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수리나무 임분 내에서 벌채 유형에 따른 조림목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rees following Different Types of Cutting in Quercus acutissima St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6, 2014년, pp.1075 - 1083  

신유승 (청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송선화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양아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황재홍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박용목 (청주대학교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types on microclim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fforested tree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fter different types of cutt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reaching $5.2^{\circ}C$ was shown in between clear cutting an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조림목에 미치는 다양한 벌채양식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비슷한 환경조건에서 다양한 벌채가 행해진 장소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근에 위치하면서 다양한 벌채가 행하여진 보은군 장재리 산지의 조림지를 이용하여 벌채유형별 미기상환경 특성을 명확히 하고, 벌채유형별 상수리나무의 생장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조림목 생장에 유리한 벌채양식 선정과 조림지 환경과 벌채양식에 적합한 조림목 선정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지역은 2006년 전 임분에 식재했던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을 단목택벌(selective cutting; SeC), 대상개벌(strip clear cutting; StC), 모두베기(clear cutting; ClC)의 방법으로 벌채한 후 2006년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를 조림한 지역이다(Table 1). 본 연구는 이들 벌채지역 중에서 벌채유형에 따른 특성이 잘 나타나는 조림지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두베기의 단점은 무엇인가? 벌채는 산림경영의 중요한 과정으로서 임업의 기초로서 지금까지 대부분의 벌채는 목재생산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벌채 양식인 모두베기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모두베기의 경우, 작업효율과 경제적으로는 유리하지만 벌채 후 급증하는 일사량으로 토양수분의 건조와 강한 직사광으로 인한 생장 장해로 조림목의 초기 생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급격하게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서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림 생태계의 큰 변화를 유발시킨다(Park 등, 2010; Shin과 Kim 2006). 최근 들어서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생물다양성 관리와 같은 산림자원의 관리와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산림기능과 같은 공익적 기능이 강조되어 산림고유의 생물다양성 유지와 회복에 기여하면서 주변의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개념의 다양한 벌채양식이 주목받고 있다(Arnott와 Beese, 1997; Drever, 2000; Garrod 등, 1997; Gastaldello 등, 2007; Karlsson과 Nilsson; 2005; Shin과 Chang, 2006).
목재생산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벌채 양식은 무엇인가?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 인공림의 약 60%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이 차지하고 있으며, 목재생산과 산림의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규모의 벌채가 행하여지고 있다(Lee, 2013). 벌채는 산림경영의 중요한 과정으로서 임업의 기초로서 지금까지 대부분의 벌채는 목재생산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벌채 양식인 모두베기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모두베기의 경우, 작업효율과 경제적으로는 유리하지만 벌채 후 급증하는 일사량으로 토양수분의 건조와 강한 직사광으로 인한 생장 장해로 조림목의 초기 생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급격하게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서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림 생태계의 큰 변화를 유발시킨다(Park 등, 2010; Shin과 Kim 2006).
사방사업과 조림사업 당시 조림한 나무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황폐한 산림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사방사업과 조림사업을 시작으로 1960년대부터 다양한 정부차원의 정책들을 시행하여 왔다(Lee, 2013). 이 당시의 대표적 사업이 산림녹화 사업으로, 이때에는 척박한 토양에도 잘 자라는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등을 산지에 조림하였다.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 인공림의 약 60%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이 차지하고 있으며, 목재생산과 산림의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규모의 벌채가 행하여지고 있다(Le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nott, J. T., Beese, W. J., 1997, Alternatives to clearcutting in BC coastal montane forests, For. Chron., 73, 670-678. 

  2. Chapin, E. S., Bloom, A. J., Field, C. B., Waring, R. H., 1987, Plant responses to multiple environmental factors, Bioscience, 37, 49-57. 

  3. David, E. Peter, R., 1992, Water relations and gas exchange of Acer saccharum seedlings in contrasting natural light and water regimes, Tree Physiol., 10, 1-20. 

  4. Drever, R., 2000, A cut above: ecological principles for sustainable forestry on BC's coast. Vancouver, B. C., David Suzuki Foundation, 76. 

  5. Garrod, G. D., Willis, K. G., 1997, The Non-use Benefits of Enhancing Forest Biodiversity: A Contingent Ranking Study, Ecol. Eco., 21, 45-61. 

  6. Gastaldello, P., Ruel, J. C., Pare', D., 2007, Microvariations in yellow birch (Betula alleghaniensis) growth conditions after patch scarification, For. Ecol. Manage., 238, 244-248. 

  7. Hsiao, T. C., 1973, Plant response to water stress. Ann. Rev. Physiol., 24, 519-570. 

  8. Karlsson, M., Nilsson, U., 2005, The effects of scarification and shelterwood treatments on naturally regenerated seedlings in southern Weden, For. Ecol. Manage., 205, 183-197. 

  9. Keenan, R. J., Kimmins, J. P., 1993, The ecological effects of clearcutting, Environ. Rev., 1, 121-144. 

  10. Korea Forest Service, 2010, Press release, August 8, 2012. 

  11. Kramer, P. J., 1983, Water relation of plants, Academic press, 489. 

  12. Lambers, H., ChapinIII, R. S., Thijs, L. P., 1998, Plant Physiologacal Ecology, Springer- Verlag, 540. 

  13. Lee, J. Y., 2013,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Forest Administration Paradigm Changes, J. Kor. Policy Studies13, 261-279. 

  14. Noguchi, K., Hirai, K., Takahashi, M., Aizawa, H., 2007, Effects of thinning on aboveground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at a sugi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 in northern Kanto region, eastern Japan, Bulletin of FFPRI, 413, 205-214. 

  15. Shin, Y. K., Chang, C. S., 2006, A Study of Compensation Structure on Forestry Sector as a Public Goo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05. 

  16. Shin, C. S., Kim, H. E., 2006,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after clear-cutting in a coniferous plantation, J. Kor. For. Soc., 95, 501-506. 

  17. Sakuta, K., Tani, S., Inoue, A., Mizoue, S., 2012, Effects of Strip-cutting on Stand Floor Micro Climate and Tree-species Diversity in a Japanese Cypress Plantation, J. Jap. For. Soc., 91, 86-93. 

  18. Park, S. K., Oh, G. K., Shin, H. T., 2010, The effect of light condition change in plantation on vegetation recovery, Proceedings of Annual Meeting of Ecological Society of Korea, 20, 122-126. 

  19. Song, S. W., Hwang, J., Yang, A-. R.,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by regeneration systems of Pinus rigida plantation. Annual co-meeting of Forest Science, 528-529. 

  20. Yang, A-. R., Hwang, J., Song, S. W., Cho, M., 2013, The comparison of soil properties and early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eedlings in harvested L. kaempferi and P. rigida stands, J. Kor. For. Soc., 102, 455-4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