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방안
A Methodology for Rain Gauge Network Evaluation Considering the Altitude of Rain Gaug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1, 2014년, pp.113 - 124  

이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  전환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량은 관측소의 설치고도에 따라 관측량의 편차가 심하며, 이로 인해 도시지역과 산지지역의 강우발생 특성이 다르다. 산지효과로 인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강우 관측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감안하면 산지지역에서의 강우관측소 밀도는 커야한다. 이러한 관측소의 고도특성이 반영된 관측망 평가는 산지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산악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의 효과적인 예측 및 레이더 자료의 보정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의 설치고 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의 평가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설치밀도 파악을 위해 고정간격의 고도를 이용하는 등고도비별 설치밀도 산정방법과 유역의 면적비를 이용하는 등면적비별 설치밀도 산정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등면적비를 이용하는 경우가 고도별 강우관측망의 평가에 보다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타유역과의 비교를 위해 등면적별 관측소 설치밀도의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고도별 분포를 정량화 하였다. 이는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분포의 균등함을 평가하는 정량적 지표가 되며, 제시된 방법론을 5대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설치밀도의 변동계수가 작은 유역에서는 고도별 강우설치밀도가 일정함으로 인해 보다 균등한 분포를, 반면 변동계수가 큰 유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고도별 설치밀도가 불균등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served rainfall may be different along with the altitude of rain gauge, resulting i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vents occurred in urban or mountainous areas are different. Due to the mountainous effects, in higher altitude, the uncertainty involved in the rainfall observ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우관측소의 고도특성이 반영된 강우관측소의 평가는 산지효과와 보다 나은 유역평균강우량 산정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강우-유출해석을 위해서는 하천 형상에 따른 유역분수령을 기준으로 유역을 분할하여야 한다.
  • 본 연구는 설치고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방안을 제안한 논문으로 이는 최종적으로 산지효과를 반영한 강우관측망 평가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강우관측소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따라서 유역의 특성 및 관측소 설치목적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연장으로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가 고려된 관측망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설치밀도 파악을 위해 고정간격의 고도를 이용하는 등고도비별 설치밀도와 유역의 면적비를 이용하는 등면적비별 설치밀도를 비교ㆍ평가하였다.
  • 강우관측망 평가를 위해 단순히 설치밀도를 이용하는 경우는 유역의 개략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지만 설치고도의 특성은 고려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설치밀도 파악을 위해 고정간격의 고도를 이용하는 등고도비별 설치밀도와 유역의 면적비를 이용하는 등면적비별 설치밀도를 비교·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아울러 제안한 방법론으로 분석된 유역이 어느 정도의 산지효과를 보이는지는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이 부분은 배제하였다. 다만, 산지효과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평지와 산지지역에서의 고도별 설치밀도가 균등하게 설치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고도별 강우관측망의 균등함을 평가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 재분류된 중유역은 국토교통부의 대권역과 중권역의 중간정도의 유역크기에 해당된다. 아울러 영산강과 섬진강의 경우 유역의 면적이 작아 하나의 단일 유역(국토교통부의 대권역과 동일)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그 결과 등면적비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고도별 강우관측망의 평가에 보다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5대강 유역에 대해 적용한 결과, 중유역 Naksub4는 설치밀도의 변동계수가 가장 작았으며, 중유역 Sumjin은 상대적으로 설치밀도의 변동계수가 크게 산정되었다. 일반적으로 변동계수가 작으면 자료의 분포가 균일(고도별로 설치된 관측소가 일정)하다고 판단하며, 반대로 변동계수가 크면 자료의 편차가 심해 고도별로 설치된 강우관측소의 밀도가 일정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두 유역에 대해 고도별 설치밀도를 확인할 결과, 중유역 Naksub4은 변동계수가 작음으로 인해 고도별 설치밀도가 일정함을, 반면 중유역 Sumjin은 변동계수가 커 고도별로 설치된 강우관측소의 밀도가 불균등함을 도시적으로도 확인하였다. 아울러 대상유역에 대한 상대면적-상대밀도 관계곡선으로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강우량의 특징은 무엇인가? 강우량은 관측소의 설치고도에 따라 관측량의 편차가 심하며, 이로 인해 도시지역과 산지지역의 강우발생 특성이 다르다. 산지효과로 인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강우 관측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감안하면 산지지역에서의 강우관측소 밀도는 커야한다.
산지지역에서의 강우관측소 밀도가 커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강우량은 관측소의 설치고도에 따라 관측량의 편차가 심하며, 이로 인해 도시지역과 산지지역의 강우발생 특성이 다르다. 산지효과로 인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강우 관측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감안하면 산지지역에서의 강우관측소 밀도는 커야한다. 이러한 관측소의 고도특성이 반영된 관측망 평가는 산지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산악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의 효과적인 예측 및 레이더 자료의 보정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Zahrani, M and Husain, T (1998). An algorithm for designing a precipitation network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Saudi Arabia, J. of Hydrology, 205, pp. 205-216. 

  2. Caselton, WF and Husain, T (1980). Hydrologic networks: Information transmission, J.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106, pp. 503-529. 

  3. Chapman, TG (1986). Entropy as a measure of hydrologic data uncertainty and model performance, J. of Hydrology, 85, pp. 111-126. 

  4. Daly, C, Neilson, RP and Phillips, DL (1994). A statistical 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 of applied meteorology, 33(3), pp. 140-158. 

  5. Donley, DE and Mitchell, RL (1939). The relation of rainfall to elevation in the southern appalachian regio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 pp. 711-721. 

  6. Kim, DK and Chun, HY (2000). A numerical study of the orographic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rainfall event, J.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6(4), pp. 441-454. [Korean Literature] 

  7. Kim, KW, Yoo CS and Jun, KS (2004). Orographic effect estimation of rainfall in han river basin - 3. Regionalization, J.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5B), pp. 461-468. [Korean Literature] 

  8. Kim, MJ and Lee, DK (1998). The study on local circulation and orographic precipitation over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J.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4(1), pp. 128-146. [Korean Literature] 

  9. Krstanovic, PF and Singh, VP (1992). Evaluation of rainfall networks using entropy: II. Application, J.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6, pp. 295-314. 

  10. Langbein, WB (1947).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drainage basins,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968-C, pp. 125-157. 

  11. Lee, JH, Byun, HS, Kim, HS and Jun, HD (2013). Evaluation of a rain gauge network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entropy : A case study of Imha dam basin, J.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2). pp. 217-226. [Korean Literature] 

  12. Lee, JS (2006). Hydrology, Gumi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3. Naoum, S and Tsanis, IK (2004).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GIS module using spatial variables to model orographic rainfall, J. of hydroinformatics, 6(1), pp. 39-56. 

  14.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1999). Disaster annual report. [Korean Literature] 

  15. Peck, EL and Schaake, JC (1990). Network design for water supply forecasting in the west, Water Resources Bulletin, 26, pp. 87-99. 

  16. Rodda, J.C. (1951) An objec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areal rainfall amounts, Weather, Vol. 17, pp. 54-59. 

  17. Seo, KH and Lee DK (1996). Analysis and simulation of orographic rai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2(4), pp. 512-533. [Korean Literature] 

  18. Stidd, CK and Leopold, LB (1951).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average monthly rainfall, Hawaii,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3): pp. 24-33. 

  19.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1994). Guide to hydrological practices, Fifth edition, WMONo.168. 

  20. Yoo, CS and Jung, KS (2001). Estimation of area average rainfall amount and its erro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4), pp. 317-326. [Korean Literature] 

  21. Yoo, CS, Jun, KS and Kim, KW (2004a). Estimation of orographic effect on precipitation in the Han river basin -I. Regression analysis-, J.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1B), pp. 33-39. [Korean Literature] 

  22. Yoo, CS, Jun, KS and Kim, KW (2004b). Estimation of orographic effect on precipitation in the Han river basin -II. EOF analysis-, J.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1B), pp. 41-46. [Korean Literature] 

  23. Yoo, CS, Kim, IB and Ryu, SR (2003). Evaluation of rain 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pp. 173-181. [Korean Literature] 

  24. Yoon, YN (2007). Hydrology, Chungmoongak Publisher. [Korean Literature] 

  25. Yun, HS, Um, MJ, Cho, WC and Heo, JH (2009).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6). pp. 465-48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