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갈등관리 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gumentat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Communication Anxiety on Conflict Management Sty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5, 2014년, pp.468 - 479  

남궁은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김은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김인영 (위덕대학교 자율전공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등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들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총 40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논쟁 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갈등상황에서 통합, 경쟁, 타협 방식을 사용하며, 회피나 양보방식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언어적 공격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경쟁 방식을 사용하며, 회피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높으면 회피나 양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통합이나 경쟁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함의 또한 다루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amine the way in which communica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argumentat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communication anxiety have an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Four hundred and fou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gumenta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이 실제로 갈등관리 방식 선택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 연관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갈등상황에서 이슈에 대한 공격과 갈등 상대방의 자아에 대한 공격적 성향이 각기 어떤 갈등관리 방식 선택으로 귀결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이 요인들이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성향과 반대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증대가 갈등에 직면한 사람을 얼마나 소극적으로 대응하게 하는지를 발견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은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보여줄 뿐, 실제 커뮤니케이션 변수들이 갈등관리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인과적인 영향력을 판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갈등관리 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갈등상황에서 이슈에 대한 공격과 갈등 상대방의 자아에 대한 공격적 성향이 각기 어떤 갈등관리 방식 선택으로 귀결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이 요인들이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성향과 반대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증대가 갈등에 직면한 사람을 얼마나 소극적으로 대응하게 하는지를 발견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발견은 건강한 관계의 유지와 발전, 나아가 행복을 위하여 개인이 함양해야 할 커뮤니케이션 성향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변수인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여기에 제시된 변수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등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모형으로 표현하면 [그림 1]과 같다.
  • 앞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인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각각 갈등관리 방식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갈등관리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갈등관리 유형과의 관계[7], 개인의 성격요인이 갈등관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10]가 시도되었지만 아직 탐색적 연구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이 실제로 갈등관리 방식 선택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 연관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갈등상황에서 이슈에 대한 공격과 갈등 상대방의 자아에 대한 공격적 성향이 각기 어떤 갈등관리 방식 선택으로 귀결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변수인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여기에 제시된 변수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H1-1: 갈등관리에서 논쟁성향은 통합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갈등관리에서 논쟁성향은 경쟁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갈등관리에서 논쟁성향은 타협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갈등관리에서 논쟁성향은 양보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갈등관리에서 논쟁성향은 회피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논쟁성향은 갈등관리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갈등관리에서 언어적 공격성은 통합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갈등관리에서 언어적 공격성은 경쟁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갈등관리에서 언어적 공격성은 타협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갈등관리에서 언어적 공격성은 양보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5: 갈등관리에서 언어적 공격성은 회피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언어적 공격성은 갈등관리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갈등관리에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통합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2: 갈등관리에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경쟁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3: 갈등관리에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타협방식의 사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4: 갈등관리에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양보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5: 갈등관리에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회피방식의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는 언어적 공격성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회귀분석 결과, 언어적 공격성은 경쟁 방식(β=.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등 연구는 어떻게 나누어 이루어져 있는가?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기존 갈등연구에서는 개인이 갈등 상황에 처했을 때 반복적으로 보이는 대처 행동 유형인 갈등관리 방식(conflictmanagementstyle)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삼아왔다. 이전의 갈등 연구는 크게 갈등이 발전되는 과정과 갈등을 규정짓는 구조에 대한 연구로 나뉘어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 갈등관리 방식은 갈등 참여자들이 지니고 있는 일관적인 특성이 갈등을 규정한다는 점에서 갈등의 구조적 차원으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 실제로 갈등관리 방식은 이성 관계[1]나 부부 관계에서의 만족감[2], 조직이나 일에 대한 만족감[3] 또는 높은 업무 조직성과[4]등 관계와 일이라는 삶의 중요한 측면과 관련이 있다.
갈등관리 방식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여겨진 이유는? 갈등은 우리 생활 속에 항상 잠재되어 있다. 따라서 갈등에 대처하는 방식은 삶의 방향과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기존 갈등연구에서는 개인이 갈등 상황에 처했을 때 반복적으로 보이는 대처 행동 유형인 갈등관리 방식(conflictmanagementstyle)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삼아왔다.
갈등관리 방식은 어떤점에서 갈등의 구조적 차원으로 중요하게 다뤄져 왔는가?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기존 갈등연구에서는 개인이 갈등 상황에 처했을 때 반복적으로 보이는 대처 행동 유형인 갈등관리 방식(conflictmanagementstyle)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삼아왔다. 이전의 갈등 연구는 크게 갈등이 발전되는 과정과 갈등을 규정짓는 구조에 대한 연구로 나뉘어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 갈등관리 방식은 갈등 참여자들이 지니고 있는 일관적인 특성이 갈등을 규정한다는 점에서 갈등의 구조적 차원으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 실제로 갈등관리 방식은 이성 관계[1]나 부부 관계에서의 만족감[2], 조직이나 일에 대한 만족감[3] 또는 높은 업무 조직성과[4]등 관계와 일이라는 삶의 중요한 측면과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곽소영, 손은정,"이성 관계에서의 심리적 욕구충족에 따른 관계만족도: 자율성 정도와 갈등해결전략의 매개검증,"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pp.424-425, 2007. 

  2. 박영화, 고재홍,"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pp.65-83, 2005. 

  3. 홍순복,"세무조사팀관리자의 갈등관리방식이 공정성지각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181-189, 2013. 

  4. 박영만, 김은정, 정주섭, 강호정,"민간경호경비조직의 갈등관리방식과 조직성과의 관계,"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75-386, 2010. 

  5. W. R. Cupach and D. J. Canary, Competence in Interpersonal Conflict, New York: McGraw-hill, 1997. 

  6. D. J. Canary, W. R. Cupach, and R. Serpe,"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examine interpersonal conflict: Test of a longitudinal model,"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pp.79-104, 2001. 

  7. 장해순, 한주리, 강태완,"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갈등관리유형 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276-310, 2007. 

  8. D. A. Infante and A. S. Rancer,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 of argumentat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6, pp.72-80, 1982. 

  9. A. Ellis, How to controlanxiety before it controls you, New York ;Partridge Green: Citadel Biblios, 2001. 

  10. 장해순, 한주리, 허경호,"갈등관리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퍼스낼리티 요인: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자기감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7권, pp.418-451, 2007. 

  11. W. W. Wilmot and J. L. Hocker, Interpersonal Conflict. New York: McGraw-hill, 2007. 

  12. M. A. Rahim,"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pp.368-376, 1986. 

  13. L. Putnam and C. E. Wilson, "Communication strategies in organization conflic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easurement scale," In M. Burgoon (Ed.), Communication Yearbook 6. Beberly Hills, CA: Sage, 1982. 

  14. A. L. Sillars, "The sequential and distributional structure of conflictinteractions as a function of attribution concerning the locus of responsibility and stability of conflicts," In D. Nimmo(Ed.), Communication Yearbook 4. New Brunswick, New Jersy: Transaction, 1980. 

  15. K. L. Alexander, Prosocial behavior of adolescence in work and family life: Empathy andc 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ith parents and peers.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2000. 

  16. 장해순, 강태완,"스피치교육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1호, pp.163-192, 2005. 

  17. M. E. Roloff, "Communication strategies, relationships, and relationalchange," In G. Miller (Ed. ), Exploration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verly Hills, CA: Sage, 1976. 

  18. 최혜진. 갈등관리 구조와 전략, 서울: 두남, 2004. 

  19. D. A. Infante,"Trait argumentativeness as a predictor of communicative behavior in situations requiring argument," Central States Speech Journal, Vol.32, pp.265-272, 1981. 

  20. E. O. Onyekwere, R. B. Rubin, and D. A. Infante, "Interpersonal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argumentativeness and ego-involv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39, pp.35-47, 1991. 

  21. B. Schultz, "Argumentativeness: Its effect in group decision-making and its role in leadership perception," Communication Quarterly, Vol.30, pp.368-375, 1982. 

  22. Levine and Badger, "Argumentativeness and resistance to persuasion," Communication Reports, Vol.6, pp.71-78, 1993. 

  23. D. A. Infante and C. J. Wigley, "Verbal aggressiveness: An interpersonal model and measure," Communication Monographs, Vol.53, pp.61-69, 1983. 

  24. D. A. Infante," Aggressiveness," In J. C. McCroskey & J. A. Daly(Eds.),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p.157-192). Newbury Park, CA: Sage, 1987. 

  25. M. M. Martin and C. M. Anderson, "Argumentativeness and verbal aggressiveness,"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Vol.11, pp.547-554, 1996. 

  26. D. A. Infante, J. D. Trebing, P. E. Shepherd, and D. E. Seeds, "The relationship of argumentativeness to verbal aggression," The Southern Speech Communication Journal, Vol.50, pp.67-77, 1984. 

  27. J. M. Gottman, Marital interac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s. NY: Academic Press, 1979. 

  28. D. A. Infante, S. A. Myers, and R. A. Buerkel, "Argument and verbal aggression in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family and organizational disagreements," Wester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8, pp.73-84, 1994. 

  29. M. M. Martin and C. M. Anderson, "Argumentativeness and verbal aggressiveness"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Vol.11, pp.547-554, 1996. 

  30. McCroskey, An Introduction to Rhetorical Communication(6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3. 

  31. R. B. Rubin, A. M. Rubin, and F. F. Jordan, "Effects of instruc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Education, Vol.46, pp.104-114, 1997. 

  32. B. H. Spitzberg and H. T. Hurt,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in instructional contexts," Communication Education, Vol.36, pp.28-45, 1987. 

  33. R. B. Rubin, "The validity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Communication Monograph, Vol.52, pp.173-185, 1985. 

  34. B. H. Spitzberg and W. R.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Y: Springer-Verlag, 1989. 

  35. R. B. Rubin, E. M. Perse, and C. A. Barbato,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pp.602-682, 1988. 

  36. L. C. Lederman, "High communication apprehensive talk about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ts effects on their behavior," Communication Quarterly, Vol.31, pp.233-237, 1983. 

  37. K. K. Dwyer and D. A. Fus,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trait communication apprehensio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19, pp.29-37, 2002. 

  38. M. A. Rahim and N. R. Magn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First-order factor model and its invariance across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pp.112-132,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