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행장애물 회피를 위한 라이다 기반 송전선 고속탐지 및 적용가능성 분석
Fast Detection of Power Lines Using LIDAR for Flight Obstacle Avoidance and Its Applicabilit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1, 2014년, pp.75 - 84  

이미진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이임평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전선은 항공사고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장애물로써 인지되며, 비행 중 충돌회피를 위해 송전선의 실시간 탐지는 아주 중요하다. 최근 들어 이러한 비행장애물 회피를 위해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으며 주야에 관계없이 데이터 획득이 가능한 라이다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행장애물 회피를 위해 송전선을 고속으로 탐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먼저 지표면에서 반사된 점을 필터링 과정을 통해 제거하여 비지면점을 추출하고, 이중에서 분산 행렬의 고유값 비율을 이용하여 선형적으로 분포하는 점들을 추출하고, 마지막으로 송전탑(기둥)이나 굴뚝같이 수직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분포하는 점들이나 길이가 작은 선형점들을 제거한다. 구현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송전선이 포함된 영역에서 취득된 실측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탐지성능은 약 80%정도로 분석되었고, 처리시간은 평균 0.2초가 소요되었다. 향후 제시된 방법을 다양한 시험환경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여 개선한다면, 비행장애물 회피용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을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wer lines are one of the main obstacles causing an aircraft crash and thus their realtime detection is significantly important during flight. To avoid such flight obstacles, the use of LIDAR has been recently increasing thanks to its advantages that it is less sensitive to weather conditions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탑재체의 비행장애물 회피를 위한 송전선 탐지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세 가지 데이터 셋에 적용하여 그 결과에 대한 분석 고찰하였다. 제안된 전선 탐지방법은 먼저 실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지면 점과 비지면점으로 TIN 필터링을 수행한다.
  • 송전선의 고속탐지를 위하여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보다 간단한 처리과정을 지향하였다. 현재까지는 고속탐지를 위한 기초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탐지시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비행 및 대상 환경에 대하여 다양한 하드웨어의 규격이나 프로그래밍에 따른 속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비행장애물 탐지용 라이다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이 방법으로는 1) 전처리(pre-processing), 2) 필터링(filtering), 3) 2D 허프 변환을 반복하고, 4)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기반으로 최소한의 선형 요소(line primitive)들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5) 국부 분석(Local analysis)과 현수선(catenary line) 파라미터로 추정하여 재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그먼트 연결과 점군이 동일한 간격으로 나열되었다는 가정과 허프 변환에서 하나의 잘못된 가설이 후속작업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있다[4]. Clode and Rottensteiner[3]는 라이다 데이터의 다중 반사 데이터(multiple return data)를 이용한 송전선탐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 최근 들어 개발되고 있는 가이거모드(Geiger-mode)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다면 대상영역에 대한 조밀한 데이터를 고속으로 취득하여 이로부터 후처리를 통한 매핑이 아니라 실시간 처리를 통한 비행장애물 회피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밀한 매핑이 아니라 비행장애물 회피를 위한 용도로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송전선의 고속탐지 방법론을 제안하고, 특히, 최근에 개발 중인 가이거 모드(Geiger-mode) 영상 라이다 센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이거 모드 영상 라이다 센서와 다양한 특성의 송전선을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여 여기에 고속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 먼저 송전선이 있는 영역에서 취득한 실측데이터에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해보고 탐지성능을 분석한다. 탐지성능은 육안으로 분류한 레퍼런스점(True points)과 탐지 알고리즘의 결과로 출력된 송전선점을 비교분석하고 오분류표를 만들어 정량적인 검증을 수행하고 그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고속탐지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0~1초의 시간범위 안에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다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광학/적외선(EO/IR : Electro Optical Infrared)시스템이나 라이다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시스템을 탑재하여 실시간으로 비행장애물을 탐지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6,7]. 특히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 펄스를 대상물의 3차원 표면에 샘플링(sampling)해서 점 데이터(3D point cloud)를 출력 하는 능동형 원격센서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3차원 대상물의 정밀한 표면정보를 신속하게 측정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반으로 지형매핑(topographic mapping), 필터링(filtering), 전력선이나 해안선 추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다[2,9].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송전선 점 탐지 방법은 어떤 특징에 기반하는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송전선 점 탐지 방법은 전선점이 갖는 기하학적 특징에 기반한다. 하나의 전선위에서 반사된 점들은 다음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갖는다.
하나의 전선위에서 반사된 점들은 어떤 공간적 특성을 갖는가? 하나의 전선위에서 반사된 점들은 다음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갖는다. 전선점은 공간적으로 선형분포를 이루며, 지표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위에 존재한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선점의 인지적 단서를 수립하고, 조건에 만족하는 점들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방식으로 전선점을 탐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xelsson, P, 2000, DEM Generation from Laser Scanner Data using Adaptive TIN model, Proc. of 2000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4 (2000): 111-118. 

  2. Cho, W, S; Lee, Y, J; Jwa, Y, S. 2003, Automatic Extraction of Buildings using Aerial Photo and Airborne LID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7-317. 

  3. Clode, S ; Rottensteiner, F. 2005, Classification of Tree and Powerlines from medium resolution Airborne Laserscanner data in Urban Environments, APRS Workshop on Digital Image Computing, 97-102. 

  4. Jeon, W, G; Choi, B, G. 2013, A Study on the Automatic Detection of Railroad Power Lines Using LiDAR Data and RANSAC Algorithm,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1(4):331-339. 

  5. Jwa, Y.; Sohn, G; Kim, H. B. 2009, Automatic 3d powerline reconstruc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IAPRS, 38(2004), 105-110. 

  6. Kang, J, W; Kwak, Y G. 2004, Analysis of Obstacle Awareness and Collision Avoidance for UAV Using Radar Sensor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845-848. 

  7. Kim, D. Y; Kang, J, H. 2010, Power Line Detection of Arial Images Using Hough Transform,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171-179. 

  8. Kim, S, J; Lee, I, P. 2010, Simulation 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f a LIDAR Data Segmentation Algorithm,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5(2):119-129. 

  9. Kim, S, J; Lee, I, P. 2011, Modeling of Geiger-mode Imaging LADAR Sens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1001-1004. 

  10. Lee, M, J; Kim, S, J; Lee, I, P. 2013, Extraction of Power Line Points Based on Eigenvalues of LIDAR Data,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81-82. 

  11. McLaughlin, R. A. 2006, Extracting transmission lines from airborne LIDAR data.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IEEE, 3(2), 222-226. 

  12. Melzer, T., & Briese, C. (2004, June). Extraction and modeling of power lines from als point clouds. In Proceedings of 28th Workshop (pp. 47-54). Hagenberg, Austria. 

  13. Open Topography(http://www.opentopography.org). 

  14. Aviation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http://araib.molit.go.kr/intro.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