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기반시설의 화산재해 복구 우선순위 산정
Priority Analysis for Infrastructure Recovery from Volcanic Disaster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3, 2014년, pp.989 - 998  

박형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강교석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아이슬란드의 에야프얄라요쿨화산과 인도네시아의 메라피화산의 등 대형화산재해에 따른 국가적 손실이 세계 곳곳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천문학적인 경제적 손실과 인명손실이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한반도의 백두산이 최근 빈번한 지진파가 발생하는 가운데 백두산화산 분화의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해 18가지로 분류를 통해 인도네시아 현지 공무원, 주민, 연구원을 대상으로 사회기반시설의 복구우선순위에 대한 리커트 5점척도 방법으로설문을 실시하여 설문결과에 가중치를 적용, 정량적인 복구우선순위 결과와 사회기반시설의 복구 니즈를 도출하였다. 국내의 경우 화산재해의 피해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피해자들의 복구수요파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재해 복구 우선순위를 국내 대형 화산재해 발생 시 복구 우선순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화산재해 발생 시 복구, 복원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volcanic eruptions and activities occurring in many parts of world have become a common global concern to many countries. The severity of these Volcanic disasters, such as of Mt. Eyjafjallajokull in Iceland and Mt. Merapi in Indonesia, have caused damages and causalities reaching astrono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문항의 답변결과에 대해 설문대상자들이 어느 정도 일관성 있는 답변을 했는지 파악하도록 한다. 즉,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수립하고 이에 대해 유의확률을 비교함으로써 일관성을 파악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해의 초등대응의 방안으로서 재해 발생 시 긴급복구에 관한 민감도와 재해복구비용, 재해복구기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해 복구 우선순위를 산정을 목적으로 한다. 산정 된 최종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최적의 복구시나리오 도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화산피해의 즉각적인 영향의 정도가 다르게 분포하며 피해의 범위가 다르게 나타난다(Pemerintah Kabupaten Sleman, 2012). 따라서 설문조사 시 설문대상자의 주거지역의 위험도를 파악하여 설문결과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가장 위험지역인 화산 정상부를 3점 그 다음지역을 2점 안정지역을 1점으로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화산의 분화기록에 의한 피해의 정량적인 피해추정치가 전무한 관계로 해외사례를 적용한 재해 복구금액의 정량적인 산출을 근거로 진행하였다. 본연구의 연구방법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메라피화산의 사회기반시설에서 발생된 시설물별 복구기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시설물별 피해에 대한 복구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시설물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가중치를 부과하였다. 그러나 재해 복구비용에 대한 가중치 산정과 동일하게 모든 시설물에 대한 복구기간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현지 사례적용 연구로써, 인도네시아 현지 언어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5매 1개설문지로 총 125매 25개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설문회수율은 100%이다.
  • 본 연구는 화산재해에 따른 피해 현황과 복구금액, 복구기간, 복구 수요를 파악하였으며, 실제 화산 재해 유경험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사회기반시설이 재해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가장 중요시되는 사항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기반시설의 분류와 정의는 Table 4와 같이 서울시 도시계획용어사전(2012)을 참고하였으며 총 6가지 대분류와 18가지소분류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사례를 통해 화산재해 발생 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발생 피해를 조사하고, 화산재해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사회기반시설의 복구 우선순위 산정 및 복구 수요를 파악하였다. 도출된 피해와 복구 우선순위를 근거로 건설공정관리 기법을 동원하여 사회기반시설의 복구 우선순위를 작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해의 초등대응의 방안으로서 재해 발생 시 긴급복구에 관한 민감도와 재해복구비용, 재해복구기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해 복구 우선순위를 산정을 목적으로 한다. 산정 된 최종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최적의 복구시나리오 도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 시간, 비용 요소의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우선순위에 대한 복구 네트워크를 작성 비교하였다. 네트워크작성 도구로써 프리마베라를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복구시설물을 하나의 활동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복구비용과 복구기간을 적용시킴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가설 설정

  • 리커트 척도는 개인. 대상, 관념, 현상 등에 대한 개인의 태도나 성향의 강도를 측정하는 기법으로, 태도는 하나의 극단적인 입장 중에서 중립을 거처 또 다른 극단으로 나아가는 단순한 양분론적인 연속체라고 가정한다.
  • 네트워크작성 도구로써 프리마베라를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복구시설물을 하나의 활동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복구비용과 복구기간을 적용시킴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네트워크의 특성분석 통해 두 네트워크의 차이점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복구기간에 대해서는 재해 발생 후 초등대응기간인 최소1개월을 기준으로 사회기반시설의 초등대응기간을 3개월로 가정하였으며 이는 3개월 이내에 모든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복구진행이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나카무라 다미오, 2013). 즉, 90일 이내에 각각의 사회기반시설이 복구를 시작을 원칙으로 가정하고 우선순위로 산정된 18가지 기반시설 중 지역의 특성상 피해에 대한 복구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실제 복구금액과 복구기간이 산정되지 않은 광장, 가스공급시설, 폐기물처리시설, 화장장, 공동묘지시설 부분은 네트워크작성에서 제외하였다.
  • 총 90일을 기준으로 13개의 사회기반시설을 나눠줌으로써 각 기반시설 당 6.92일이 소요되게 되며 이는 7일 간격으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복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복구순위 1순위인 도로시설물을 최우선적으로 복구를 시작하고 7일 이후 2순위인 교량을 그 다음 7일후 3순위인 수도시설이 복구되는 형태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복구비용의 분포와 네트워크의 형태는 Fig.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 화산의 분화 가능성은? 한반도 백두산 화산의 경우 최근 200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약 3년 동안 한 달에 최대 250회의 지진파가 빈번하게 관측되고 있으며, 일본 연구진인 히로미쓰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두산 화산의 분화는 2032년 까지 99% 분화가능성이 있다고 발표되었다(The Korea Economy Daily, 2012). 2011년도 기상청은 중국의 경우 백두산의 분화위험 등급을 주의 단계에서 경고 단계로 조정 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단계이다.
인도네시아 메라피화산의 분화로 인한 영향은? 최근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화산의 분화(2010)와 인도네시아 메라피화산의 분화(2010)의 분화의 기록을 보면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화산의 경우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대량의 화산재로 인한 항공기운항의 마비로 인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다. 인도네시아 메라피화산의 경우 지진발생 후 연쇄적인 화산의 분화로 인해 초등대응의 실패로 인명피해발생 및 천문학적인 자연피해액이 발생하였다(Kim and Park, 2013).
인도네시아 메라피화산의 특징은? 인도네시아 메라피 화산은 높이 2,930m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며 1548년부터 정기적으로 분화되었다.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 사이에 위치한 유라시아 플레이트로 잦은 분화기록을 갖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long, R. J. (1986). Volcanic hazards : A Sourcebook on the Effects of Eruptions, Disasters, Vol. 10, No. 3, pp. 238-240. 

  2. Ha, H. S. (2012). Enforcement an analysis of disaster recovery business,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in Korean). 

  3. Hong, Y. P. (2013). The proposal of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 system - for structure and support rapid and appropriate, Korea University Press (in Korean). 

  4. Kim, H. W. and Park, J. E. (2013). "An analysis of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with respect to supervolcano disaster case studies." Journal of KOSHAM, Vol. 13, pp. 151-156. 

  5. Kim, I. H. (1995). Decision-making and construction plan,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in Korean). 

  6. Ko, Y. B. (2011). Dictionary of sociology, Social and Cultural Institute (in Korean). 

  7. Lee, S. S., Kim, H. S. and Lee, D. H. (2010).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due to eruption of Mt. Baek-doo,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8. Park, B. C. (2011). Planning for countermeasure technologies for huge volcanic activit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9. Park, H. T., Kang, I. S. and Kim, C. H. (2007).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Gimundang (in Korean). 

  10. Seoul Urban Planning Bureau (2012). Terms of urban planning easy to understand from Seoul (in Korean). 

  11. Toba, D. (2011). Talk about it real in the affected areas, Wani Plus (in Japan). 

  12. Yoon, S. H. (2011). Influence with the possibility of volcanic eruption of Baekdu, Assembly Environment Forum, pp. 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