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swallow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electroacupuncture could improve swallow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A pilot double-blin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조군을 설정할 때 연하 전침 치료만의 치료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전침 치료군과 대조군 모두 동일하게 재활 치료실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연하 재활 치료를 받도록 하였으며, 전침 치료군에는 연하 전침을, 대조군에는 위성 전기 치료(Mock Tense) 를 시행하여 적합한 대조군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작위 배정자와 평가자를 분리하고, 평가자와 시술자를 분리한 디자인을 취함으로써 평가자가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최대한 배제하여 기존 연하 장애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풍으로 유발된 연하 장애 환자에게 전침 치료가 유효성이 있는지를 무작위 배정 시험대조군 연구를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치료와의 차이를 알기 위해 전침 치료군과 대조군의 모든 환자들에게 일반적인 연하재활 치료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전침 치료의 유무만으로 차별화하였다. 그러나 피험자의 수가 적었다는 것과 경과 관찰 기간이 짧았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지적되며, 이 것은 한방 병원 병동 규모의 한계, 중풍 환자의 재원일 수 제한으로 인해 퇴원하게 된 것이 큰 영향점으로 사료되며 향후 외래를 통한 피험자 모집을 병행하여 경증의 외래 환자부터 중증의 입원 환자까지 다양한 환자의 경과를 장기간 관찰하는 대규모 임상 시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들은 중풍 후 발생한 연하 장애 환자에게 침과 전침 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무작위배정 피험자-평가자 맹검 임상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풍 환자에서의 폐렴 발생률은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어느정도 되는가? 연하 장애는 급성기 중풍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나타낼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는 기능 장애인데1),3), 급성기 중풍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하 장애의 발생률은 비디오 투시 검사로 조사했을 경우 78%에 이를 정도로 빈도가 높은 증상이다4). 또한 연하 장애는 식이 상태, 영양, 수분 공급 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탈수나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고 사망과도 관계가 깊은데, 중풍 환자에서의 폐렴 발생률은 연하 장애 환자에서 18~19%로, 연하 장애가 없는 경우의 2~8%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은 상대적 위험도를 가진다4).
중풍 후 발생한 연하 장애 환자에 대한 전침 치료의 임상효과를 규명하기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1. 피험자는 전침 치료군 8명, 대조군 9명으로 배정되었으며, 이 중 전침 치료군에서는 7명, 4명이 각각 2주와 4주 후 평가까지 완료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7명, 5명이 각각 2주와 4주 후 평가까지 완료하였다. 2. 피험자의 성별, 연령, 신장, 체중, 혈압, 발병기간, 중풍 유형, 중풍 아형, 중풍 발생 부위, 식이 방법, 피험자 등록시의 DOSS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전침 치료군은 DOSS와 SWAL-QOL에서 2주 후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4주 후 호전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대조군은 DOSS와 SWAL-QOL에서 2주 후와 4주 후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치료 기간에 따른DOSS 변화값을 보았을 때 2주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4주 후 대조군에 비해 호전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NIHSS 와 MBI의 2주 후와4주 후의 치료 경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시험 종료시까지 피험자에게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다.
연하 장애의 특징은? 연하 장애는 급성기 중풍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나타낼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는 기능 장애인데1),3), 급성기 중풍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하 장애의 발생률은 비디오 투시 검사로 조사했을 경우 78%에 이를 정도로 빈도가 높은 증상이다4). 또한 연하 장애는 식이 상태, 영양, 수분 공급 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탈수나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고 사망과도 관계가 깊은데, 중풍 환자에서의 폐렴 발생률은 연하 장애 환자에서 18~19%로, 연하 장애가 없는 경우의 2~8%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은 상대적 위험도를 가진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arik PE, Kaplan D. Aspiration pneumonia and dysphagia in the elderly. Chest. 2003;124: 328-36. 

  2. Mann G, Hankey GJ, Cameron D.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Prognosis and Prognostic Factors at 6 Months. Stroke. 1999;30:744-8. 

  3. Sharma JC, Fletcher S, Vassallo M, Ross I. What influences outcome of stroke-pyrexia or dysphagia? Int J Clin Pract. 2001;55:17-20. 

  4. Martino R, Foley N, Bhogal S, Diamant N. Speechley M, Teasell R. Dysphagia After Stroke Incidence, Diagnosis, and Pulmonary Complications. Stroke. 2005;36:2756-63. 

  5. Dziewas R, Ritter M, Schilling M, Konrad C, Oelenberg S, Nabavi DG, et al. Pneumonia in acute stroke patients fed by nasogastric tub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 2004;75:852-6. 

  6. Langmore SE, Terpenning MS, Schork A, Chen Y, Murray JT, Lopatin D, et al. Predictors of aspiration pneumonia: how important is dysphagia? Dysphagia. 1998;13:69-81. 

  7. Lim KB, Lee HJ, Lim SS, Choi YI. Neuromuscular electrical and thermal-tactile stimulation for dysphagia caused by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e. 2009;41:17-48. 

  8. Long YB, Wu XP. A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acupuncture in treating dysphagia in patients with a stroke. Acupunct Med. 2012;30(4):291-7. 

  9. Gomez-Busto F, Andia Munoz V, Sarabia M, Ruiz de Alegria L, Gonzalez de Vinaspre I, Lopez-Molina N, et al. Gelatinous nutritional supplements: a useful alternative in dysphagia. Nutr Hosp. 2011;26:775-83. 

  10. Seki T, Iwasaki K, Arai H, Sasaki H, Hayashi H, Yamada S, et al. Acupuncture for dysphagia in poststroke patients: a videofluoroscopic study. J Am Geriatr Soc. 2005;53:108-34. 

  11. Seki T, Kurusu M, Tanji H, Arai H, Sasaki H. Acupuncture and swallowing reflex in poststroke patients. J Am Geriatr Soc. 2003;51:72-67. 

  12. Kim TH, Na BJ, Rhee JW, Lee CR, Park YM, Choi CM, et al. The Effect of Moxibustion at Chonjung(CV17, Shanzhong) on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troke. 2005. 

  13. Iwasaki K, Kato S, Monma Y, Niu K, Ohrui T, Okitsu R, et al. A Pilot Study of Banxia Houpu Ta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Reducing Pneumonia Risk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7;55:2035-40. 

  14. Ertekin C, Aydogdu I, Yuceyar N, Kiylioglu N, Tarlaci S, Uludag B.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oropharyngeal dysphagia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Brain. 2000; 123:125-40. 

  15. Kang YW, Na DL, Hahn SH.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Neurol Assoc. 1997;15(2):300-8. 

  16. O'Neil KH, Purdy M, Falk J, Gallo L. The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ysphagia. 1999;14:139-45. 

  17. McHorney CA, Robbins J, Lomax K, Rosenbek JC, Chignell K, Kramer AE, et al. The SWAL-QOL and SWAL-CARE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III. Document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Dysphagia. 2002;17:97-114. 

  18. McHorney CA, Bricker DE, Kramer AE, Rosenbek JC, Robbins J, Chignell KA, et al. The SWAL-QOL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I. Conceptual foundation and item development. Dysphagia. 2000;15: 115-21. 

  19. McHorney CA, Bricker DE, Robbins J, Kramer AE, Rosenbek JC, Chignell KA. The SWAL-QOL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II. Item reduction and preliminary scaling. Dysphagia. 2000;15: 122-33. 

  20. Kasner SE. Clinical interpretation and use of stroke scales. The Lancet Neurology. 2006;5: 603-12. 

  21. Hocking C1, Williams M, Broad J, Baskett J. Sensitivity of Shah, Vanclay and Cooper's modified Barthel Index. Clin Rehabil. 1999; 13(2):141-7. 

  22. Terre R, Mearin F. Oropharyngeal dysphagia after the acute phase of stroke: predictors of aspiration.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8:200-5. 

  23. Barer DH. The natural history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dysphagia after hemispheric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 1989;52: 236-41. 

  24. Smithard DG, O'Neill PA, England RE, Park CL, Wyatt R, Martin DF,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dysphagia following a stroke. Dysphagia. 1997;12:188-93. 

  25. Park CL, O'Neill PA, Martin DF. A pilot exploratory study of oral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 function following stroke: an innovative technique. Dysphagia. 1997;12:161-6. 

  26. Carnaby-Mann GD CM. Examining the evidence o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A meta-analysis. 2007;133:564-71. 

  27. Fraser C, Power M, Hamdy S, Rothwell J, Hobday D, Hollander I, et al. Driving Plasticity in Human Adult Motor Cortex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otor Function after Brain Injury. Neuron. 2002;34:831-40. 

  28. Li KL. Treatment of limb paralysis using low-frequency deep electric stimulation. Med Tr Prom Ekol. 1995;(9):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