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한된 델로네 삼각분할을 이용한 공간 불확실한 영역 탐색 기법
Detecting Uncertain Boundary Algorithm using 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2 no.2, 2014년, pp.87 - 93  

조성환 (Seoul National University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적 필지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곤 집합은 현실세계의 국토를 반영하는 가장 기반이 되는 데이터 집합이다. 따라서 지적 필지는 서로 간에 겹쳐있거나 공백을 가지지 않는 위상적 무결성이 보장되어야하는 데이터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필지들 간의 겹침과 공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경우 폴리곤의 경계들은 주변의 폴리곤과 정확하게 인접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겹침 영역과 공백 영역이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하게 인접되어 있지 않은 경계가 불확실한 모서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 폴리곤을 불확실한 영역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TTA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TA 처리 순서는 우선 폴리곤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포인트와 폴리라인을 추출하여 제한된 델로네 삼각분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각 삼각형마다 데이터 집합과 중첩되는 면의 수를 세어 삼각형에 태깅을 수행한다. 태깅 값이 0 또는 1 이상인 삼각형을 추출한 후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 삼각형끼리 병합을 수행하여 위상적 모순이 있는 영역들을 발견한다. 본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자동화하여 실세계에서 경계가 교차하는 지적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dastral parcel objects as polygons are fundamental dataset which represent land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al world. Thus it is necessary to assure topological seamlessness of cadastral datasets which means no overlaps or gaps between adjacent parcels. However, the problem of overla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지적 필지에서 문제가 되는 겹침 영역과 공백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TTA 기법을 제안하였다. TTA 기법은 인접한 지적 데이터에 CDT를 적용하여 삼각 분할을 수행한 뒤, 두 지적 데이터와의 중첩회수를 속성값으로 각각의 삼각형에 태깅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영역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성되는 TTA(Triangles-Tag Algorithm)기법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교차하는 경계선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겹침 및 공백 영역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델로네 삼각분할 (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 이하 CDT)을 적용하여 인접 지적 데이터에서 겹침 및 공백 영역을 직접 탐색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제안하는 기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을 생성하는 기준인 시드 점 집합과 제약 조건인 경계선 집합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접 지적 데이터의 필지 폴리곤을 구성하는 꼭지점들과 필지 폴리곤들의 경계선을 CDT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드 점 집합과 제약 조건으로 이용하였다.
  • 지적 데이터의 가장 이상적인 목표는 위와 같은 겹침과 공백 영역을 제거하고 인접한 필지들의 위상관계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기관에서 오류가 발생한 지역에서 불확실한 경계를 재측량하여 위상적 무결성을 확보해야하며, 하나의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전국토의 지적 데이터를 관리하고 모든 측량 성과의 입출력 과정에서 위상적 무결성을 검사 및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이란 무엇인가? 지적은 현실세계의 땅을 소유 관계로 구분한 경계이다. 개별 필지는 이들 경계를 폐합한 폴리곤 형태로 결정된다.
지적에서 인접한 필지 경계의 위상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개별 필지는 이들 경계를 폐합한 폴리곤 형태로 결정된다. 지적은 토지의 인허가는 물론 재산권과 밀접하기 때문에 인접한 필지 경계의 위상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인접 필지 폴리곤들은 반드시 그 모서리나 경계가 정확하게 일치해야 한다(Laurini and Milleret-Raffort, 1994).
현재의 지적 공간정보가 위상관계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오류를 가지게 된 원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지적을 구성하는 필지들은 여러 가지 이유의 오류로 인해 위상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현재의 지적 공간정보는 위상관계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오류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오류는 오랜 기간 지적 서고에 보관되어 있던 지적 원도의 이완, 수축이 가장 큰 원인이고, 다음으로 지적 원도를 디지타이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판단과 숙련도에 따라 필지 경계에 위치 오차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기준점 사용한 측량 성과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전이가 원인이기도 한다(Chrisman, 1987; Ubeda and Egenhofer, 1997). 이러한 오류들은 중앙집중적 지적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각자의 관할 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측량 주체가 지적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경우 경계 지역에서 더욱더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i, T. and Van Oosterom, P. (2002), Gap-tree extensions based on skeletons.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tial Data Handling, Advances in Spatial Data Handling. Berlin, Springer, pp. 501-513. 

  2. Aurenhammer, F. (1991), Voronoi diagrams-a survey of a fundamental geometric data structure. ACM Computing Surveys (CSUR), Vol. 23, No. 3, pp. 345-405. 

  3. Beard, M.K. and Chrisman, N.R. (1988), Zipper: a localized approach to edgematching. The American Cartographer, Vol. 15, No. 2, pp. 163-172. 

  4. Chew, L. P. (1989), 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s. Algorithmica, Vol. 4, No. 1-4, pp. 97-108. 

  5. Chrisman, R. (1987), Efficient digitiz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appropriate hardware and software for error detection and editing.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Vol. 1, No. 3, pp. 265-277. 

  6. De Berg, M., van Kreveld, M., Overmars, M. and Schwarzkopf, O. (1997), Computational Geometry Algorithms and Applications. Berlin, Springer, p. 365. 

  7. Klajnsek, G. and Zalik, B. (2005), Merging polygons with uncertain boundaries. Computers & Geosciences, Vol. 31, No. 3, pp. 353-359. 

  8. Laurini, R. and Milleret-Raffort, F. (1994), Topological reorganization of inconsistent geographical databases: a step towards their certification. Computers & Graphics, Vol. 18, No. 6, pp. 803-813. 

  9. Lee, D. T. and Lin, A. K. (1986), Generalized Delaunay triangulation for planar graphs. Discrete & Computational Geometry, Vol. 1, No. 1, pp. 201-217. 

  10. Perkal, J. (1966), On the length of empirical curves, Discussion Paper No. 10, Michigan Inter-University Community of Mathematical Geographers, Ann Arbor, pp. 132-142. 

  11. Siejka, M., Slusarski, M. and Zygmunt, M. (2013), Correction of topological errors in geospatial datab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Sciences, Vol. 8, No. 12, pp. 498-507. 

  12. Ubeda, T. and Egenhofer, M. (1997), Advances in Spatial Databases,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rge Spatial Databases, SSD'97,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s. Berlin, Springer, pp. 283-28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