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주증과 원인에 대한 후향분석: 3,180례
Retrospective Analysis of Chief Complaints and Causes of Dogs and Cats during Emergency Visits: 3,180 Cases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1 no.2, 2014년, pp.90 - 94  

이혜경 (해마루동물병원) ,  손원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서지민 (해마루동물병원) ,  김현욱 (해마루동물병원) ,  이인형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흔한 주증과 원인을 파악하고, 응급진료를 제공하는 한국의 응급 동물병원에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 사항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의 응급실에 2012년 3월부터 2013년 8월 사이에 내원한 2,368마리의 개와 347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중, 255마리의 개와 35마리의 고양이는 두 번 이상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이들은 각각의 내원을 하나의 증례로 취급하였다. 따라서 개에서 총 2,784증례와 고양이에서 396증례를 분석하였다. 진료 기록에서는 품고, 주증, 진단, 입원 여부, 생존여부를 분석하였다. 개의 주증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호흡곤란, 외상, 발작, 기력저하 순이었다. 개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소화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경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혈액 질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의 주증으로는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 외상, 배뇨곤란, 기력저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비뇨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화기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감염성 질환, 심혈관계 질환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와 호흡곤란, 외상이 개와 고양이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주증이었으며, 이 세가지가 전체 증례의 주증 중에서 약 48.6%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흔히 진단되는 질환은 종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응급한 환자를 진단하고 안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응급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준비 사항은 충분한 지식을 갖춘 숙련된 인력과 응급 처치와 진단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n the frequent chief complaints and the causes of dogs and cats visiting to an emergency department, and to suggest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veterinary emergency clinics in South Korea.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2,368 dogs and 347 cats visi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ased on the same reason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supplementary oxygen, endotracheal tube, Ambu bag, monitoring devices such as electrocardiography, pulse oximetry and blood pressure monitor, sterilized surgical instruments (surgical pack), crystalloids, colloids, blood products, emergency drugs, anesthetics, analgesics, and other medical supplies for emergency procedures. The emergency facilities should have the capacity to perform laboratory tests for minimal database, radiography, ultrasonography, and endoscopy to diagnose and treat the emergency patients according to the common chief complain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identify the frequent chief complaints and the causes for the dogs and the cats visiting an emergency clinic, which can be provided as a reference to suggest minimum requirements of the emergency clinics in South Ko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on. Minimum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veterinary emergency and critical care facilities [Internet]. Vet Emerg Crit Care Soc. 2013. Available from: http://www.veccs.org. 

  2. Berny P, Caloni F, Croubels S, Sachana M, Vandenbroucke V, Davanzo F, Guitart R. Animal poisoning in Europe. Part 2: Companion animals. Vet J 2010; 183: 255-259. 

  3. Cameron ME, Casey RA, Bradshaw JW, Waran NK, Gunn- Moore DA. A study of environmental and behavioural factor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feline idiopathic cystitis. J Small Anim Pract 2004; 45: 144-147. 

  4. Cole S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Small animal critical care medicine,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2009: 14-21. 

  5. Dugdale A. Geriatrics. In: Veterinary anaesthesia principles to practice, 1st ed. Ames: Blackwell Publishing. 2010: 315-317. 

  6. Kraft W. Geriatrics in canine and feline internal medicine. Eur J Med Res 1998; 3: 31-41. 

  7. LeCouteur RA, Child G. Clinical management of epilepsy of dogs and cats. Probl Vet Med 1989; 1: 578-595. 

  8. McMichael M.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In: Small animal critical care medicine,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2009: 747-751. 

  9. McMichael M, Herring J, Fletcher DJ, Boller M. RECOVER evidence and knowledge gap analysis on veterinary CPR. Part 2: Preparedness and prevention. J Vet Emerg Crit Care 2012; 22: S13-25. 

  10. Niska RW, Bhuiya F, Xu J.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2007 emergency department summary. Natl health stat report 2010; 26: 1-31. 

  11. Pitts SR, Niska RW, Xu J, Burt CW.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2006 emergency department summary. Natl health stat report 2008; 7: 1-38. 

  12. Willeberg P. Epidemiology of naturally occurring feline urologic syndrome.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1984; 14: 455-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