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제도 현황 및 개선방향
The Present State of Training System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1, 2014년, pp.175 - 189  

채은희 (국립서울병원 정신보건연구센터 정신보건연구과) ,  이효영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training system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re are some topics which must be improved in the training system, like as reinforcement of qualification of the trainers,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of the training, and othe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호주의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and Aging)는 2011년 국가보건개혁(National Health Reform)을 토대로 정신보건 서비스영역에 중대한 개혁을 시작하였다. 이 개혁은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호주인들이 제때에 치료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사회에서 회복과 안정 그리고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92년 국가정신보건전략(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수립과 함께 정신보건서비스전달 체계에 실질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자 노력하였으며 병원치료의 의존을 줄이고 지역사회서비스를 늘리며, 정신병원에 들어가던 자원을 지역사회와 종합병원, 다른 사회서비스로 전환시키는 등 정신보건과 일반보건을 통합하여 입원치료와 지역사회정신보건 서비스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에 주력하여 왔다.
  • 또한 세계보건기구 및 보건복지부, 국립서울병원 및 관련기관의 정책보고서를 검토하였고,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이루어졌던 국립서울병원의 실태조사 자료와 2013년 전체 정신보건사업의 정책 및 현황 외 2014년 국립서울병원의 내부 관리 자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지적 정책과 부문 간 협력 등 문제를 해결하고 보완할 수 있는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건강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정신건강은 국민건강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문제와도 직결되는 사항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전 세계적으로 약 4억 5천만 명이 정신질환, 약물 및 알코올 중독 등의 심리사회적인 문제에 노출되어 고통 받고 있는 등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미 선진국에서는 지속적인 정신건강 정책과 예산확보 등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리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정신건강을 위하여서는 정신의학적, 보건학적인 개념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정신보건 전문 인력의 질적인 향상과 교육프로그램의 개선 등을 통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3].
한국은 정신보건정책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가? 21세기 들어와 세계보건기구 및 대다수 선진 복지국가는 정신건강의 문제를 사회적 문제로 정의하고 있으며 정신장애의 예방 및 치료, 재활에 초점을 맞춘 정신보건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1]. 우리나라는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 제정과 함께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하여 1997년 3월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제도를 도입하였다[2].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신보건정책은 무엇 위주의 정책으로 변화하였는가?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제도의 도입 배경에는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을 기점으로 정신질환자 재활과 사회통합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법이 제정되면서 교육 및 홍보 등을 통하여 정신보건서비스의 소비자인 환자와 가족들의 의식 변화로 이어졌다. 따라서 수용위주의 정신보건정책에서 재활 및 사회복귀 위주로 정책이 전환되고,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등의 입원 및 격리위주 정책에서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등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정책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정신보건영역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고, 정신질환자의 발견·상담·진료·사회복귀 훈련 및 사례관리와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추진을 위하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Improving Health Systems and Services for Mental Health, pp.15-50.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1), Directions for national mental health work, Materials for spring scientific meeting of Korea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p.40-80. 

  3. World Health Organization(2006), Human Resources and Training in Mental Health, pp.35-77.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0), Guidelines for running training system of mental health experts, pp.10-230. 

  5. Seoul National Hospital(2012), A fact-finding survey for training facilities of mental health experts, pp.20-50. 

  6. Seoul National Hospital(2013), An internal data of seoul national hospital. 

  7. http://www.nimh.nih.gov/statistics/1ANYDIS_ADULT.html. 

  8. http://psychology.about.com/od/psychotherapy/f/psychvspsych. 

  9. http://www.samhsa.gov/healthreform/. 

  10. C.J. Kim(2007), Solutions & problems for mental health policies, Report of governmental inspection, pp.5-7. 

  11. Department of Health in UK(2011), No Health Without Mental Health: A Cross-Government Mental Health Outcomes Strategy for People of All Ages, pp.3-5. 

  12. S.J. Park, S.H. Han, S.W. No(2010), The present status of mental health & welfare in Japan. Seoul national hospital, pp.8-35. 

  13. http://www.medicareaustralia.gov.au/provider/incentives/mhnip/index.jsp. 

  14.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2012), Annual Report 2011-2012 BETTER HEALTH. ABETTER CARE.BETTER LIFE, pp.10-50. 

  15. M.K. Seo(2007), The assurance of human rights of the mentally III in New zealand,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27;64-91.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9),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works, pp2-12. 

  17. Seoul National Hospital(2014), An internal data of seoul national hospital. 

  18. S.K. Hang, K.M. Ahn, H.C. Chong(2013), The Study of Determinants of Hospital Organization Trust Leading to Trust in Hospital Worker's Organization Trus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2);113-124. 

  19. H. Im H.Y. Lee, H.S. Kim(2013), Correctional Officer's Mental Health Management and Promo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3);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