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효과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ffect models for complex sample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3, 2014년, pp.523 - 531  

박인호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설계효과는 새로운 표본설계를 계획하거나 기존 표본조사에 적용된 설계요소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Gabler 등 (2006)이 제시한 설계효과모형을 층화이단집락추출의 표본설계로 이루어진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에 응용하여 적용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표본설계모형의 유용성과 적절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ign effect is often used in designing and planning sample surveys and/or in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complex design features of the surveys. In this study, we applied Gabler et al. (2006)'s design effect model to 2013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that was carried out by stratified tw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에 적용된 설계효과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조사자료를 토대로 모형적용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는 우리나라 가구조사에서 흔히 채택하는 층화이단집락추출에 의해 수행된 조사로 Gabler 등 (2006)이 제시한 설계효과모형을 응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표본설계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절에서는 설계효과모형 (2.1)과 관련하여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의 결과를 근거로 개별 설계요소 및 설계효과결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Table 3.

가설 설정

  • 무응답조정 등과 같은 가중치 조정에 따른 불균등한 가중치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층별 가중치의 상대분산을 #으로 가정하였고, 층내 조사구 집락내상관계수는 통계청 사회조사의 추정값인 ρh =0.096을 가정하였다.
  • 유사한 조사 및 관련정보의 부재로 인해 설계효과평가를 위해 다음의 기본 설정을 가정하였다. 무응답조정 등과 같은 가중치 조정에 따른 불균등한 가중치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층별 가중치의 상대분산을 #으로 가정하였고, 층내 조사구 집락내상관계수는 통계청 사회조사의 추정값인 ρh =0.
  • 따라서 설계효과란 기존 표본설계에 적용되었거나 새로운 표본설계에 적용할 설계요소들이 단순확률추출 (simple random sampling, srs)과 비교하여 추정량 분산의 크기를 결정하는 영향력, 즉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때 단순확률추출에는 복원과 비복원의 방식이 모두 고려될 수 있지만 유한모집단 수정계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복원추출을 가정하고자 하는데, 이는 통계학에서 흔히 접하는 표본확률구조인 i.i.d.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상황에 해당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효과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설계효과 (design effect)는 복잡한 형태를 갖는 표본설계 (complex sampling design) 하에서 관심 추정량이 갖는 분산을 동일한 크기의 가상적인 단순확률표본이 주는 분산에 비교하여 정의된다 (Kish, 1965). 예를 들어, 관심변수 y의 평균추정치의 설계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식품소비행태조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식품소비행태조사는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현황파악과 트렌드분석을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관하여 일년주기의 반복조사 형태로 2013년에 처음 실시되었다.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1인 및 혈연가구의 식품 주구입자와 성인·청소년 구성원이며, 전국과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강원권의 6개 권역을 주요 분석영역으로 고려하고 있다.
과학적 조사연구를 위해 채택하는 대부분의 표본설계가 단순 확률 추출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설계 요소를 채택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과학적 조사연구를 위해 채택하는 대부분의 표본설계는 단순확률추출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설계요소를 채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집단을 서로 겹치지 않는 층으로 구분한 뒤 층별로 표본을 뽑는 층화추출을 통해 통계적 효율성은 물론 조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표본개체를 여러 단계에 걸쳐 뽑는 다단계추출을 고려함에 따라 표본개체들은 자연스럽게 집락화되며, 이를 통해 조사방문을 위한 지역이 축소될 수 있어 조사비용의 절감과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정한 부분모집단으로부터 더 많은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모집단 개체들에 대한 불균등한 비율로 표본추출을 적용하게 됨에 따라 개체별로 상이한 표본가중치가 부여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요소들은 표본추정치의 정확성이나 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설계요소들이 주는 추정량의 분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단순확률추출과 비교하여 설계효과의 형태로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nkier, M. D. (1988). Power allocation: Determining sample sizes for subnational areas. The American Statistician, 42, 174-177. 

  2. Gabler, S., Hader, S. and Lahiri, P. (1999). A model based justification of Kish's formula for design effects for weighting and clustering. Survey Methodology, 25, 105-106. 

  3. Gabler, S., Hader, S. and Lynn, P. (2006). Design effects for multiple design samples. Survey Methodology, 32, 115-120. 

  4. Heeringa, S. G., West, B. T. and Berglund, P. A. (2010). Applied survey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Boca Raton. 

  5. Kalton, G., Brick, M. and Le, T. (2005). Estimating components of design effect for use in sample design. In The Household Sample Surveys in Developing and Transition Countries, United Nations, New York. 

  6. Kim, H. and Kwak, H. (2013). A sampling design for e-learning industry status survey on the business demand sect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701-712. 

  7. Kish, L. (1965). Survey sampling, John Wiley & Son, New York. 

  8. Kish, L. (1987). Weighting in Deft2. The Survey Statistician, June, 1987. 

  9. Lee, H. (2012). How should one find out the contributions to the design effect (variance) made by each of the design components (stratification, clustering, weighting) of a complex sample design? Survey Statistician, 66, 16-20. 

  10. Lee, K. I., Hwang, Y. J., Kim, D. W., Ban, H. J. and Park, I. (2013). 2013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ublic of Korea. 

  11. Lynn, P. and Gabler, S. (2005). Approximations to $b^*$ in the prediction of design effects due to clustering. Survey Methodology, 31, 101-104. 

  12. Lynn, P., Gabler, S., Hader, S. and Laaksonen, S. (2007). Methods for achieving equivalence of samples in cross-national surveys.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27, 107-124. 

  13. OECD. (2003). Business tendency surveys, A handbook, Paris. 

  14. Park, I. (2014). Performance analysis of household survey : 2013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Under revision. 

  15. Park, I., Byun, J. S. and Im, C. S. (2013). Sampling design and weighting for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Republic of Korea. 

  16. Park, I. and Lee, H. (2004). Design effects for the weighted mean and total estimator under complex survey sampling. Survey Methodology, 30, 183-193. 

  17. Rust, K. and Broene, P. (2010). Design effects for totals in multi-stage sampl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Section of Survey Research Methods, 2174-2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