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배광고 목격경험과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청소년의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xperiences of Witnessing Tobacco Advertising and Preferences of Tobacco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on Current and Future Smoking Intentions in Adolesc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1, 2014년, pp.33 - 43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신선화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원) ,  이복근 (청소년 흡연음주예방협회) ,  양진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of witnessing tobacco advertising and preferences of tobacco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CSR) on current and future smoking intentions in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700 adolescents living in Korea representing 7 metropoli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담배광고의 목격경험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청소년들의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비교 분석하므로, 청소년의 흡연예방을 위한 담배광고 금지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담배광고의 목격경험과 사회공헌활동이 청소년들의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담배광고 목격경험과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담배광고와 청소년의 흡연에 대한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담배광고나 담배홍보는 비흡연 청소년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흡연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담배회사의 담배광고 목격경험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청소년들의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이는 FCTC에서 요구하고 있는 TAP 중 담배광고(advertising)와 홍보(promotion)의 효과를 다루었을 뿐 사회공헌활동(sponsorship)이 청소년들의 흡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담배회사에 의해 시행 되고 있는 담배 광고와 사회공헌활동 선호도에 따른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청소년들의 현재 및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여 청소년들의 흡연예방을 위한 담배광고 금지에 대한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청소년들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나 친구 흡연, 과거 흡연경험과 또래집단의 압력[2], 우울[3,4], 학교에서의 외로움, 위험한 활동을 즐기는 경향성, 비행행위와 스트레스[4], 담배회사의 담배광고, 판촉과 후원(Tobacco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TAPS) 등을 들 수 있다[5]. 이중 TAPS는 2003년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 WHA)에서 처음 채택되었고, 2005년 우리나라에서 비준된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내용 중 제13조 가이드라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담배광고와 판촉이란 무엇인가? 이중 TAPS는 2003년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 WHA)에서 처음 채택되었고, 2005년 우리나라에서 비준된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내용 중 제13조 가이드라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담배광고와 판촉이란 직 ‧ 간접적으로 담배 구매와 흡연을 독려하는 목적이 있거나 판촉효과가 있는 모든 형태의 상업적 커뮤니케이션, 권장 및 행위를 가리키며, 후원이란 직 ‧ 간접적으로 담배구매와 흡연을 독려하는 목적이 있거나 판촉효과가 가능한 모든 행사나 사회공헌활동을 가리킨다[6]. FCTC에서는 TAPS를 전면 금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담배광고를 포괄적으로 전면 금지시키는 것은 담배수요를 줄이는 가장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7].
담배회사의 담배광고, 판촉과 후원의 내용은 어디에서 다루어지는가? 청소년들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나 친구 흡연, 과거 흡연경험과 또래집단의 압력[2], 우울[3,4], 학교에서의 외로움, 위험한 활동을 즐기는 경향성, 비행행위와 스트레스[4], 담배회사의 담배광고, 판촉과 후원(Tobacco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TAPS) 등을 들 수 있다[5]. 이중 TAPS는 2003년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 WHA)에서 처음 채택되었고, 2005년 우리나라에서 비준된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내용 중 제13조 가이드라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담배광고와 판촉이란 직 ‧ 간접적으로 담배 구매와 흡연을 독려하는 목적이 있거나 판촉효과가 있는 모든 형태의 상업적 커뮤니케이션, 권장 및 행위를 가리키며, 후원이란 직 ‧ 간접적으로 담배구매와 흡연을 독려하는 목적이 있거나 판촉효과가 가능한 모든 행사나 사회공헌활동을 가리킨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tatistics of online survey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2012 [Internet].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cited 2013 July 22].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2. Lee S, Yun JE, Lee JK, Kim IS, Jee SH. The Korean prediction model for adolescents' future smoking intention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0;43(4):283-291. http://dx.doi.org/10.3961/jpmph.2010.43.4.28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moking in the second half of 2011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cited 2013 July 22]. Available from http://www.kash.or.kr/user_new/pds_view. asp 

  4. Park SH. Smoking behavior and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3):376-385.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376 

  5. Li L, Borland R, Fong GT, Thrasher JF, Hammond D, Cummings KM. Impact of point-of-sale tobacco display bans: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four country survey. Health Education Research. 2013;28(5):898-910. http://dx.doi.org/10.1093/her/cyt058 

  6.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s. Monthly highlights: Ban tobacco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Tobacco Control Issue Report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s. 2013 May;1:8-15. [cited 2013 October 23].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BoardType66.do? bid64&mid1&cmd_view&dept&bns7&idx7408 

  7. Blecher E. The impact of tobacco advertising bans on consum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8;27(4):930-942. http://dx.doi.org/10.1016/j.jhealeco.2008.02.010 

  8. Health Promotion Law.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ternet]. Seoul: Health Promotion Law. 2012 [cited 2013 October 2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 &subMenu1&nwYn1&query%EA%B5%AD%EB%AF%B C%EA%B1%B4%EA%B0%95%EC%A6%9D%EC%A7%84%E B%B2%95+%EC%8B%9C%ED%96%89%EB%A0%B9&x0&y 0#liBgcolor0 

  9. Lee HH. National tobacco control programm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7;129:6-21. 

  10. Park SO. National policy for adolescent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7;129: 22-34. 

  11. Min TW. Seoul city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gnores illegal cigarette promotion [Internet]. Kukinews. 2013 June 9; Sect.01. [cited 2013 October 26]. Available from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 page1&gCodekmi&arcid0007259474&cpdu 

  12. Lee KB. KT & G invests in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ternet]. Munwha Daily News. 2013 October 24;Sect.01. [cited 2013 October 23]. Available from http://www.munhwa.com/news/view.html? no2013102401031824152002 

  13. Hanewinkel R, Isensee B, Sargent JD, Morgenstern M. Cigarette advertising and teen smoking initiation. Pediatrics. 2011;127(2):271-278. http://dx.doi.org/10.1542/peds.2010-2934 

  14. Gilpin EA, White MM, Messer K, Pierce JP. Receptivity to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s among young adolescents as a predictor of established smoking in young adulthood.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7;97(8):1489-1495. 

  15. Joe HO. The effects of cigarette company's image advertising on public cigarette consump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5;105:83-91. 

  16. Oh MY. Influence of smoking perception and attitude on the image of tobacco Company and the perception of its CSR activities. Speech & Communication. 2010;13:145-183. 

  17. Choi JM. The effect of on-screen smoking on adolescent smoking initiation - vicarious functional learning about smoking via the empathy toward the smoking character.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2009;23(2):526-566. 

  18. Tak JY. A study on the effects of magazine cigarette advertising on consumers' social behaviors. Advertising Research. 2002;57:195-222. 

  19. Shin SR, Jeong GC, Lee BK. The influence of cigarette advertising and susceptibility to smoking on adulthood smoking inten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19(10):1-22. 

  20.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1. Kim BC, Lee CH. A study of tobacco company'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11;139(4):5-37. 

  22. Sussman S, Miyano J, Rohrbach LA, Dent CW, Sun P. Sixmonth and one-year effects of project EX-4: A classroombased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 program. Addictive Behaviors. 2007;32(12):3005-3014. http://dx.doi.org/10.1016/j.addbeh.2007.06.016 

  23. Lavato C, Linn G, Stead LF, Best A. Impact of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on increasing adolescent smoking behaviour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 4:1-28.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439 

  24. Perez DA, Grunseit AC, Rissel C, Kite J, Cotter T, Dunlop S, et al. Tobacco promotion 'below-the-line': Exposur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in NSW, Australia. BMC Public Health. 2012;12(429):1-9. http://dx.doi.org/10.1186/1471-2458-12-429 

  25. Kim YH, Hoe MS.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n adolescent smoking preventation program criticizing cigarette advertisem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1; 21:267-296. 

  26. Sargent JD, Dalton M, Beach M, Bernhardt A, Heatherton T, Stevens M. Effect of cigarette promotions on smoking uptake among adolescents. Preventive Medicine. 2000;30(4):320-327. 

  27. Arora M, Stigler MH, Reddy K.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in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adolescents in India: Research evidence informs the national tobacco control programme in India. Global Health Promotion. 2011;18(1):9-12. http://dx.doi.org/10.1177/1757975910393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