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북부지역 군용 사격장 토양에 존재하는 화약물질 분포 및 이동 특성 조사
Distribution and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Explosive Compounds in Soil at Military Shooting Ranges i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6, 2014년, pp.17 - 29  

배범한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  박지은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bigcirc}{\bigcirc}$지역 군 사격장에서 환경으로 유출되는 화약물질 현장저감시설의 설계 자료 확보를 위해 토양오염조사를 실시하였다. 설계에 필요한 자료는 (i) 주 오염 화약물질 종류 파악, (ii) 배출/이동 경로, (iii) 토양 입경별 화약물질 농도조사 및 침강특성이다. 현장 조사 및 분석결과, TNT와 RDX가 사격장 토양에서의 주 오염물질이지만, 군 훈련 종류와 사격장 지형에 따라 오염도는 변화하였다. 화약물질은 표토이외의 심토와 인근 개울에서도 검출되어, 피탄지에서 하천으로의 유출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탄지에 화약물질 농도가 높은 hot spot이 다수 존재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오염농도가 20 mg/kg을 넘지는 않았다. 피탄지 토양 내 점토 함량은 대조군 12 %에 비해 현저히 낮은 5 % 미만이며, 이는 사격으로 인해 식피가 제거되어 강우 시 토사의 표면유출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토양 입경별 화약물질 분포 분석 결과, 토양 입경 0.075 mm 미만의 세립토에는 화약물질 총량의 약 10 % 이하만이 존재하였다. 침강관 실험결과, 유출수 내 액상으로 유출되는 화약물질량이 고상에 있는 화약물질량보다 많았다. 그러므로 사격장에서 표면 유출되는 강수 내 입자상 물질을 간단한 침전지로 처리하고, 다음으로 정화식물을 식재한 인공습지로 액상 내 화약물질을 처리하는 방안이 자립적이며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녹색 정화방법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medi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t five military training rang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sign of on-site treatment facilities for the abatement of explosive compounds release to the environment. These information includes (i) identific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 산재하는 군 사격장에 대한 토양오염 정밀조사의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군 사격장에서의 오염물질 분포와 거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며, 정보와 과학적 평가 부족은 막연한 불안감을 증폭하고 확대시킬 뿐 아니라, 정당한 군 사격훈련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 사격장 오염도 현황을 파악하고, 배출저감시설 설계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경기도 북부지역 ○○시 일대 전차포사 격장 3개소, 공용화기 사격장 1개소, 그리고 폭파훈련장 1개소 등 총 5개 군 훈련장에서 피탄지 및 인근 지역 토양과 수질 시료를 채취하고 화약물질 농도를 분석하여 화약물질 분포, 토양입경별 오염도, 이동 경로 및 총 오염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침전지에서 유출되는 화약물질량을 정량하기 위한 침강관 실험도 병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용화약물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2차 세계대전 이후 군용화약물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TNT와 RDX는 고성능 화약물질(High Explosive)로 분류되며, 미국 환경청이 C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고, 두 종의 화약물질에 대한 음용수 평생건강권고기준(Health Advisory)을각각 0.2 ug/L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설정되었다(US EPA, 2012a).
사격장에서 오염물질의 자연계 유출이 발생하는 경로는 무엇인가? 사격장에서 오염물질의 자연계 유출은 사격훈련 중에 포탄에 충진된 화약물질의 불완전연소, 저급폭발(low order detonation) 혹은 불발탄의 파손 등으로 발생한다(Brannon & Pennington, 2002). Pennington et al.
Wheel sampling technique 방법은 무엇인가? , 1996). 이 방법은 채취지점을 중심으로 1~2 m 크기의 가상의 원 위에 있는 6개 지점과 원점에서 균등한 양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1개의 혼합시료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심토시료는 auger로 20 cm 단위로 심도 60 cm까지 채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한국수자원공사 (2002), 다락대 사격장내 토양오염 정밀조사를 통한 한탄강댐 수질예측 및 복원공법 연구. pp. 105-121. (in Korean). 

  2. Brannon, J. M. and Pennington, J. C. (2002),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process descriptors for explosives, Technical Report TR-02-10,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Vicksberg, MS, USA. pp. 1-4. 

  3. Gee, G. W. and Bauder, J. W. (1986), Particle-size analysis, In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I,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pp. 383-411. 

  4. Jenkins, T. F., Grant, C. L., Brar, G. S., Thorne, P. G., Ranney, T. A. and Schumacher, P. W. (1996), Assessment of sampling error associated with collection and analysis of soil samples at explosives-contaminated sites, Special Report 96-15,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ld Regions Research & Engineering Laboratory, Hanover, NH, USA, pp. 4-9. 

  5. 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7), Development of standard methods of explosive compounds analysis in soils, pp. 37-40 (in Korean). 

  6. Monteil-Rivera, F., Halasz, A., Groom, C., Zhao, J. S., Thiboutot, S., Ampleman, G. and Hawari, J. (2009), Fate and transport of explosives in the environment: A chemist's view, In "Ecotoxicology of explosives", Eds. Sunahara, G.I., Lotufo, G., Kuperman, R.G., and Hawari, J., CRC Press, Boca Raton, USA, pp. 5-34. 

  7. Park, S. H., Bae, B. H., Kim, M. K. and Chang, Y. Y. (2008),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mixed contaminants, explosives and heavy metals, at a small scale military shooting range, Jou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4, No. 5, pp. 523-532 (in Korean). 

  8. Pennington, J. C., Jenkins, T. F., Ampleman, G., Thiboutot, S., Brannon, J. M., Lewis, J., DeLaney, J. E., Clausen, J., Hewitt, A. D., Hollander, M. A., Hayes, C. A., Stark, J. A., Marois, A., Brochu, S., Dinh, H. Q., Lambert, D., Gagnon, A., Bouchard, M., Martel, R., Brousseau, P., Perron, N. M., Lefebvre, R., Davis, W., Ranney, T. A., Gauthier, C., Taylor, S. and Ballard, J. M. (2006) Distribution and fate of energetics on DoD test and training ranges: Final report 3, US Army Corps of Engineers, pp. 4-10-4-33. 

  9. Price, C. B., Brannon, J. M., Yost, S. Y. and Hayes, C. A. (2000), Adsorption and transformation of explosives in lowcarbon aquifer soils, ERDC/EL TR-00-11,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Vicksberg, MS, USA, pp. 16-20. 

  10. US Army Center for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ve Medicine (2001), Wildlife toxicity assessment for 2, 4, 6-trinitrotoluene, Project number 39-EJ-1138-00, Aberdeen Proving Ground, Maryland, USA, pp. 18-21. 

  11. US Army Center for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ve Medicine (2002), Wildlife toxicity assessment for 1, 3, 5-trinitrohexahydro-1, 3, 5-triazine (RDX), Project Number 39-EJ1138-01B, Aberdeen Proving Ground, Maryland, USA, pp. 20-23. 

  12. US EPA (2012a), 2012 Edition of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and health advisories, EPA 822-R-09-011.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pp. 6-7. 

  13. US EPA (2012b), Regional screening levels for chemical contaminants at superfund sites, http://www.epa.gov/reg3hwmd/risk/human/rb-concentration_table/index.htm. 

  14. Walsh, M. R., Collins, C. M. and Hewitt, A. D. (2008), Energetic residues from blow-in-place detonation of 60-mm and 120-mm fuzed high-explosive mortar cartridges, Technical Report TR-08-19,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ld Region Research and Engineering Laboratory, Hanover, NH, USA, pp. 1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