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화층 토양미생물에 의한 하천수의 nitrate 제거: 실험실규모 컬럼 실험
Removal of Nitrate in River Water by Microorganisms in Saturated-Zone Soil: Laboratory-Scale Column Tes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5 = no.169, 2014년, pp.543 - 548  

박정용 (동아대학교 환경공학과) ,  안영희 (동아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은 안정적으로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통해 대수층에 하천수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퍼 올려 상수 원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주입된 물이 저장되는 동안 대수층의 토착미생물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규모의 컬럼 반응기를 이용하여 대수층을 모사한 포화층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한 $NO_3{^-}$ 제거를 조사하였다. $NO_3{^-}$는 낙동강의 대표적인 무기 오염물 중의 하나이다. 낙동강 하류에서 최근 2년간 측정된 $NO_3{^-}$ 농도 범위를 고려해서 $NO_3{^-}$ 농도를 달리한 하천수를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5.07, 6.81, 8.27, 그리고 11.07 mg $NO_3{^-}/l$.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양한 $NO_3{^-}$농도에 상관없이 유입수가 반응기에 체류하는 동안 $NO_3{^-}$는 농도가 감소되어 유출수는 1.49 mg $NO_3{^-}/l$이하로 측정되었으며 본 실험기간 동안 평균 pH 7.98을 유지하였다. 한편 abiotic control 반응기에서는 유입수에 포함된 $NO_3{^-}$ 농도와 유출수의 $NO_3{^-}$ 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래서 본 실험조건하에서 반응기로 도입된 하천수의 $NO_3{^-}$이 포화층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대수층 함양 및 회수기술에서 대수층의 미생물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quifer recharge and recovery is a technology used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clean water. During the process, river water is injected into a soil aquifer and stored. The stored water is then recovered and used to produce drinking wat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in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인공함양기술에서 미생물에 의한 수질개선을 이해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대수층을 모사한 포화층토양에 하천수를 주입하고 주입한 하천수에 존재하는 NO3-이 포화층의 토착미생물에 의해 제거가 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은 무엇인가?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은 안정적으로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통해 대수층에 하천수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퍼 올려 상수 원수로 사용할 수 있다.
nitrate (NO3-)의 위험성은? 낙동강의 하류와 하구에 위치한 부산은 낙동강 중, 상류에 위치한 산업단지로부터 배출되어 낙동강에 유입되어 흘러 들어온 오염물과 더불어 부산자체내의 농업 및 산업단지에서 발생된 오염물로 인한 이중오염에 대한 잠재성이 있다. 이 오염물들 중에서 특히 nitrate (NO3-)는 유아청색증(Methemo-globinemia)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의 원인물질로서 담수나 해수에서 조류의 번식을 증가시킨다[6, 8, 19]. 조류의 과다번식은 물맛의 저하는 물론이고 어류의 치사 등 수생태계에 오염을 발생시킴으로써 환경적 문제는 물론이고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대수층 함양 및 회수(Aquifer recharge and recovery)기술은 안정적으로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통해 대수층에 하천수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퍼 올려 상수 원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주입된 물이 저장되는 동안 대수층의 토착미생물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Y., Jung, H., Tatavarty, R., Choi, H., Yang, J.-W. and Kim, I. S. 2005. Monitoring of petroleum hydrocarbon degradative potential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ozonated soil. Biodegradation 16, 45-56. 

  2. Busan Water Authority. 2013. 2013 Drinking water statistics annual report. Busan Water Authority, Busan, Korea. 

  3. Cartwright, C. D., Owen, S. A., Thompson, I. P. and Burns, R. G. 2000. Biodegradation of diethyl phthalate in soil by a novel pathway. FEMS Microbiol Lett 186 , 27-34. 

  4. Dillon, P. 2005. Futur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Hydrogeol J 13, 313-316. 

  5. Kim, I., Whang, Y., Jung, M., Lee, Hwa., Kang, H., Lee, S., Ryu, D. and Kwon, K. 2013. Water quality of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Moulgeum, Maeri, and Samryangjin. The Report of Water Quality Inst 13, 337-393. 

  6. Kim, M. S., Chung, Y. R., Suh, E. H. and Song, W. S. 2002. Eutrophication of Nakdong River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lgae 17, 105-115. 

  7. Kim, Y. and Kim, Y. 2010. A review on the state of the art in th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J Geol Soc Kor 46, 521-533. 

  8. Kross, B. C., Ayebo, A. D. and Fuortes, L. J. 1992. Methemoglobinemia: nitrate toxicity in rural America. Am Fam Physician 46, 183-188. 

  9. Li, D., Alidina, M., Ouf, M., Sharp, J. O., Saikaly, P. and Drewes, J. E. 2013. Microbial community evolution during simulated managed aquifer recharge in response to different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 (BDOC) concentrations. Water Res 47, 2421-2430. 

  10. Lichstein, H. C. and Soule, M. H. 1944. Studies of the effect of sodium azide on microbic growth and respiration: I. The action of sodium azide on microbic growth. J Bacteriol 3, 221-230. 

  11. Maagd, P. G. de Sinnige, T. L., Schrap, S. M., Opperhuizen, A. and Sum, D. T. H. M. 1998. Sorption coefficient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or two lake sediments: influence of the bactericide sodium azide. Environ Toxicol Chem 17, 1899-1907. 

  12. Maliva, R. G., Missimer, T. M., Winslow, F. P. and Herrmann, R. 2011. Aquifer storage and recovery of treated sewage effluent in the Middle East. Arab J Sci Eng 36, 63-74. 

  13. Massa, S., Caruso, M., Trovatelli, F. and Tosques, M. 1998. Comparison of plate count agar and R2A medium for enumer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natural mineral water.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14, 727-730.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Standard methods for analysis of water contamin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gi-do, Korea.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tandard methods for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gi-do, Korea.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Article 2, Environmental Standards. In: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gi-do, Korea.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Standard methods for analysis of drinking water.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gi-do, Korea. 

  18. Phelps, T. J., Niedzielski, J. J., Schram, R. M., Herbes, S. E. and White, D. C. 1990.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continuous-recycle expanded-bed bioreactors. Appl Environ Microbiol 56, 1702-1709. 

  19. Rivetta, M. O., Bussb, S. R., Morgan, P., J. Smith, J. W. N. and Bemment, C. D. 2008. Nitrate attenuation in groundwater: a review of biogeochemical controlling processes. Water Res 42, 4215-4232. 

  20. Seligman, P. F., Valkirs, A. O. and Lee, R. F. 1986. Degradation of tributyltin in San Diego bay, California, waters. Environ Sci Technol 20, 1229-1235. 

  21.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986. Part 1,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In: Klute, A. (ed.), Methods of Soil Analysis (2nd e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Inc. Publisher: Madison, Wisconsin. 

  22. Thomas, B., Steidl, J., Dietrich, O. and Lischeid, G. 2011. Measures to sustain seasonal minimum runoff in small catchments in the mid-latitudes: A review. J Hydrol 408, 296-307. 

  23. Zhang, X., Zhao, X. and Zhang, M. 2012. Functional diversity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along a soil aquifer for reclaimed water recharge. FEMS Microbiol Ecol 80, 9-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