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한수문사상의 모의를 위한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3, 2014년, pp.773 - 784  

김동균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권현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황석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극한강우와 극한홍수를 모의하기 위한 MBLRP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61개의 기상청 지상기상관측시스템의 강우량 관측지점에 대하여 고립입자 군집화 최적화(ISPSO)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각 강우관측지점에서 100년치의 가상 강우시계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시계열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고 이 값들을 관측치에 근거하여 산정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보다 평균적으로 20~42% 작았으며, 강우의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과소산정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확률홍수량의 경우, 모형에 의한 값이 관측치에 근거한 값보다 31%에서 50% 작았으며, 이 과소산정량은 홍수의 재현기간의 증가 및 유역의 불투수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BLRP)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rainfalls and floods in Korean Peninsula. Firstly, using the ISPSO (Isolated Species Particle Swarm Optimization) method, the parameters of the MBLRP mode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수문학적 적용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1) 우리나라에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를 일으키는 6월, 7월, 8월, 9월의 강우를 모두 포함하여 분석을 해야 하고 (2) 매개변수 지도에 의한 오차를 제외한 포아송 강우생성모형 자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두 가지 사항을 모두 고려하여,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의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 모의에 대한 포괄적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MBLRP 모형에 기반을 둔 몬테카를로 모의를 사용하여 재현기간이 큰 강우의 극한값에 영향을 받는 수문현상을 예측하고 그 불확실성 산정하는 경우, 그 결과값이 관측치에 근거한 값 보다 일관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과소산정의 정도 또한 상당하다는 점을 최종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모의된 강우시계열과 관측 강우시계열에 대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의 지속기간 별로 연도별 최대강우량을 추출하고, 200년, 100년, 50년, 30년, 1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극한강우는 지속기간에 상관없이 3변수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분포을 따른다고 가정하였으며, 분포의 매개변수는 L-moment 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원칙적으로는 각 지점 및 지속기간 별로 적합도 검정(Goodness-of-fit test)을 실시하여 별도의 최적확률밀도함수를 할당하여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와 Gumbel 분포가 자주 사용되고(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검증 대상지역의 관측 강우시계열의 길이가 35년 내외, 모의 강우시계열의 길이도 100달로 충분히 길다는 점을 고려하여 극한강우를 대표하는 확률 밀도함수의 종류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가정하였다.
  • 모의에 사용된 유역의 크기는 MBLRP 모형이 점 강우량을 모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유역 전반에 걸쳐 동일한 강우량을 가정할 수 있는 수준인 7.5km2를 선택하였고, 2시간의 지체시간(Lag Time)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Fig.
  • 원칙적으로는 각 지점 및 지속기간 별로 적합도 검정(Goodness-of-fit test)을 실시하여 별도의 최적확률밀도함수를 할당하여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와 Gumbel 분포가 자주 사용되고(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검증 대상지역의 관측 강우시계열의 길이가 35년 내외, 모의 강우시계열의 길이도 100달로 충분히 길다는 점을 고려하여 극한강우를 대표하는 확률 밀도함수의 종류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수문현상에 포아송 강우 생성모형이 적용된 사례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수문현상에 포아송 강우 생성모형이 적용된 사례 또한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Shin et al. (2011)은 강우의 지속기간을 대표하는 확률분포함수로 기존의 감마분포 대신 정규분포를 사용한 새로운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을 제안하고, 그 모형이 관측강우의 통계값들을 더 잘 재현함을 보였다. 한편, Kim et al. (2013d)는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매개변수 지도를 국내 홍수 위험도 산정에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 가상 강우시계열은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의 매개변수 지도에서 읽은 매개변수 값들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또한, 생성된 강우시계열로부터 산정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로부터 산정한 값보다 약 5~40% 적었다. 확률홍수량의 경우,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은 약 20~45% 적은 값을 모의한다는 것을 보인 바 있다. 한편, Kim et al. (2013c)는 우리나라의 7월의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변수지도를 활용하는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수문학적 적용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1) 우리나라에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를 일으키는 6월, 7월, 8월, 9월의 강우를 모두 포함하여 분석을 해야 하고 (2) 매개변수 지도에 의한 오차를 제외한 포아송 강우생성모형 자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은 어떤 분야에 응용되어왔는가?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은 자기상관성 및 스케일링 거동에 기반을 둔 기존의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1) 넓은 시간대(1시간–1일)에 대하여 평균, 분산, 자기상관계수, 무강우 확률 등 관측강우의 통계치를 비교적 정확히 재현할 수 있으며, (2) 세밀한 시간 해상도(1시간 이내)를 가진 강우시계열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은 도시지역에서의 홍수(Moretti and Montanari 2004; Brath et al., 2006; Dowson et al., 2006), 농약의 확산(Nolan et al., 2008), 산사태(Bathurst et al., 2005), 사막화 (Bathurst and Bovolo, 2004), 수자원 평가(Fowler et al., 2005), 홍수위험도 평가(Kilsby et al., 2000)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왔다. 특히,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을 홍수모의에 적용한 선행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 1988).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은 자기상관성 및 스케일링 거동에 기반을 둔 기존의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1) 넓은 시간대(1시간–1일)에 대하여 평균, 분산, 자기상관계수, 무강우 확률 등 관측강우의 통계치를 비교적 정확히 재현할 수 있으며, (2) 세밀한 시간 해상도(1시간 이내)를 가진 강우시계열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포아송 강우생성모형은 도시지역에서의 홍수(Moretti and Montanari 2004; Brat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thurst, J. C. and Bovolo, C. I. (2004).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ustainable land management in the agri and cobres target basins." Deliverable 28 of the EU funded MEDACTION Project, pp. 37, Available at: http://www.ncl.ac.uk/medaction. 

  2. Bathurst, J. C., Moretti, G., El-Hames, A., Moaven-Hashemi, A. and Burton, A. (2005). "Scenario modeling of basin-scale, shallow landslide sediment yield, Valsassina, Italian southern alps."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5, pp. 189-202. 

  3. Brath, A., Montanari, A. and Moretti, G. (2006). "Assessing the effect on flood frequency of land use change via hydrological simulation (with uncertainty)." J. Hydrology, Vol. 324, No. 1-4, pp. 141-153. 

  4. Cho, H., Kim, D., Olivera, F. and Guikema, S. (2011). "Enhanced speciation i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multi-modal probl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13, pp. 15-23. 

  5. Dawson, R., Hall, J., Speight, L., Djordjevic, S., Savic, D. and Leandro, J. (2006). "Flood risk analysis to support integrated urban drainage." Proceedings of the Fourth CIWEM Annual Conference on Emerging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Newcastle upon Tyne. Aqua Enviro, pp. 12-14. 

  6. Fowler, H. J., Kilsby, C. G., O'Connell, P. E. and Burton, A. (2005). "A weather-type conditioned multi-site stochastic rainfall model for the generation of scenarios of climatic vari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Hydrology, Vol. 308, pp. 50-66. 

  7. Gyasi-Agyei, Y. and Willgoose, G. R. (1997). "A hybrid model for point rainfall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7, pp. 1699-1706. 

  8. Hosking, J. R. M. and Wallis, J. R. (2005).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 Approach Based on L-mo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Khaliq, M. and Cunnane, C. (1996). "Modelling point rainfall occurrences with the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s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80, pp. 109-138. 

  10. Kilsby, C. G., Burton, A., Birkinshaw, S. J., Hashemi, A. M. and O'Connell, P. E. (2000). "Extreme rainfall and flood frequency distribution modelling for present and future climates." Proceedings of the British Hydrological Society Seventh National Hydrology Symposium, pp. 3.51-3.56. 

  11. Kim, D. and Olivera, F. (2012).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ifferent rainfall statistics in the calibration of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7, No. 3. 

  12. Kim, D., Olivera, F. and Cho, H. (2013a). "Importance of Inter-annual variability of rainfall statistics in stochastically generated rainfall time series - Part I - Impact on peak and extreme rainfall value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7, pp. 1601-1610. 

  13. Kim, D., Olivera, F., Cho, H. and Lee, S. O., (2013b). "Importance of inter-annual variability of rainfall statistics in stochastically generated rainfall time series, Part II - Impact on watershed response variable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7, pp. 1611-1619. 

  14. Kim, D., Olivera, F., Cho, H. and Scolofsky, S. (2013c). "Regionalization of the parameters of the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odel."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 Vol. 24, pp. 421-436. 

  15. Kim, D., Shin, J. Y., Lee, S. O. and Kim, T. W. (2013d). "The application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to the flood analysis."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5, pp. 439-447 (in Korean). 

  16.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CT) (2000). Research report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techniques. 1999, Vol. 1, Development of design rainfall maps in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in Korean). 

  1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Improvement and supplement of probability rainfall,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in Korean). 

  18. Moretti, G. and Montanari, A. (2004). "Estimation of the peak river flow for an ungauged mountain creek using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In: A. Breath, A. Montanari, E. Toth (eds.), Hydrological Risk: Recent Advances in Peak River Flow Modelling, Prediction and Real-Time Forecasting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Land-Use and Climate Changes, pp. 113-128. 

  19. Nolan, B. T., Dubus, I. G., Surdyk, N., Fowler, H. J., Burton, A., Hollis, J. M. Reichenberger, S. and Jarvis, N. J. (2008). "Identification of key climatic factors regulating the transport of pesticides in leaching and to tile drains." Pest Management Science, Vol. 64, No. 9, pp. 933-944. 

  20. Rodriguez-Iturbe, I., Cox, D. R. and Isham, V. (1988). "A point process model for rainfall: Further Developmen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Vol. 417, No. 1853, pp. 283-298. 

  21. Shin, J. Y., Joo, K. W., Heo, J. H. (2011). "A study of new modified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development using direct parameter estimatio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2, pp. 135-14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