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분리막 제조 및 정삼투 성능 평가
Preparation of Cellulose Acetate Membrane and Its Evaluation as a Forward Osmosis Membran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4 no.2, 2014년, pp.136 - 141  

안혜련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원) ,  김진홍 (LG전자) ,  권영남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를 이용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분리막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염제거율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각기 다른 염제거율을 가지는 분리막을 제조하고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막 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분리막의 구조가 정삼투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기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분리막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정삼투 장치 운전을 통해 투과성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ellulose acetate (CA) membrane was prepared by phase inversion precipitation and then evaluated the forward osmosis (FO) membrane performance. Differences in water flux and salt rejection between RO and FO with prepared membranes were observed. The different structure membrane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A막의 성능 평가는 전용 셀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졌고, 이 막은 2,000 ppm의 정제염 용액을 이용하여 225 psi, 25℃, cross-flow 속도 4 L/min의 조건에서 최소 1시간 동안 압밀화한 후, 투과량을 측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투과량은 일정시간동안 막을 투과하여 나온 투과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의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FO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의 염 제거 성능별 정삼투 투과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고농도 유도 용액(draw solution)은 NaCl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 RO 성능 평가를 수행한 후 제거율에 따라 FO를 적용하기 위해 고농도 유도용액(draw solution)을 NaCl 4M로 고정하고 유입수(feed solution)를 DI water로써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에 따르면, FO 공정에 있어 가장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내부농도분극현상(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이다[12-15].
  • Table 1은 CA를 25%로 고정하고, 용매를 acetone과 DMF의 혼합비로 용액을 제조하여 RO 성능평가와 FO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RO 성능평가에 제거율을 80%로 맞추기 위해 열처리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였다.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있어 DMF의 양이 늘어날수록 시간과 온도는 올라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막의 구조에 따른 FO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Table 1은 CA를 25%로 고정하고, 용매를 acetone과 DMF의 혼합비로 용액을 제조하여 RO 성능평가와 FO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RO 성능평가에 제거율을 80%로 맞추기 위해 열처리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였다.
  • 분리막의 구조가 FO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계 방출 주사 현미경(FE-SEM, JEOL社의 JSM 5410LV)을 이용하여 CA막의 표면과 단면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단면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막을 액체질소 속에 동결 건조시킨 후 부러트려 진공상태에서 금박 코팅을 하였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계면중합을 시킨 막은 염의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복합막을 제조하여 용질을 배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실험에서 RO rejection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여 각 제거율마다 농도분극현상에 의해 투과량의 감소를 알아보았다. Fig.
  • 본 연구에서는 CA를 이용하여 상전환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고 RO 제거율에 따라 FO 공정에 적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RO 공정에서의 제거율이 높을수록 FO 공정에서는 투과유량이 높게 나오는 결과를 얻었다.
  • 특히 해수담수화와 관련하여 정삼투 기술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해수담수화용 정삼투막의 개발에 관한 연구 또한 크게 증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를 이용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정삼투 및 역삼투 조건에서 분리막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CA FO 막은 상전환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 4. CA막의 구조 분석

    분리막의 구조가 FO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계 방출 주사 현미경(FE-SEM, JEOL社의 JSM 5410LV)을 이용하여 CA막의 표면과 단면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단면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막을 액체질소 속에 동결 건조시킨 후 부러트려 진공상태에서 금박 코팅을 하였다.

  • 제막 조건과 분리막 성능 변화 간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하여 CA의 농도, 열처리 시간, 열처리 온도,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된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RO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막의 염제거율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각기 다른 염제거율을 가지는 분리막을 제조하고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막 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분리막의 표면 및 내부의 구조가 정삼투 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N’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등 각기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 분리막의 표면 및 내부의 구조가 정삼투 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N’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등 각기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 투과유량은 유입수(feed solution)쪽에 연결된 전자저울(상표적기)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컴퓨터에 1분 단위로 무게를 측정하여 얻어졌다. 이 결과값으로 1시간 동안 반투과성막을 투과한 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리막의 dense layer는 고농도 유도용액 쪽을 보게 하였다.
  • Casting 후에는 용매를 30초간 증발시키고 4℃인 응고욕에 넣어 상전이 시킨 후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흐르는 물에 놓아두었다. 이 막은 85℃의 물에 일정시간 열처리하여 투과량과 제거율을 평가하였다.
  • 선행 연구에 의해서 지지체로써 finger-like 구조를 지닌 막이 FO 공정에서는 sponge 형태의 구조보다 더 좋은 투과유량을 가진다고 보고하고 있다[15-18]. 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막의 구조에 따른 FO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Table 1은 CA를 25%로 고정하고, 용매를 acetone과 DMF의 혼합비로 용액을 제조하여 RO 성능평가와 FO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이때 부직포의 경우, 유리판 위에 평평하게 고정시키고, doctor’s knife로 항상 일정한 속도로 밀어 당겨서 casting을 하였다.
  • CA FO 막은 상전환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제막 조건과 분리막 성능 변화 간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하여 CA의 농도, 열처리 시간, 열처리 온도,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된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RO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막의 염제거율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각기 다른 염제거율을 가지는 분리막을 제조하고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막 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 제막조건의 경우 항온 항습실에서 25℃, 상대습도가 65%인 조건하에서 실시하였고, CA 와 용매, 첨가제가 들은 용액을 유리판의 부직포 위에 붓고 doctor’s knife로 casting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 분리막의 표면 및 내부의 구조가 정삼투 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N’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등 각기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의 구조는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정삼투 장치 운전을 통해 투과성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 이때의 유량은 100 ml/min로 고정시키고, 온도는 20℃로 하여 1시간 동안 순환시킨 후 투과유량을 측정하였다. 투과유량은 유입수(feed solution)쪽에 연결된 전자저울(상표적기)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컴퓨터에 1분 단위로 무게를 측정하여 얻어졌다. 이 결과값으로 1시간 동안 반투과성막을 투과한 유량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첨가제로 사용한 Formamide는 간토(Kanto)에서 구입을 하였다. 그리고 FO측정을 위해 사용된 유도 용액 제조를 위해 사용된 NaCl은 Aldrich社에서 구입을 하여 사용하였다. Cellulose acetate를 제외한 모든 시약들은 정제 없이 바로 사용하였다.
  • FO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의 염 제거 성능별 정삼투 투과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고농도 유도 용액(draw solution)은 NaCl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NaCl의 농도는 4 M로 고정하여 수용액으로 사용하였고, 유입수(feed solution)로는 DI water를 사용하였다.
  • 제막을 위한 소재로 Cellulose acetate(CA, 39.7%, MW 50,000 g/mol)를 이용하였고, CA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이용된 acetone과 N,N-dimethylformamide (DMF)는 각각 Aldrich社과 삼전에서 구입을 하였다. 첨가제로 사용한 Formamide는 간토(Kanto)에서 구입을 하였다.
  • 7%, MW 50,000 g/mol)를 이용하였고, CA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이용된 acetone과 N,N-dimethylformamide (DMF)는 각각 Aldrich社과 삼전에서 구입을 하였다. 첨가제로 사용한 Formamide는 간토(Kanto)에서 구입을 하였다. 그리고 FO측정을 위해 사용된 유도 용액 제조를 위해 사용된 NaCl은 Aldrich社에서 구입을 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를 이용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정삼투 및 역삼투 조건에서 분리막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CA FO 막은 상전환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제막 조건과 분리막 성능 변화 간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하여 CA의 농도, 열처리 시간, 열처리 온도,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된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RO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발법은 어떤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었는가? 증발법의 경우 해수담수화 기술 중 가장 오래된 기술로써 해수를 끓여서 다시 응축시키는 방법이다. 증발법은 수자원이 부족한 중동지역에서 수십 년 전부터 이용되어 오고 있지만 시설의 설치 면적이 방대하고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역삼투법은 삼투현상을 거꾸로 이용한 것으로 일가이온과 같은 초미세물질까지 배제시킬 수 있는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염수 쪽에서 고압을 가하여 담수만을 투과시키는 방법이다[1-3].
정삼투법과 역삼투법의 다른 점은? 정삼투법은 역삼투법과 마찬가지로 삼투압 유발 용질을 걸러낼 수 있는 반투막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역삼투 법과 다르게 정삼투 공정에서는 압력차가 아닌 농도차를 이용하여 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진다[4-6]. 따라서 매우 작은 압력이나, 압력을 배제한 상태에서도 공정을 운영할 수 있다.
역삼투법은 어떻게 담수를 생산하는가? 증발법은 수자원이 부족한 중동지역에서 수십 년 전부터 이용되어 오고 있지만 시설의 설치 면적이 방대하고 에너지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역삼투법은 삼투현상을 거꾸로 이용한 것으로 일가이온과 같은 초미세물질까지 배제시킬 수 있는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염수 쪽에서 고압을 가하여 담수만을 투과시키는 방법이다[1-3]. 이러한 역삼투법은 증발법에 비해 적은 에너지 소비량과 공정의 간편성, 자동화가 용이하고 환경 친화적인 장점 등으로 인하여 해수담수화 공법 중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E. O. Ko, J. D. Moon, and J. M. Park, "Status-of-arts of Desalination Technology", Membrane Journal, 20(3) (2010). 

  2. B. R. Jeong, J. H. Kim, B. S. Kim, Y. I. Park, D. H. Song, and I. C. Kim, "Effect of Support Membrane Property on Performance of Forward Osmosis Membrane", Membrane Journal, 20(3) (2010). 

  3. S. Loeb, "Osmotic power plants", Science, 189, 350 (1974). 

  4. K. L. Lee, R. W. Baker, and H. K. Lonsdale, "Membranes for power generation by pressure-retarded osmosis", J. Membr. Sci., 8, 141-171 (1981). 

  5. T. Cath, A. Childress, and M. Elimelech, "Forward osmosis : principles, application, and recent developments", J. Membr. Sci., 281, 70-87 (2006). 

  6. A. Achilli, T. Cath, and A. childress, "Power generation with retarded osmosis :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J. Membr. Sci., 343, 42-52 (2009). 

  7. B. Ravindra Babu, N. K. Rastogi, and K. S. M. S. Raghavarao,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transmembrane flux during direct osmosis", J. Membr. Sci., 280, 185-194 (2006). 

  8. R. E. Kravath and J. A. Davis, "Desalination of seawater by direct osmosis", Desalination, 16, 151-155 (1975). 

  9. J. O. Kessler and C. D. Moody, "Drinking water from sea water by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18, 297-306, (1976). 

  10. J. R. McCutcheon, R. L. McGinnis, and M. Elimelech,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direct) osmosis desalination process", Desalination, 174, 1-11 (2005). 

  11. G. D. Mehta and S. Loeb, "Internal polarization in the porous substructure of a semi-permeable membrane under pressure-retarded osmosis", J. Membr. Sci., 4, 261-265 (1978). 

  12. J. R. McCutcheon, R. L. McGinnis, and M. Elimelech, "Desalination by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osmosis process: influence of draw and feed solution concentrations on process performance", J. Membr. Sci., 278, 114-123 (2006). 

  13. G. Gray, J. McCutcheon, and M. Elimelech,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 forward osmosis : role of membrane orientation", Desalination, 197, 1-8 (2006). 

  14. J. McCutcheon and M. Elimelech, "Influence of concentrative and dilutiv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on flux behavior in forward osmosis", J. Membr. Sci., 284, 237-247 (2006). 

  15. J. McCutcheon and M. Elimelech, "Influence of membrane support layer hydrophobicity on water flux in osmotically driven membrane processes", J. Membr. Sci., 318, 458-466 (2008). 

  16. M. Qtaishat, M. Khayet, and T. Matsuura, "Novel porous composite hydrophobic/hydrophilic polysulfone membranes for desalination by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J. Membr. Sci., 341, 139-148 (2009). 

  17. S. H. Ahn, I. C. Kim, D. H. Song, J. G. Jegal, Y. N. Kwon, and H. W. Rhee, "Pore Structure and Separation Properties of Thin Film Composite Forward Osmosis Membrane with Different Support Structures", Membrane Journal, 23(3) (2013). 

  18. E. Gracia-Castello, J. McCutcheon, and M. Elimelech, "Performance evaluation of sucrose concentration using forward osmosis", J. Membr. Sci., 338, 61-6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