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based on the field tests. METHODS : At first field test,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unnel to wet wall was checked by visual survey. The second and third test, various sensors were installed in concrete or in tunnel, such a...
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based on the field tests. METHODS : At first field test,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unnel to wet wall was checked by visual survey. The second and third test, various sensors were installed in concrete or in tunnel, such as RH sensor, temperature sensor, portable weather station and etc.. And also, test for bleeding and retaining water of concrete were conducted to evaluate environmental effect on concrete pavement. RESULTS : The result of the field experiment for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ndicates that length changes depending on tunnel length, season, and loc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hort tunnel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location near entrance and at center of tunnel. However, in case of a medium and long tunnel, effect of outside environmental condition decreased, when location moved into tunnel center of it. CONCLUSIONS : From the testing results, it can be proposed that optimum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s 60m for a medium and long tunnel, and whole length for a short tunnel.
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based on the field tests. METHODS : At first field test,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unnel to wet wall was checked by visual survey. The second and third test, various sensors were installed in concrete or in tunnel, such as RH sensor, temperature sensor, portable weather station and etc.. And also, test for bleeding and retaining water of concrete were conducted to evaluate environmental effect on concrete pavement. RESULTS : The result of the field experiment for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ndicates that length changes depending on tunnel length, season, and loc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hort tunnel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location near entrance and at center of tunnel. However, in case of a medium and long tunnel, effect of outside environmental condition decreased, when location moved into tunnel center of it. CONCLUSIONS : From the testing results, it can be proposed that optimum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s 60m for a medium and long tunnel, and whole length for a short tunne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터널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양생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인자들을 검토하고 터널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련 인자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터널 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양생제 살포에 대한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함께 세부적인 시공방법 및 관리방안을 현장 기술자에게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터널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양생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인자들을 검토하고 터널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련 인자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터널 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양생제 살포에 대한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함께 세부적인 시공방법 및 관리방안을 현장 기술자에게 제시하기 위함이다.
현장조사는 터널 내에서 양생제를 어디까지 뿌려야 하는지를 정량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총 3회에 걸쳐 이뤄졌다. 조사항목은 앞서 살펴본 ACI에서 제시한 노모그래프에 나타난 대기온도, 상대습도, 콘크리트 온도, 풍속 등과 같은 입력변수 및 그로 인해 발생한 수분증발율 및 블리딩을 조사하였다(KS F 2406, 2009; KS F 2414, 2010).
제안 방법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환경특성 조사방법을 추가하고, 시편을 제작하여 정확한 콘크리트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시공 하루 전 습도센서를 120cm 높이에 설치하고 4cm 바로 아래에 온•습도 센서를 부착한 증발수집기를 설치하였다.
각 터널의 진•출입구 벽면에 이슬이 맺힌 구간의 거리를 조사하였고, 터널 내의 상대습도, 풍속 및 온도를 측정하여 각 변수들간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현장조사는 터널 내에서 양생제를 어디까지 뿌려야 하는지를 정량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총 3회에 걸쳐 이뤄졌다. 조사항목은 앞서 살펴본 ACI에서 제시한 노모그래프에 나타난 대기온도, 상대습도, 콘크리트 온도, 풍속 등과 같은 입력변수 및 그로 인해 발생한 수분증발율 및 블리딩을 조사하였다(KS F 2406, 2009; KS F 2414, 2010). 1차 현장조사에서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다양한 터널 길이에 따른 환경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항목은 앞서 살펴본 ACI에서 제시한 노모그래프에 나타난 대기온도, 상대습도, 콘크리트 온도, 풍속 등과 같은 입력변수 및 그로 인해 발생한 수분증발율 및 블리딩을 조사하였다(KS F 2406, 2009; KS F 2414, 2010). 1차 현장조사에서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다양한 터널 길이에 따른 환경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터널 내에서 양생제 살포에 대한 1차 현장조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 3차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현장조사에서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다양한 터널 길이에 따른 환경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터널 내에서 양생제 살포에 대한 1차 현장조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 3차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환경특성 조사방법을 추가하고, 시편을 제작하여 정확한 콘크리트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환경특성 조사방법을 추가하고, 시편을 제작하여 정확한 콘크리트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일련의 시험 및 분석을 통해 터널 입구로부터 얼마만큼의 거리까지 양생제를 살포해야하는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 조사에서는 현장의 터널 내 양생제 살포 현황을 파악하고, 웨더스테이션을 설치하여 환경 인자들을 측정하였다. 여름에는 총 16개의 터널, 가을에는 총 10개의 터널을 조사하였다.
2차 현장조사는 2011년 5월에 688m의 중터널인 산인 터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현장조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및 조사를 진행하였다. 터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의 특성이 비슷하다고 판단하여 시공구간의 절반 길이에 맞추어 터널 외부, 입구 및 중앙부까지 조사하였다. 대상구간에는 린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였다.
외부와 중앙부에는 추가적으로 웨더스테이션을 설치하였다. 각 측정지점에서 콘크리트 시편 2개를 제작하여 초기 무게를 측정하고, 이후 무게 감량을 통해 수분증발량을 산출하였다. 콘크리트의 블리딩 측정은 0m~18m 타설시점에 직경 29.
5cm 원형통 시편 2개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풍속은 휴대용 웨더스테이션을 활용하여 각 지점의 50cm 높이에서 측정하였고,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및 시편온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한 지점에서 5번씩 측정하여 산술평균을 통해 측정결과를 산출하였다.
풍속은 휴대용 웨더스테이션을 활용하여 각 지점의 50cm 높이에서 측정하였고,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및 시편온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한 지점에서 5번씩 측정하여 산술평균을 통해 측정결과를 산출하였다. 현장에 사용된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은 각각 3.
3차 현장조사는 2011년 8월 18~19일에 걸쳐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2,211m의 장대터널인 겸백터널에서 광양에서 목포방면으로 2차 현장조사 때와 유사한 항목들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인터널에서와 같이 터널 외부를 비롯하여 입구부터 중앙부까지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대상인 2차로에 린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었으며, 계측 시스템은 산인터널과 유사하다.
출입구를 제외한 터널 내부는 밀폐되어 있고, 직사광선의 영향이 적어 터널 내 대기온도 변화는 1차 현장조사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크고 터널 중앙부로 갈수록 적었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내부에 온도측정 센서(i-Button)를 매설하여 터널 내부에서 대기온도 및 콘크리트 온도변화를 살펴보았다. Fig.
다음으로 터널에서 입구부터 264m까지 상대습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
증발시편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Fig.
풍속은 터널 실외에서부터 터널 중앙부 800m까지 측정하였다. 터널 실외의 풍속 값과 비교했을 때, 터널 입구, 18m 및 중앙지점에서 각각 외부풍속의 60%, 40%, 10%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1차 조사에서는 현장의 터널 내 양생제 살포 현황을 파악하고, 웨더스테이션을 설치하여 환경 인자들을 측정하였다. 여름에는 총 16개의 터널, 가을에는 총 10개의 터널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 시기별로 터널의 길이가 150m를 초과하지 않는 2개의 터널에만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현장조사는 2011년 5월에 688m의 중터널인 산인 터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현장조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및 조사를 진행하였다. 터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의 특성이 비슷하다고 판단하여 시공구간의 절반 길이에 맞추어 터널 외부, 입구 및 중앙부까지 조사하였다.
터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의 특성이 비슷하다고 판단하여 시공구간의 절반 길이에 맞추어 터널 외부, 입구 및 중앙부까지 조사하였다. 대상구간에는 린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였다. Fig.
각 측정지점에서 콘크리트 시편 2개를 제작하여 초기 무게를 측정하고, 이후 무게 감량을 통해 수분증발량을 산출하였다. 콘크리트의 블리딩 측정은 0m~18m 타설시점에 직경 29.5cm 원형통 시편 2개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풍속은 휴대용 웨더스테이션을 활용하여 각 지점의 50cm 높이에서 측정하였고,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및 시편온도를 측정하였다.
3차 현장조사는 2011년 8월 18~19일에 걸쳐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2,211m의 장대터널인 겸백터널에서 광양에서 목포방면으로 2차 현장조사 때와 유사한 항목들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인터널에서와 같이 터널 외부를 비롯하여 입구부터 중앙부까지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산인터널에서와 같이 터널 외부를 비롯하여 입구부터 중앙부까지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대상인 2차로에 린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었으며, 계측 시스템은 산인터널과 유사하다. 터널 입구에서 300m 지점까지는 2011.
성능/효과
여름에는 총 16개의 터널, 가을에는 총 10개의 터널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 시기별로 터널의 길이가 150m를 초과하지 않는 2개의 터널에만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터널의 진•출입구 벽면에 이슬이 맺힌 구간의 거리를 조사하였고, 터널 내의 상대습도, 풍속 및 온도를 측정하여 각 변수들간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18에 시공하였으며, 다음날 1km지점까지 시공을 완료하였다. 시공재료인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은 각각 3.5cm, 5.3%로 기준을 만족하였다. 콘크리트 28일 휨강도는 기준에 모두 부합하였고, 블리딩 측정결과는 산인터널과 유사하였다.
터널 길이별로 건조구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정한 것이 Table 2이다. 터널이 설치된 지역, 설치방향, 콘크리트 타설 시기, 조사시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터널의 입구 혹은 출구로부터 약 40m 정도까지 터널 벽면에 이슬이 맺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은 가을철의 터널 구간에는 신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양생 중임에도 불구하고 벽면에 이슬이 맺히는 구간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 1,400m 터널의 경우, 터널 중앙부에서는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 반면, 150m 터널의 경우, 외부와의 풍속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150m 길이의 터널은 전 구간이 바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고 있었고, 터널 안 상대습도도 실외에 비해 약 5%밖에 높지 않아 콘크리트 포장 표면의 많은 수분 손실이 우려되었다. 반면 1,400m 이상의 장대터널은 진입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후에는 상대습도가 높고 바람이 약하게 불고 있어 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4와 같다. 풍속측정 결과에서의 패턴과 유사하게 500m 이상의 터널에서는 터널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온도가 낮아졌으나, 150m 터널은 상대적으로 그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대부분의 터널은 터널 중앙부로 갈수록 다습한 환경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조사결과, 1.05 습도 비를 초과하는 터널 내 구간(터널 입구로부터 약 40~60m 이상의 위치)에서는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아도 대부분 포장 표면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터널 벽면에 건조구간이 발생하지 않았다. 터널의 길이, 시공시기 및 지역 등에 따라 터널 내 환경이 변화하지만, 1차 육안조사를 바탕으로 150m를 초과하는 길이의 터널은 최소한 출•입구에서부터 약 60m까지는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을 권장한다.
터널 실외의 풍속 값과 비교했을 때, 터널 입구, 18m 및 중앙지점에서 각각 외부풍속의 60%, 40%, 10%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풍속은 1차 및 2차 현장조사의 경우에서와 같이 터널 내부로 들어갈수록 줄어들었다.
특히, 터널 중앙부는 온도편차가 약 2℃ 이내였다. 조사결과, 터널 내 온도는 내부로 들어갈수록 낮아진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하루동안 상대습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터널 외부와 터널 입구에서의 습도변화는 40~50% 이상의 차이가 났고, 18m 이상의 내부에서의 상대습도 변화는 20~30%로 외부보다 적었다. 터널 시공을 하는 동안에 육안조사 결과, 약 60m 지점 이상에서는 터널의 벽면이 젖어 있었다.
10은 각 터널 구간에서의 시간에 따른 누적 수분증발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터널 외부 및 입구에서의 수분증발량이 컸으며, 타설 후 약 3시간 후에 가장 큰 증발량이 나타났다. 터널 중앙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적 증발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2. 터널 내 환경조건을 조사결과와 현장의 여건을 종합한 결과, 150m를 초과하는 터널은 최소한 출•입구 60m 구역까지는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이, 150m 길이의 터널은 전구간에 걸쳐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이 콘크리트 포장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1. 길이가 150m 초과하는 터널은 터널 내부로 갈수록 상대습도는 증가하였다. 장대터널의 경우, 터널은 중심부의 상대습도가 95%까지 증가하였으며, 콘크리트 포장을 시공 중인 터널의 경우는 콘크리트 수분으로 인해 터널 내부가 시공 및 양생기간 동안에 항상 상대습도가 높았다.
3. 대체적으로 터널 내 환경특성 조사에서도 500m 이상의 터널에서는 중앙부로 가까워질수록 바람이 거의 불지 않았으며, 온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150m 터널의 경우, 외부와의 풍속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산인터널 및 겸백터널에서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36m 이상의 깊이에서 하루동안의 상대습도 변화는 터널 외부에 비해 약 30% 수준이었다. 또한 외부 및 출입구는 하루 중 온도변화도 터널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5. 콘크리트 타설 후 4시간 동안에 터널 전구간에서의 수분증발량과 블리딩량을 측정한 결과, 터널 내부 0~54m 지점에서는 수분증발량이 블리딩량보다 크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내 온도, 상대습도, 풍속 등의 환경조건은 터널의 길이, 위치, 조사시점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터널 벽면의 이슬이 맺히는 깊이, 풍속 및 온도, 상대습도 변화, 누적 수분증발량 등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중터널 및 장대터널은 출입구 부분부터 터널 내부로 대략 60m까지, 200m 이하의 단터널에서는 전구간에 걸쳐 양생제를 살포할 것을 제안한다.
터널내 온도, 상대습도, 풍속 등의 환경조건은 터널의 길이, 위치, 조사시점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터널 벽면의 이슬이 맺히는 깊이, 풍속 및 온도, 상대습도 변화, 누적 수분증발량 등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중터널 및 장대터널은 출입구 부분부터 터널 내부로 대략 60m까지, 200m 이하의 단터널에서는 전구간에 걸쳐 양생제를 살포할 것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수분이 손실될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2006). 환경조건에 의해 수분이 손실될 경우 포장체의 강도발현은 저하되고, 블리딩 수의 증발로 인하여 표면의 미세한 요철부에 모세관 장력이 발생하며 이는 수축균열로 이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일반콘크리트 외에 알칼리 실리카반응(ASR) 및 동결융해 등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강도 증진을 위해 플라이애시와 같은 포졸란 재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양생제 살포하는 방법이 우리나라에서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양생제 살포는 햇빛이 비치고 바람이 불며 습도 변화가 일어나는 본선 포장에 초점이 맞춰져 왔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되어 있어 고속도로 건설 시, 터널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국내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터널은 총 708개소로 연장 553km에 달한다. 도로상의 터널 내부는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다습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터널 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본선 포장에 비해 품질관리 및 양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터널 진•출입구 부분은 실외의 직사광선 및 습도 등과 같은 환경조건이 터널 내부와 다르며, 영향을 받는 거리도 터널 길이에 따라 다르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의 양생이란 어떤 과정을 말하는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의 양생은 피막을 형성하는 양생제, 비닐시트, 수분공급 등의 방법을 통해 수분증발을 방지함으로서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콘크리트 초기 품질관리에 있어 중요하다(Dan Y. et al.
참고문헌 (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Standard Specification for Curing Concrete, ACI 308.1-98, 1998.
China Mistry of Transportation, Specification of Construction and Technology for Tunnel (JTC F60), 2009
Dan Y., Anal M., and Dan G. Z.,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 of Concrete Paving Curing Effectiveness,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he Texas A&M University, 2006.
Guangdong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pecification of Construction and Technology for Concrete Pavement in Guangdong, 2010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Specification for Highway Works (Civil Engineering Part), 2009.
KS F 2414, Method of Test for Bleeding of Concrete, 2010.
KS F 2406, Standard Test Method for Water Retention of Concrete Curing Material, 2009.
Mehta P. K. and Monteiro P. J. M. M., Concrete :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The third edition, 200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