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결합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농촌마을 하수의 고도처리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System for the Advanced Treatment of Rural Village Sewag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4 no.1, 2014년, pp.20 - 30  

김승건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이호원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N 비가 낮은 농촌마을 하수의 고도처리를 위하여 $0.4{\mu}m$의 세공크기를 갖고 있는 평막이 침지된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분말활성탄의 투입, 폭기량 및 유입 유기물 농도가 처리효율과 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4일 이내의 조업 초기에서는 C/N 비가 증가할수록 COD, T-N 및 T-P의 제거율과 MLSS 농도는 증가하였다. 조업 89일 후의 COD, T-N 및 T-P의 제거율은 각각 97.1%, 75.0% 및 48.3%이었다. 막여과에 의해 처리수에서 S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T-P의 제거율이 낮게 나온 이유는 과잉의 슬러지를 배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분말활성탄을 투여한 경우 조업이 진행됨에 따라 분말활성탄의 혼합강도와 충돌빈도가 증가하여 슬러지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분말활성탄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TMP 상승이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MSBR) was used for the advanced treatment of rural village sewage which is very low C/N ratio. The effect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aeration rate, and external organic material loadings on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filtration performance were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MSBR의 운전주기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1cycle당 180분을 운전주기로 하였으며, 마을 하수의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제거 특성 및 막간차압 (transmembrane pressure, TMP)의 변화를 보았다. 운전 주기는 무산소 반응 60분, 호기성 반응 120분으로 구성하였고, 무산소 반응에서 초기 5분에 유입수를 공급하였다.
  •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을 하수의 COD 값은 최소 60 mg/L에서 최대 150 mg/L로서(평균 86 mg/L) COD/T-N 및 COD/T-P 비가 매우 낮았다. COD 값을 높이기 위하여 Run-4, Run-5 및 Run-6에서는 하수 20L당 메탄올을 각각 1 mL, 5 mL 및 10 mL를 주입하였다. Run-4, Run-5 및 Run-6에서의 COD 값은 각각 113 mg/L, 353 mg/L 및 630 mg/L이었다.
  • Run-1, Run-2 및 Run-3에서는 공급 공기유량을 각각 20 L/min, 15 L/min 및 10 L/min로 각각 낮추었으며, Run-4, Run-5 및 Run-6에서는 하수 20 L당 메탄올을 각각 1 mL, 5 mL 및 10 mL를 주입하여 Run-4, Run-5 및 Run-6에서 하수의 COD 평균값을 각각 113 mg/L, 353 mg/L 및 630 mg/L로 높여 실험하였다.
  • 운전 주기는 무산소 반응 60분, 호기성 반응 120분으로 구성하였고, 무산소 반응에서 초기 5분에 유입수를 공급하였다. 또한 호기성 반응에서는 비여과와 여과를 각각 20분씩 120분 동안 간헐적 여과를 하였다.
  • 반응기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은 분리막 표면에 생성되는 케이크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분리막 모듈 아래에 설치하였다. 또한, 폐수의 유입 펌프, 에어 펌프, 교반기 및 흡입펌프의 ON/OFF 제어는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B-30S-B, COMFILE Technology, Korea)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평막을 사용한 MSBR 개발의 일환으로서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flat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를 사용하여 C/N 비가 매우 낮은 제주도 J읍의 농촌마을 하수를 처리하였다. 마을 하수를 대상으로 분말활성탄의 투입 유무, 폭 기량 및 외부탄소의 주입량 변화에 따른 3개월 이상의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MLSS의 농도, COD, T-N 및 T-P 제거효율 및 TMP (transmembrane pressure)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의 최적 운전 조건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COD는 크롬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막의 표면은 FE-SEM (JSM-6700F, JEOL Ltd.,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슬러지의 입자 크기 및 분포는 입도분석기(Malvern Mastersizer E., Malvern,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용존 산소 농도(dissolved oxygen, DO)는 DO meter (245D, istek,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 Malvern,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기 내부의 용존 산소 농도(dissolved oxygen, DO)는 DO meter (245D, istek,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평막을 사용한 MSBR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개발의 일환으로서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여 C/N 비가 낮은 농촌마을의 하수 처리에 적용하였다. 분말활성탄의 투입, 폭 기량 및 유입 유기물 농도 변화에 따른 3개월 이상의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MLSS의 농도 변화와 COD, T-N 및 T-P의 제거효율 및 TMP (transmembrane pressure) 변화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정속여과에서 조업시간에 따라 TMP가 증가되면 분리막을 반응조에서 분리하여 물리적 방법이나 화학적 방법에 의해 세정하여야 한다[13,14]. 본 연구에서는 TMP 가 20 kPa~25 kPa에 도달하였을 때, 분리막을 반응기에서 꺼내어 부드러운 스펀지로 막의 표면에 형성된 케이크를 제거한 후, 0.5% NaOCl 용액으로 막을 세정하였다.
  • 이때 탈질세균의 영양원으로 이용되는 유기물질은 유입 하수중의 유기물질, 세포가 사멸하면서 분해된 유기물질이 이용되며, 유기물질이 부족할 때는 메탄올, 초산, 펩톤 및 당류(글루코스) 등의 유기물질을 외부로부터 공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탄소원으로서 메탄올을 공급하였으며, 이때 질산성 질소는 식 (3)과식 (4)와 같은 환원반응에 의해 탈질된다.
  • 본 연구에서는 평막을 사용한 MSBR 개발의 일환으로서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flat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를 사용하여 C/N 비가 매우 낮은 제주도 J읍의 농촌마을 하수를 처리하였다. 마을 하수를 대상으로 분말활성탄의 투입 유무, 폭 기량 및 외부탄소의 주입량 변화에 따른 3개월 이상의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MLSS의 농도, COD, T-N 및 T-P 제거효율 및 TMP (transmembrane pressure)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의 최적 운전 조건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부유 미생물 시료를 반응기에서 일정량 채취하여 glass fiber filter (GS-25, Advantec, Japan)로 여과한 후, 필터를 105°C 건조기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필터와 건조한 시료의 전체 질량에서 필터 질량을 감하여 반응기 내의 MLS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평막을 사용한 MSBR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개발의 일환으로서 평막결합형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여 C/N 비가 낮은 농촌마을의 하수 처리에 적용하였다. 분말활성탄의 투입, 폭 기량 및 유입 유기물 농도 변화에 따른 3개월 이상의 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MLSS의 농도 변화와 COD, T-N 및 T-P의 제거효율 및 TMP (transmembrane pressure) 변화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MLSS 농도가 낮을 때에는 분말활성탄이 담체의 역할을 하여 미생물의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 MLSS가 너무 낮아 운전 시작 후 17일 경과 후에 J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반송 슬러지를 채취하여 각 반응기에 각각 2 L의 활성슬러지를 식종하였다.
  • 한편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을 10 g/L 투여한 반응기와 분말활성탄을 투여하지 않은 반응기를 동시에 조업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분말활성탄 투입에 따른 하수처리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때 사용한 분말활성탄은 표준체로 체질을 한 후, 크기가 75~150µm인 것만을 사용하였다.
  • 한편, MLVSS는 MLSS를 측정한 필터를 다시 550°C 건조로에서 15 분 동안 건조하여 휘발성 성분을 휘발시킨 후, 남은 질량으로부터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2와 같다. 반응기는 아크릴판으로 제작하였으며, 크기는 가로 25 cm, 세로 10 cm, 높이 100 cm로 직육면체 모양으로 제작하였으며, 반응기의 유효 부피(working volume)는 17.8 L로 하였다. 반응기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은 분리막 표면에 생성되는 케이크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분리막 모듈 아래에 설치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분리막은 국내 P사에서 제조한 침 지형 평막으로 재질은 PVC, 공극의 크기는 0.4 µm, 막 모듈의 표면적은 0.17 m2이다.
  • 본 연구에 사용된 하수는 제주도 J읍에 위치한 중산간 지역의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유입되는 유입수를 직접 채수하여 사용하였다. COD, T-N, T-P, NH3-N 및 Cl이온의 평균 농도는 각각 86.
  • 폭기량은 Run-1과 Run-2에서는 각각 20 L/min 및 15 L/min로 하였고, Run-3 이후로는 10 L/min로 하였다. 외부탄소 주입원으로는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Run-4 이전에는 메탄올을 주입하지 않았으며, Run-4, Run-5 및 Run-6에서의 하수 20 L당 메탄올 주입량은 각각 1 mL, 5 mL 및 10 mL이었다.
  • 이때 사용한 분말활성탄은 표준체로 체질을 한 후, 크기가 75~150µm인 것만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COD, T-N, T-P, NH3-N 및 Cl은 분광광도계인 DR-5000 (HACH, USA)를 사용하여 Method 8000 (HACH), Method 10071 (HACH), Method 8190 (HACH), Method 8038 (HACH) 및 Method 8113 (HACH)에 의해 분석하였다. COD는 크롬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N 및 Cl은 분광광도계인 DR-5000 (HACH, USA)를 사용하여 Method 8000 (HACH), Method 10071 (HACH), Method 8190 (HACH), Method 8038 (HACH) 및 Method 8113 (HACH)에 의해 분석하였다. COD는 크롬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막의 표면은 FE-SEM (JSM-6700F, JEOL Ltd.
  • 부유 미생물의 농도는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와 MLVSS (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s)로 측정하였으며, 각 농도의 측정은 Standard Method[12]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부유 미생물 시료를 반응기에서 일정량 채취하여 glass fiber filter (GS-25, Advantec, Japan)로 여과한 후, 필터를 105°C 건조기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필터와 건조한 시료의 전체 질량에서 필터 질량을 감하여 반응기 내의 MLS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속회분식 반응조는 어떠한 단위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한편, 연속회분식 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는 유입(fill), 반응(react), 침전(settle), 처리수의 배출(draw) 및 휴지(idle)의 5가지 단위공정이 폭기장치와 교반장치가 설치된 하나의 반응조에서 순차적으로 행해지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처리조작을 계속하게 된다. SBR은 운전이 간단하고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며, 슬러지 벌킹(sludge bulking)을 유발하는 사상성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어 유량 변동이 심하고 수질 변동이 큰 소도시, 농촌 및 관광단지 등에서 적합하며 미국, 일본의 경우 중소도시의 하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다.
막결합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란 무엇인가? 막결합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MSBR)는 MBR의 한 종류로서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반응 조에 폐수를 유입, 반응, 침전, 배출, 휴지 등의 단계를 거쳐 처리하는 연속회분식 생물반응기 공정에서 침전 단계와 배출 단계를 분리막 여과로 대체한 공정이다. 기존의 SBR 공정에서는 활성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처리수를 배출할 때 필요한 시간(침전시간)이 SBR 공정의 총시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므로 분리막을 이용하여 침전단계를 제거할 수 있다면 SBR의 조업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침지형 막결합 생물반응조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기존의 활성슬러지 시스템보다 미생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액분리에 필요한 2차 침전지가 필요치 않으므로 부지면적도 줄일 수 있어 소규모화할 수 있다. 그러나 막여과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막오염(membrane fouling)이라는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어 시스템의 효율과 경제성을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는 앞으로 계속해서 해결해야 할 과 제이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 J. Park and D. S. Kim, "A study on the small sewerage system using SBR process",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4), 427 (2003). 

  2. H. H. Cho and J. T. Kim, "Trends in the technology and market of membrane bioreactor (MBR)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Membrane Journal, 23(1), 24 (2013). 

  3. K. Y. Kim, J. H. Kim, Y. H. Kim, and H. S. Kim, "The Effect of Coagulant on Filtration Performance in Submerged MBR System", Membrane Journal, 16(3), 182 (2006). 

  4. S. G. Kim, H. W. Lee, and Y. J. Kang, "The effect of filling step on the removal efficiency and filtration performance in the operation of submerged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Membrane Journal, 21(3), 263 (2011). 

  5. Y. K. Choi, O. S. Kwon, H. S. Park, and S. H. Noh, "Mechanism of Gel Layer Removal for Intermittent Aeration in the MBR Process", Membrane Journal, 16(3), 188 (2006). 

  6. J. K. Shim and K. Y. Chung, "Application of Membrane Bioreactor in Water Treatment", NICE, 20(6), 721 (2002). 

  7. S. G. Kim and H. W. Lee, "The effect of media on the removal efficiency and filtration performance in the submerged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with media", Membrane Journal, 22(6), 450 (2012). 

  8. B. C. Ma, "Effec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flocs on Membrane Performance in Membrane-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with and without anoxic phase",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2004). 

  9. K. Y. Kim, J. H. Kim, Y. H. Kim, and H. S. Kim, "The Effect of Coagulant on Filtration Performance in Submerged MBR System", Membrane Journal, 16(3), 182 (2006). 

  10. S. J. Kim, D. H. Lee, and H. S. Park, "Removal of Organic and Nutrients in Fish Market Wastewater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1), 46 (2007). 

  11. J. Y. Han, "Removal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Sewage by Change of Operating Conditions on SBR Process", M.S.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si,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1998). 

  12.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 Washington DC. (2005). 

  13. Nagaoak H. and Kudo C., "Effect of loading rate and intermittent aeration cycle on nitrogen removal i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Wat. Sci. Tech., 46(8), 119 (2002). 

  14. H. W. Lee, S. G. Kim, and S. J. Khang, "The Effect of Operation Modes on Filtration Performance and Removal Efficiency in a Flat-Sheet Membrane- Coupled Sequencing Batch Reactor", J. of KSEE, 29(10), 1138 (2007). 

  15. A. L. Lim and R. Bai, "Membrane fouling and cleaning in microfiltration of activated sludge wastewater", J. Membrane Sci., 216, 279 (2003). 

  16. H. S. Kim, H. Katayama, S. Takizawa, and S. Ohgaki, "Development of a microfilter separation system coupled with a high dose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Desalination, 186, 215 (2005). 

  17. J. S. Kim, C. H. Lee, and I. S. Chang, "Effect of pump shear on the performance of a crossflow membrane bioreactor", Water Res., 35(9), 213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