)(2011) Overview of Mongolia. Res. Rep., 214pp. (in Korean) 

  22. Mosquera-Losada, M.R., J. McAdam, R. Romero-Franco, J.J. Santiago-Freijanes, and A. Rigueiro-Rodriguez(2009) Definitions and components of agroforestry practice in Europe. In: A. Rigueiro-Rodriguez, J. McAdam, and M.R. Mosquera-Losada (eds.), Agroforestry in Europ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Springer-Verlag, Dordrecht, pp. 3-19. 

  23. MOST(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2000) Desertification Control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 Res. Rep., 22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Nair, P.K.R.(1985) Classification of agroforestry systems. Agroforestry Systems 3: 97-128. 

  25. Nair, P.K.R.(1989) Agroforestry Systems in the Tropi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680pp. 

  26. NSOM(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2010)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10. Ulaanbaatar, 463pp. 

  27. NSOM(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2013a) Monthly Bulletin of Statistics 2013-May. Ulaanbaatar, 114pp. 

  28. NSOM(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2013b) Monthly Bulletin of Statistics 2013-Aug. Ulaanbaatar, 113pp. 

  29. NSOM(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2013c) Monthly Bulletin of Statistics 2013-Nov. Ulaanbaatar, 111pp. 

  30. NSOM(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2014)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in Mongolia (4th Quarter of 2013). Ulaanbaatar, 5pp. 

  31. Robinette, G.O.(1972)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al Quality. USDI National Park Service, Washington, D.C., 136pp. 

  32. Shapo, H. and H. Adam(2008) Modification of microclimate and associated food crop productivity in an alley cropping system in Northern Sudan. In: S. Jose and A.M. Gordon (eds.), Toward Agroforestry Design: an Ecological Approach, Springer-Verlag, Dordrecht, pp. 97-109. 

  33. Tsogtbaatar, J.(2004) De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needs in Mongol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01: 57-63. 

  34. Tungalag, R., T. Jamsran, B. Boldgiv, and D. Lkhagvasuren(2012) A Field Guide to the Trees and Shrubs of Mongolia. Munkhiin Useg, Ulaanbaatar, 255pp. 

  35. Udawatta, R.P. and S. Jose(2011)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agroforestry practices in temperate North America. In: B.M. Kumar and P.K.R. Nair (eds.),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Agroforestry System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pringer-Verlag, Dordrecht, pp. 17-42. 

  36. Ulziijargal, D.(2011) Survival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ation Species by Planting Methods of Desertified-area in Mongolia.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39pp. 

  37. UNCCD(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2010) Assessment of Plantations for Combatting Desertification and Preventing Yellow Dust and Sandstorms. Res. Rep., 351pp. 

  38. http://www.unccd.i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