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창의성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using Six Thinking Hats techniques on Creativity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7 no.1, 2014년, pp.34 - 42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  강정문 (부산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using six thinking hats techniques on creativity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u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four classes of an elementary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적용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 및 문헌 조사를 하고 수업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수업안을 구안하여 과학수업에 적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창의적 사고 기법이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 기법의 한 분야인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및 과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첫째,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가설 설정

  • 05). 그러므로 창의성 사전 검사 결과,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집단임을 가정하고 실험 처치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13년 B 광역시의 B초등학교의 4학년 80명을 대상으로 1개 반 40명은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적용하는 연구집단으로, 또 다른 1개 반 40명은 일반적인 과학수업을 적용하는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이 있는 학교는 시내 중심지에서 조금 떨어진 도심 외곽지역이며 학생들의 가정은 대체로 사회경제적으로 보통 수준이며, 학생들의 기초학력은 대체로 중간 정도이다.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학급 편성은 학업 성취도, 가정환경, 성별 등을 고려하여 편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학기술부(2011)가 고시한 공통 교육과정으로서의 과학의 성격은? 이것은 국민 개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끊임없는 노력에 귀인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흐름과 맥락을 같이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1)가 고시한 공통 교육과정으로서의 ‘과학’의 성격은 “초등학교 3학년에서부터 10학년까지 모든 학생이 학습하는 교과로서,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여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되어 있다. 이는 5, 6차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성 교육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과학 교과를 통한 창의성 신장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자질들을 끊임없이 발현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TTCT 도형검사 A형의 구성과 특징은? TTCT 도형검사 A형은 그림 구성, 그림 완성, 쌍의 두 직선의 세 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활동별로 10분씩 총 30분의 검사시간이 소요된다.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이었음이 의미하는 바는? 첫째, 육색사고기법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육색사고기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다양한 아이디어의 생성, 비판적인 사고, 창의적인 사고 등을 통해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ang Woo Seok(2012). The Effects of Utilization of Creative Technique on Scientific Motivation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in Elementary Science Class.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Ministry of Education(2011). Receiv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Guidebook 5-1. Kums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3. Kim Dae Sung, Lee Yong Seob. Effects of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on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arth Education. 5(1), 51-59. 

  4. Kim(2006). Effects of mind map activity on science achievement and inquiry ability.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Kim Myung Sook(1998). Effects of the Type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 and the Related Variables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Ph. 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6. Kim Bo Mi(2012). The Explor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the SCAMPER : Focusing on Dissolution.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Kim Sang Dal, Kim Eun Jung, Ju Cook Young, Choi Sung Bong, Hong Dong Gyoon(2008). The Effects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Instruction Using Mind Map.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7), 617-625. 

  8. Kim Young Joo(2002). The Stimulating of Creativity in Gifted Children Through The Use of a Formulated Brainstorming Program.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Kim Yong Kwon, Shin Sang Soon, Lee Seok Hee(2004). The Effects of Concept Mapping Activit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3), 208-218. 

  10. Kim Chan Ki(2004). The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Kim Cheon Sik(2007).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Program for Science Classes with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Kim Ho Jin(2009). The influenc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on the degree of studies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class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Ryu Eun Joo(2011). The effect of children's notable picture appreciation using the six thinking hats on their creativity and abilities of verbal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4. Kim Nam Il, Ryu Ho Cheon, Kang Tae Won(1999).The Effects of Science Learning Activities with Mind Mapping on the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27(3), 177-184. 

  15. Park Mi Ja(2011). Lesson Plan of Language class competi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jin Elementary School. 

  16. Park Mi Jin, Lee Yong Seob(2010). Effective Educational Use of Thinking Maps in Science Instruction.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47-54. 

  17. Park Ju Young(2008). Six thinking hats : the theory and its application.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8. Song Hyun Hwa(2014). The Effects of Lesson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Creativity.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Lee Young Mi(2012). The effect of the children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Society of Child Education. 21(2), 213-232. 

  20. Lee Wan Seok(2007).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by Application of Creative Thought Technique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reativity.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Lee Hun Sung(2013). 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4th grade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2. Cho Youn Soon, Sung Jin Sook, Lee Hye Ju(2008). Creativity in education-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methods.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23. Cha Ju Yeon(2005). The effect that study applied with the six thinking hats skill influences on children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4. Choi Jung O(2007). Initiative Heigh Effect Analysis of Science Class That Apply Original Thinking Technique. master's Thesis, Korea International Culture University. 

  25. Choi Hye Kyung(2013). The effects of utilization of creative technique on creativity and science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Han Ki Soon(2000).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0(2), 47-69. 

  27. Hyun Jin Sub(2001). A Study on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master's Thesis,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28.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29. Baer, J. (1993). Why you shouldn't trust creativity tests. Educational Leadership, 51, 80-83. 

  30. Beghetto, R. A. (2010).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Brown, R. T. (1989). Creativity: What are we to measure? In J. A. Glover, R. R. Ronning, & C. R. Reynolds(Eds.), Handbook of creativity( 3-32). New York: Plenum. 

  32. Cropley, A. J. (1999). Education.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1(pp. 629-64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3. Guilford, J. P. (1959). Three faces of intellect. American Psychologist, Vol( 14) 469-479. 

  34.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11-42).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Milgram, R. M. (1990). Creativity: An idea whose time has come and gone? In M. A. Runco., & R. S. Albert. (Eds.), Theories of creativity. London: Sage. 

  36. Mumford, M. D. & Gustafson, S. B. (1988). Creativity syndrom: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10), 27-43. 

  37. Osborn, A. F. & Parnes, S. J.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3rd Edition). NY: Chares Scribbler's Son. 

  38. Runco, M. A. & Nemiro, J. (1994). Problem finding, creativity, and giftedness. Roeper Review, 16(4), 235-240. 

  39. Torrance, E. P. (1972). Career patterns and peak creative achievements of creative high school students twelve years later. Gifted Child Quarterly, 16, 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