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리식염수와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가글링이 전신마취를 위한 경구 기관 내 삽관 환자의 균집락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rmal Saline and Essential Oil Gargling on Bacterial Colonization in Intubated Patients for General Anesthes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123 - 132  

고상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나연경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gargling using normal saline or essential oil on oral bacterial colonization of the subjects who did transoral endotracheal intubation for general anesthesia. Methods: A repeated measur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구강 가글링은 호기성, 혐기성 세균을 모두 증가시켰으나 대조군에 비해 호기성 세균은 그 증가량이 적었고, 혐기성 세균은 그 증가량이 비슷하였다. 따라서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가글링은 기관 내 삽관환자의 수술 전 간호중재 방법으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상자의 수를 늘려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 따라서 전신마취를 위해 경구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는 환자의 수술 전과 후의 구강 내 균집락화의 정도를 확인하고 생리식염수와 티트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의 혼합액을 이용한 구강 가글링이 균집락 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기관 내 삽관 환자의 구강간호 중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생리식염수나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가글링이 전신마취를 위한 경구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는 대상자의 구강 내 균집락 화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repeated measur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를 위한 경구 기관 내 삽관 환자를 대상으로 생리식염수와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가글링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구강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 가글링방법에 따라 경구기관 내 삽관환자의 실험 전과 후의 세균의 집락화는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 가글링은 대조군에 비해 호기성 세균수의 증가량이 적었으며, 혐기성 세균수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하는 환자는 호흡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게 되며, 수술 전 금식과 면역력 저하 등으로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구강 내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삽입된 관을 통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는 호흡기계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신마취를 위해 경구 기관 내 삽관을 하는 환자의 가글링 용액에 따른 수술 전과 후의 균집락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병원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방법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리식염수나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가글링이 전신마취를 위해 경구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수술 환자의 구강 내 호기성, 혐기성 세균의 집락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 K. S., & Park, H. R. (2011). Endotracheal Colonization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ccording to Type of Endotracheal Suc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175-181. 

  2. Choi, S. H., & Kim, Y. K. (2004). The effects of oral care with normal saline on oral state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3), 452-459. 

  3. Chung, S. H. (2006). The effect of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of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84-93.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Fine, D. H., Furgang, D., Lieb, R., Korik, I., Vincent, J. W., & Barnett, M. L. (1996). Effects of sublethal exposure to an antiseptic mouthrinse on representative plaque bacteria.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al, 23(5), 444-451. 

  6. Jeong, H. J., & Kim, S. J. (2010).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in the oral cavity of smokers or non-smokers.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16(4), 334-340. 

  7. Jung, S. H., Jeon, L. S., Kim, C. C., Chun, Y. H., & Hong, J. P. (2003). The effect of essential oil on oral bacteria.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28(1), 11-22. 

  8. Jung, S. N. (2005). The effects of the normal saline and chlorhexidine on oral care hygiene of patients o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9. Kang, H. Y., Na, S. S., & Kim, Y. K. (2010). Effects of oral care with essential oil on improvement in oral health status of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1), 5-16. 

  10. Kim, J. O., & Kim, N. C. (2014).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on oral health of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13-20. 

  11. Kim, N. C., & Kim, H. J. (2005). The effects of teatree oil gargling on oral cavity micro-organism growth and perceived discomfort of patient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2), 276-286. 

  12. Kim, Y. A., Lee, K. W., Jeong, Y. S., Cho, D. H., & Kwon, H. G. (2000). Yeasts isolated from oral cavity of the healthy adul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20(1), 30-35. 

  13.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ing. (2012). KAICN text of infection control (2nd ed.). Seoul: Hyunmoonsa. 

  14. Korean Endocrine Society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 Metab, 25(4), 301-304. 

  15. Ku, M. J., Kim, K. N., & Hwang, S. K. (2011). Effects of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and saline solution on oral status, incidence of oral pathogens and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in children with cardiac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56-364. 

  16. Lee, S. Y. (2008).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7. Lee, Y. S., Kim, S. G., Yang, T. C., Kim, G. S., Jeon, J. G., & Chang, K. W. (2006). The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of some essential oils against the oral micro-organis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0(4), 490-496. 

  18. Lim, H. S., Kim, J. J., Kim, M. J., & Kim, H. K. (2013). Salivary bacterial counts on application time of oral antiseptic agents and mechanical irrig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35(3), 155-160. 

  19. Munro, C. L., Grap, M. J., Jones, D. J., McClish, D. K., & Sessler, C. N. (2009). Chlorhexidine, toothbrushing, and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critically ill adul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5), 428-437. 

  20. Oh, E., & Weintraub, N. (2005). Can we prevent aspiration pneumonia in the nursing hom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6(3), 76-80. 

  21. Ouhayoun, J. P. (2003). Penestrating the plaque biofilm: Impact of essential oil mouth wash.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 30(5), 10-12. 

  22. Park, J. H., & Sohng, K. Y. (2010). Comparison of care interventions on the oral status of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3), 324-333. 

  23. Pedreira, M. L., Kusahara, D. M., de Carvalho, W. B., Nunez, S. C., & Peterlini, M. A. (2009). Oral care interventions and oropharyngeal colonization in children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4), 319-328. 

  24. Pnematikos, I. A., Dragoumanis, C. K., & Bouros, D. E. (2009).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or endotracheal tube-associated pneumonia? an approach to the pathogenesis and preventive strateg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ndotracheal tube. Anesthesiology, 110(3), 673-680. 

  25. Rosan, B., & Lamont, R. J. (2000). Dental plaque formation. Microbes Infect, 2, 1599-1607. 

  26. Sakai, M., Shimbo, T., Omata, K., Takahashi, Y., Satomura, K., Kitamura, T., et al. (2008). Cost-effectiveness of gargling for the prevention of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8, 258. 

  27. Song, J. A., & Hur, M. H. (2012). Effects of A-solution on halitosis and oral status in preoperative NPO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405-413. 

  28. Song, J. E., So, H. S., Ju, D., & Kim, E. J. (20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preventing stomatitis discomfort among acute leukem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11(1), 33-40. 

  29. Takarada, K., Kimizuka, R., Takahashi, N., Honma, K., Okuda, K., & Kato, T. (2004). A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efficacies of essential oils against oral pathogens. Molecular Oral Microbiology, 19(1), 61-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