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지수를 이용한 유역의 수문반응 분석
Analysis of Watershed Hydrologic Responses using Hydrologic Index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3, 2014년, pp.785 - 794  

박윤경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역에서의 수문반응은 기후요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토양, 식생 등의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유역의 수문반응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후요소와 다른 외부요소에 대한 특성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지수(건조지수, Horton 지수)를 적용하여 유역 수문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및 유역 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자연 유역에서는 건조지수보다는 Horton 지수를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반응을 평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후상태에 따라 기후요소와 유역특성이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달라지는데, 건조한 기후상태에서는 기후요소가 지배적으로 수문반응에 영향을 미쳤으나 기후가 습윤한 상태로 갈수록 유역특성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 responses in watershed are determined by complex interactions among climate, land use,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nvestigate hydrologic response in watershed, one nee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as well as other factors. In this study, the relative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정한 지수를 이용 하여 보다 정량적으로 유역 수문반응에 기후 및 유역지형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기후요소와 유역특성을 회귀모형에 적용하여 수문성분을 예측하고, 모형의 결정계수를 통해 해당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앞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건조한 기후조건에서 습윤한 기후조건으로 갈수록 유역의 수문분할 특성은 기후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커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후요소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유역의 지형적 특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역의 평균 표고, 평균 경사, 평균 CN을 이용하여 기후요소와 더불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역 수문반응과 비교적 연관성이 높은 유역의 강수량과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회귀모형을 통해 수문분할요소(기화량, 토양 습윤량)를 예측하였다.
  • 증발접시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해당 자료의 경우 제공하고 있는 관측 지점이 적으며 기상적인 요인에 의하여 관측이 힘든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연속적인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상인자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수지 방법과 공기동력학적 방법이 함께 고려된 Penman 방법 (Penman, 1948)을 적용하였다.
  • 더욱이 우리나라는 몬순기후지대에서도 공간적 변동성이 큰 지역(가까운 곳에 위치하더라도 유역특성 및 기후특성이 다른 지역)이기 때문에 외국에서 연구된 수문반응 변동성에 대한 연구와의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특성을 대변하는 지수로서 건조지수를, 기후 및 유역특성을 모두 포괄하는 지수로서 Horton 지수를 도입하여 기후상태에 따른 유역 수문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유역 수문반응에 기후 및 유역특성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토양 습윤량과 기후요소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화량 분석 시와 유사하게 잠재증발산량과 토양 습윤량 사이의 상관성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토양 습윤량과 강수량 사이 관계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Fig.
  • 우리나라 유역의 수문반응을 평가할 목적으로는 기후학적 기반인 건조지수보다는 수문학적 기반인 Horton 지수가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식생과 유역 수문반응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추가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문반응에 기후 및 유역특성이 미치는 영향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연 간격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유역 수문반응의 계절적 변동성에 제외되고 분석이 진행되었다.
  • 925가 적용되며 본 연구에서도 동일한 값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출량 자료를 시계열 역방향과 순방향의 2번의 필터링을 통해 자료가 가지는 수치적인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특성을 대변하는 지수로서 건조지수를, 기후 및 유역특성을 모두 포괄하는 지수로서 Horton 지수를 도입하여 기후상태에 따른 유역 수문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유역 수문반응에 기후 및 유역특성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비교적 양질의 장기간 수문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주요 13개 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기후상태의 변화에 따른 유역수문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지수와 Horton 지수를 이용하여 유역의 기후상태를 평가하였으며, 기후상태에 따른 유역 수문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와 유역 특성의 상대적인 역할을 분석하였다.
  • 한강 수계에서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금강 수계에서 보령댐, 부안댐, 용담댐, 섬진강 수계에서 섬진강댐, 주암(본)댐, 낙동강수계에서 남강댐, 밀양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상류지역을 선정하였으며, Table 1에 각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자료의 기간은 13개 지역 모두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으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자료 크기에 따른 차이를 줄이고자 하였다.
  •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자료는 해당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며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역 평균 표고와 평균 경사를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건조지수 이외에 또 다른 수문지수인 Horton 지수(Horton, 1933)는 뉴욕 헨콕시에 있는 델라웨어강 서쪽 지류의 물수지 성분을 측정하여 유역의 기화량과 습윤량의 비가 강수량에 상관없이 일정함에 기인한 것이다. 이를 통해 Horton은 자연유역에서 침투된 물을 저장하고 다시 대기로 환원하는 역할이 주로 식생에 의해 제어되고 수문반응의 연간 변동성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였으며, 식생은 토양수분량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는 가설을 세우게 된다. 기후학적 기반의 건조지수와 비교하여 Horton 지수는 유역 수문반응의 변동성을 평가하기에 매우 효과적인 접근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수문관측자료 부족으로 연구가 지속되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역에서의 수문반응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유역에서의 수문반응은 기후요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토양, 식생 등의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유역의 수문반응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후요소와 다른 외부요소에 대한 특성이해가 필요하다.
유역의 수문반응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유역에서의 수문반응은 기후요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토양, 식생 등의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유역의 수문반응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후요소와 다른 외부요소에 대한 특성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지수(건조지수, Horton 지수)를 적용하여 유역 수문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및 유역 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후상태에 따라 유역 수문반응은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가? 우리나라 자연 유역에서는 건조지수보다는 Horton 지수를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반응을 평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후상태에 따라 기후요소와 유역특성이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달라지는데, 건조한 기후상태에서는 기후요소가 지배적으로 수문반응에 영향을 미쳤으나 기후가 습윤한 상태로 갈수록 유역특성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udyko, M. I. (1974). "Climate and life." Academic. San Diego. Calif, p. 508. 

  2. Choi, D. and Kim, S. (2010). "Revisiting horton index using a conceptual soil water bala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30, No. 5B, pp. 471-477 (in Korean). 

  3. Choi, D., Choi, M., Ahn, J., Park, M. J. and Kim, S. (2011). "Variability of hydrologic partitioning revisiting horton index."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3, No. 1, pp. 35-44 (in Korean). 

  4. Chow, W. T., Maidment, D. R. and Mays, L. 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USA. 

  5. Farmer, D., Sivapalan, M. and Jothityangkoon, C. (2003). "Climate, soil and vegetation controls upon the variability of water balance in temperate and semi-arid landscapes: Downward Approach to Hydrological Prediction."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9, No. 1035, DOI:10.1029/2001WR000328. 

  6. Horton, R. E. (1933). "The role of infiltration in the hydrologic cycl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14, pp. 446-460. 

  7. Knapp, A. K. and Smith, M. D. (2001). "Variation among biomass in temporal dynamics of aboveground net primary production." Science, Vol. 291, pp. 481-484. 

  8. Kim, S. D., Lee, A. Y., Lee, J. W. and Kim, T. W. (2011). "Spatiotemporal analysis of future extreme drought events using a conceptual soil water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6, pp. 349-356 (in Korean). 

  9. Lee, J. S. (2006). Hydrology, Goomibook (in Korean). 

  10. Lyne, V. and Hollick, M. (1979). "Stochastic time-variable rainfallrunoff modelling." Paper presented at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Symposium,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Perth. 

  11. Milly, P. C. (1994). "Climate, soil water storage, and the average annual water balance."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0, No. 7, pp. 2143-2156. 

  12. Milly, P. C. D., Wetherald, R. T., Dunne, K. A. and Delworth, T. L. (2008). "Climate change-Stationarity is dead: Whither Water Management?" Science, Vol. 319, No. 5863, pp. 573-574. 

  13. Penman, H. 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Vol. 193, No. 1032, pp. 120-146. 

  14. Rodriguez-Iturbe, I. and A. Porporato (2004). "Ecohydrology of water controlled ecosystems: Soil Moisture and Plant Dynamics."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15. Sivapalan, M., Yaeger, M. A., Harman, C. J., Xu, X. and Troch, P. A. (2011). "Functional model of water balance variability at the catchment scale. 1: Evidence of Hydrologic Similarity and Space-Time Symmet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7, W02522, DOI:10.1029/2010WR009568. 

  16. Troch, P. A., Martinez1, G. F., Pauwels, V. R. N., Durcik, M., Sivapalan, M., Harman, C., Brooks, P. D., Gupta, H. and Huxman, T. (2009). "Climate and vegetation water use efficiency at catchment scales." Hydrological Process, Vol. 23, pp. 2409-2414. 

  17. Wagener, T., Sivapalan, M., Troch, P. A. and Woods, R. A. (2007). "Catchment classification and hydrologic similarity." Geography Compass, Vol. 1, No. 4, pp. 901-931, DOI:10.1111/j.1749-8198.2007.00039.x. 

  18. Zhang, L., Hickel, K. Dawes, W. R., Chiew, F. H. S., Western, A. W. and Briggs, P. R. (2004). "A rational function approach for estimating mean annual evapotranspi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es, Vol. 40, W02502, DOI:10.1029/2003WR0027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