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대륙붕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음향특성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와 퇴적물을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의 입도는 주로 $6.3{\sim}9.7{\Phi}$의 분포를 보인다. 퇴적물은 니질과 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만으로 갈수록 입도가 감소한다.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가막만의 층서는 하부 경계면인 음향기반암 위로 2개의 퇴적층서(GB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층서는 중간 반사 경계면(최대해침면)에 의해 구분된다.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는 음향기반암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아래 약 20 m에서부터 최대 40 m 깊이에서 나타나며,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하부층인 GB I은 수로를 피복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으며 무층리 반사 특징을 보인다. 이는 후기 해침동안 퇴적된 해침퇴적계열(TST)로, 조간대환경 퇴적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대해침면은 평균 해수면 아래 약 15 m에서부터 28 m 깊이에서 나타나며, 탄성파 단면상에서 편평하고 연속적인 반사면으로 나타난다. 최대해침면 위에 놓여있는 GB II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음향특성, 그리고 평행한 반사 층리로 구성되며, 해수면이 현재의 위치에 도달했던 지난 6,000년 이후에 퇴적된 고해수면 퇴적계열(HST)로 해석된다. 특히, GB II 퇴적층은 고해수면 반사 경계면에 의해 2개의 층(GB II-a and II-b)으로 세분화되며 이는 바람, 해수 유동량, 그리고 조류에 의해 구분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coupled with sediment sampling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late Holocene sediments in Gamak Bay of the South Sea, Korea. The mean grain size of surficial sediment lies around $6.3{\sim}9.7{\Phi}$.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막만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와 퇴적물 시료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제4기 후기 퇴적체 층서 구분 및 각 층서의 발달 특성을 기술하고, 반 폐쇄 지형 특성을 가진 가막만의 해저지층 구조와 퇴적층서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퇴적물 이동과 퇴적에 영향을 미치는 조류 흐름에 따른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막만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와 퇴적물 시료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제4기 후기 퇴적체 층서 구분 및 각 층서의 발달 특성을 기술하고, 반 폐쇄 지형 특성을 가진 가막만의 해저지층 구조와 퇴적층서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퇴적물 이동과 퇴적에 영향을 미치는 조류 흐름에 따른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막만의 지리적 특징은? 연구지역인 가막만은 한반도 남해안 중앙부에 위치하며, 주변 해역은 크고 작은 반도와 섬으로 형성된 내만이 잘 발달한 곳으로서 서측으로 여자만, 북측으로 광양만 그리고 동측으로 여수해만 등이 분포하고 있다(Fig. 1A).
가막만 형태는? 1B). 만의 형태는 동서방향 9 km, 남북방향 15 km의 타원형 모양으로써, 만의 표면적이 112 km2, 해수용적 7.1×108m3으로 알려져있다(Kim et al., 2012).
음향기반암이란? 음향기반암(Acoustic Basement): 가막만 지역에 나타나는 음향 기반암은 상부 퇴적층과 하부의 결정질 암석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선이다. 탄성파 기록상에 나타나는 음향기반암의 양상은 매우 불규칙하며 기복이 심한 형태를 보이는데(Fig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attaneo, A. and F. Trincardi, 1999. The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record in the Adriatic epicontinental Sea: Basin widening and facies partitioning. In: Bergman, K.M., Snedden, J.W. (Eds.), Isolated Shallow Marine Sand Bodies: Sequence Stratigraphic Analysis and Sedimentologic Interpretation. SEPM Spec. Publ., 64: 127-146. 

  2. Chang, J.H. and S.S. Chun, 2001.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paleo-seomjin river incised-valley system, southern coast of Korea: 1.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Yosu Strait. J. Korean Soc. Oceanogr., 6: 142-151. 

  3. Choi, D.L., S.M. Hyun and T.H. Lee, 2002.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8: 35-43. 

  4. Choi, D.L. and T.H. Lee, 2007. Development of Sedimentary Sequence in the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9: 411-418. 

  5. Damuth, J.E., 1975. Echo characters of the western equatorial Atlantic floor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ispersal and distribution of terrigenous sediments. Mar. Geol., 18: 17-45. 

  6. Damuth, J.E., 1980. Use of high-frequency (3.5-12 kHz) ecograms in the study of near-bottom sedimentation processes in the deepsea: a review. Mar. Geol., 38: 51-75. 

  7. Damuth, J.E. and D.E. Hayes, 1977. Echo character of the east Brazilian continental margin and its relationship to sedimentary processes. Mar. Geol., 24: 73-95. 

  8. Fleming, K., P. Johnston, D. Zwarts, Y. Yokoyama, K. Lambeck and J. Chappell, 1998. Refining the eustatic sea-level curve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using far-and intermediate-field sites. Earth Planet. Sci. Lett., 163: 327-342. 

  9. Han, H.S., 2005. Sequence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Quaternary deposits o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21 pp. 

  10. Hanebuth, T., K. Stattegger and P.M. Grootes, 2000. Rapid flooding of the Sunda Shelf a late-glacial sea level record. Science, 288: 1033-1035. 

  11. Kang, H.J. and S.K. Chough, 1982. Gama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Sedimentation on a tide-dominated rocky embayment. Mar. Geol., 48: 197-214. 

  12.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2000. Study on Quaternary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Korean Continental Shelf area.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665 pp. 

  13. Kim, B.K., 2006. Marine environment of Gamak Bay by field observations and numerical experiments.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su, 97 pp. 

  14. Kim, B.K., M.O. Lee and S.J. Park, 2012. Characteristic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s, and Seawater Exchange in Gamak Bay. J. of Kor. Soc. Mar. Envir. Eng., 15: 101-110. 

  15. Kim, D.C., G.S. Lee, G.H. Lee and S.C. Park, 2008. Sediment echo type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as-related acoustic anomalies in Jinhae Bay, southern Korea. Geosci. J., 12: 47-61. 

  16. Kim, S.R., 2012. Development of Holocene sediments in semi-closed Gamak Bay, the South Sea of Korea.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89 pp. 

  17. LeBlanc, L.R., L. Mayer, M. Rufino, S.G. Schock and J. King, 1992. Marine sediment classification using the Chirp sonar. J. Acoust. Soc. Am., 91: 107-115. 

  18. Lee, G.H., 1992. The Pattern of Sea Water Circulation in Kamak Bay. Bull. Korean Fish. Tech. Soc., 28: 117-131. 

  19. Lee, G.H. and K.D. Cho, 1990.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Bull. Korean Fish. Soc., 23: 25-39. 

  20. Lee, G.S., D.C. Kim, G.H. Lee, S.C. Park, G.Y. Kim, D.G. Yoo, J.C. Kim and Gunay Cifci, 2009. Phys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gas-bearing sediments in Jinhae Bay, the South sea of Korea. Mar. Georesour. Geotechnol., 27: 96-114. 

  21. Lee, M.C. and S.D. Chang, 1982. Tidal exchange of sea water in Gamag Bay. J. Oceanal Soc. Korea, 17: 12-18. 

  22. Liu, J.P., J.D. Milliman, S. Gao and P. Cheng, 2004. Holocene development of the Yellow River's subaqueous delta, North Yellow Sea. Mar. Geol., 209: 45-67. 

  23. Min, G.H., 1994.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f Pliocene-Holocene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shelf,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6 pp. 

  24.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1. Establishment of action plans for model coa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s: Environmental status of the Kamak Bay, a marine conservation area. Report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75 pp. 

  25. No, I.H., 2003.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its origin in sediment in Gamak Bay, Southern Korea. Master Thesis, Yosu National University, Yosu, 126 pp. 

  26. Park, S.C., Y.S. Kim and S.K. Hong, 1991. Shallow seismic strati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a macrotidal bay: 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Mar. Geol., 98: 135-144. 

  27. Park, S.C., K.W. Lee and Y.I. Song, 1995. Acoustic character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odern fine-grained deposits in a tidedominated coast bay: Jinhae Bay, Southeast Korea. Geo-Mar. Lett., 15: 77-84. 

  28. Park, S.E., K.D. Cho, C.H. Hong, D.S. Kim and K.W. Cho, 1999. An Effect of Wind on Circulation in Kamak Bay. J. Korean Fish. Soc., 32: 674-679. 

  29. Posamentier, H.W., M.T. Jervey and P.R. Vail, 1988. Eustatic controls on clastic deposition I-Conceptual framework. In: Wiligus, C.K., Posamentier, H., Ross, C.A. and Kendall, C. G. St. C. (Eds.), Sea-Level Changes: An Integrated Approach. Soc. Econ. Paleontol. Mineral. Spec. Publ., 42: 124-154. 

  30. Schock, S.G., L.R. LeBlanc and L.A. Mayer, 1989. Chrip subbottom profiler for quantitative sediment analysis. Geophysics, 54: 445-450. 

  31. Shackleton, N., 2000. The 100,000-year ice-age cycle identified and found to lag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orbital eccentricity. Science, 289: 1897-1902. 

  32. Song, Y.O., D.H. Yoo and K.R. Dyer, 1983. Sediment distribution, circulation and provenance in a macrotidal bay: Garolim Bay, Korea. Mar. Geol., 52: 121-140. 

  33. Stanford, J.D., R. Hemingway, E.J. Rohling, P.G. Challenor, M. Medina-Elizalde and A.J. Lester, 2010. Sea-level probability for the last deglaciation: A statistical analysis of far-field records. Glob. Planet. Change., 79: 193-203. 

  34. Tesson, M., H.W. Posamentier and B. Gensous, 2000. Stratigraphy organization of late Pleistocene deposits of the western part of the Golfe du Lion Shelf (Languedoc Shelf), western Mediterranean Sea, using high-resolution seismic and core data. Am. Assoc. Petrol. Geol., 84: 119-150. 

  35. Trincardi, F., A. Correggiari and M. Roveri, 1994.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erosion and deposition in a modern epicontinental shelf: the Adriatic semienclosed Basin. Geo-Mar. Lett., 14: 41-51. 

  36. Yoo, D.G., C.W. Lee, J.Y. Choi, S.C. Park and J.H. Choi, 2003.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8: 369-379. 

  37. Vail, P.R., 1987.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using sequence stratigraphy. Part 1: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procedure. Am. Assoc. Petrol. Geol. Stud. Geol., 27: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