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축용 외장재와 접착제의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Adhesiv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1, 2014년, pp.21 - 24  

박영주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김원종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이해평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유재열 (서울소방학교 소방과학연구센터) ,  양영숙 (서울소방학교 소방과학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aximum smoke density and the initial stage smoke density in order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of the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the architectural adhesives, using smoke density chamber. As a result of the study, polyurethane foam sho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축물 외장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 패널의 단열용 심재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이 재료들 가운데 일반스티로폼, 강화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섬유 등 4가지를 선정하였으며, 건축 외장용 접착제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티로폼용, 목공용, 석재용, 타일용, 창호전용 등 5가지를 선정하여 smoke density chamber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발연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화재초기의 연기밀도는 인명 대피 시 시야확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시간에 따른 연기밀도의 값을 구하고 용도에 따른 화재 연기의 확산 정도를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소가스의 독성에 대한 위험성은 선행연구13)에서 발표하였기에 본 연구의 내용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 화재발생 시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연기의 발생과 특성의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시료들을 대상으로 Fig. 1과 같은 영국 FTT사의 smoke density chamber를 이용하여 발연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기 발생 측정은 공기의 흐름이 있는 상태의 동적(Dynamic)측정과 공기의 흐름이 없는 즉, 일정한 부피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체연기를 측정하는 정적(Static)측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도 전국 화재 통계분석 결과 국내 화재 건수는 몇 건인가? 그러나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장재를 통해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이른바 동시 다발성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소방방재청이 발표한 2011년도 전국 화재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화재 건수는 43,875건이고, 전체 대비 건축물에서 61.6%의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화재로 인한 총 263명의 사망자들 가운데 건축물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232명으로 88.
연기흡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구는 무엇인가? 쉽고 이로 인해 열에 의한 부상보다 연기흡입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더 많다12) . 그러므로 고층 건물 화재 시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연기의 발생과 이동경로, 연층 강하시간 등을 분석하고, 제연방법 및 가압방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연기확산이 이루어지는 곳은 어디인가? 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보다는 연기가 건물 내 거주자를 위협하는 주된 위험요소로 생각된다. 계단실, 엘리베이터, 덕트 등을 통해 건물 전 층으로 연기확산이 이루어짐으로써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 H. Kim and S. Y. Park, "A Basic Study on Required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Resistance Wall on High-rise Build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4, pp. 1-7, 2011. 

  2. S. H. Min and J. M Lee, "A Study on Concurrent Fire Appearance though Opening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90-96, 2012. 

  3. J. B. Kwon, N. W. Lee and S. D. Seul, "A Consideration on Thermal Stability of the PVAc Latex Adhes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8, No. 3, pp. 81-87, 2003. 

  4. C. K. Choi and S. H. Min, "A Study on the Large Experiments (ISO 13785-2) for Vertical Fire Behavior Analysis of Aluminum Composite Panels in General and Flame-retardant Material",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6, pp. 92-98, 2012.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tatistical Data 2011", pp. 1-3, 2012. 

  6. S. H. Min and J. M. Lee, "A Study on the Fire Reconstruction of Exterior on High-rise Building(Focus on Fire Case Including the Woosin Golden Suite in Haeunda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2, pp. 25-30, 2013. 

  7. NFPA 285, "Standard Fire Test Method for Evaluation of Fi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xterior Non-Load-Bearing Wall Assemblies Containing Combustible Componests 2006 Edition", pp. 5-8, 2006. 

  8. S. H. Min, M. S. Kim and Y. J. Jang, J. C. Sa, Y. J. Bae and J. M.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d for Prevent the Fire Spread of Exterio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1, pp. 113-119, 2010. 

  9. S. H. Min, Y. J. Jang, J. C. Sa, J. M. Lee, J. E. Yun, M. S. Kim and Y. H. Kim, "A Survey about Installation Trend for Exterior In Domestic",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 11-14, 2012. 

  10. S. Y. Park, W. S. Lee, H. S. Yeo and H. S. Im,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Smoke Optical Density and Toxic Gases of Sandwich Panel Insulation(Single Chamber Method)",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0, No. 4, pp. 48-54, 2012. 

  11. S. H. Min, "A Study on the Evacuation Risk of Simultaneous Fires from Exterio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4, pp. 26-32, 2006. 

  12. S. R. Bae, K. C. Ro, G. H. Ko and H. S. Ryou, "Numerical Analysis of Smoke Control for High-rise Building Considering with the Enthalpy Equ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4, pp. 27-32, 2010. 

  13. W. J. Kim, Y. J. Park, H. P. Lee, S. H. Lim and J. I. Kim, "A Study on the Toxicity Analysis of Combustion Gases of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Adhes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7, No. 6, pp. 1-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