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식 세계화를 위한 내국인과 국내 체류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와 한식에 대한 인식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2, 2014년, pp.155 - 165  

박혜연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안명화 (우송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학과) ,  김복화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김나영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omsumer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in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Exactly 79 customers (28 Koreans, 51 non-Korean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English and Korea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국내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소비 행동의 변수가 될 수 있는 한식 선호도와 한식세계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내․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시각 차이를 알아보고, 보다 실효성 있는 한식 세계화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내국인과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선호도와 한식 세계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내․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시각 차이를 알아보아, 보다 실효성 있는 한식 세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내국인 및 외국인 총 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나 한류열풍에도 불구하고 한식 세계화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한식재료의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크게 높아 지고 있다(Lee YJ 2008). 그러나 한식이 세계 속에서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식의 조리법이 복잡하고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 등이 있기 때문에 한식 세계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외국인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Byun et al 2001, Noh KS 2009). 이에 따라 한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홍보 전략 마련을 위해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식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식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은 무엇인가? 한식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 3가지를 기입하도록 한 설문 조사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한식은 ‘김치’로 내국인(78.6%), 일본인(55.
한식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우리나라 또한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2008년 한식 세계화 선포식을 출발점으로 지금까지 한식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Cha et al 2012). 한식은 동물성과 식물성 식품의 사용이 조화를 이루며, 채소류를 많이 사용하여 저칼로리 음식이면서 3대 영양소의 비율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계절에 따른 식재료의 이용과 다양한 조리법으로 기능성 음식으로 알려져 있어 웰빙 트렌드에 부합하여 세계화 가능성이 높고, 한식을 문화상품으로 발전시킬 때 부가가치를 높여 국제적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Lee et al 2005). 이와 같이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한식재료의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크게 높아 지고 있다(Lee YJ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농림수산식품부 (2009) 한식메뉴 외국어표기 길라잡이(Korean menu guide). Available from: http://www.hansik.org/kr/board. do?cmdview&bbs_id237&menupkr2020300&art_id45 93&langkr 

  2. Byun JO, Han JS, Oh OH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II) - preference and frequency. J East Asian Saian Soc Dietary Life 11: 140-148 

  3. Cha SM, Chung LN, Chung SJ, Kim KO, Lee SR, Kim HR, Han GJ, Lee JY (2012) Comparative analysis on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in foreigners and Koreans. Korean J Food Culture 27: 294-303. 

  4.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58-468. 

  5.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 107-115. 

  6. Han GJ, Lim YS, Kim HR (2007) Resident survey evaluating the degree of value plac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in the Kyunggi and Kangwon area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24-139. 

  7. Han JS, Kim JS, Kim SY, Kim MS, Otani K, Minamide T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4:188-194. 

  8. Hong HO,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ed on the staple food and snack-. Korean J Nutrition 39: 699-706. 

  9.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 801-807. 

  10. Jang DJ, Kim SA, Kim SH, Lee KK,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00-812. 

  11. Jang JJ, Jeong HS (2011)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1-14. 

  12. Jin YH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57-73. 

  13. Joo NM, Sim YJ, Lee KA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o Asso 39: 15-23. 

  14. Kang JH, Kim JE (2009) A surve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ure 24: 155-163. 

  15. Kim HS, Lyu ES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89-96. 

  16. Kim TH, Lee EJ, Lee EJ (2009) A study on percep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ure 24: 597-606. 

  17. Kwak YW, Nam YS, Jeong HS (2012)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among unmar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37-347. 

  18.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7-30. 

  19.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 9-16. 

  20. Lee YJ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Ph D Disserlation KyungHee University. pp 1-38. 

  21. Lee YJ (2010)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 with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5: 487-498. 

  22.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9: 283-291. 

  23. Lee YJ, Yoon SJ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Japanese tourrists visit to experience the cuisine of motivation a Korean food.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5: 401-417. 

  24. Lim HJ, Lee IH, Suk WH, Lee JM, Choue RW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 671-679. 

  25. Min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 92-102. 

  26. Min SH, Park OJ (2004) A survey on the Korean food preference, frequency andnutritional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do area. Korean J Food Culture 19: 43-51. 

  27. Nho KS (2009)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degree on the Korean food for its globalization. Ph D Disserl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pp 1-3. 

  28. Oh NY, Han M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4: 359-365. 

  29. Seo KH, Lee SB, Sh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15-722. 

  30.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 Korean J Food Culture 23: 126-136. 

  31. Yoon SA, Park GS (2013) Study on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Daegu. J East Asian Saian Soc Dietary Life 23: 184-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