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TaO3 단결정 내의 Fe3+ 상자성 불순물 이온에 대한 에너지 준위 계산
Energy Level Calculation of Fe3+ Paramagnetic Impurity Ion in a LiTaO3 Single Crystal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4 no.3, 2014년, pp.71 - 75  

염태호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  윤달호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  이수형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 및 비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도핑된 $Fe^{3+}$ 상자성 불순물 이온의 바닥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LiTaO_3$ 단결정 내에서 육방정계 대칭성을 갖는 $Fe^{3+}$ 이온의 전자 상자성 공명 상수인 분광학적 분리인자 g 및 영자기장 갈라지기 D 값을 이용하여 6개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자기장을 결정학적 주축 ([100], [001], [111])과 나란하게 가하여 자기장을 증가시켜 감에 따라 얻은 에너지 준위 갈라지기는 자기장을 가한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내었다. ${\mid}{\pm}5/2$ > ${\leftrightarrow}{\mid}{\pm}3/2$ >및 ${\mid}{\pm}3/2$ > ${\leftrightarrow}{\mid}{\pm}1/2$ > 사이의 전이에서 계산한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은 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_3$ 단결정과 비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단결정의 경우에 각각 12.300 GHz, 6.150 GHz와 59.358 GHz, 29.679 GHz이다. 결정성장 조건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 state energy levels of the $Fe^{3+}$ paramagnetic impurity ion in stoichiometric $LiTaO_3$ and in congruent $LiTaO_3$ single crystals were calculated with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constants. Energy levels between six energy levels were obtained with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간 LiTaO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Fe3+ 이온을 도핑 시켜서 비정비조성(congruent) 방법[16]과 정비 조성(stoichiometric) 방법[17]으로 성장시킨 두 종류의 LiTaO3 단결정에 대한 Fe3+ 불순물 이온에 대한 전자 상자성 공명 연구가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정비조성 및 비정비조성으로 성장시킨 LiTaO3 단결정에 도핑된 Fe3+ 이온에 대한 전자 상자성 공명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LiTaO3 단결정 내의 Fe3+ 이온의 바닥 상태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고자 한다. 이 계산에서는 두 논문에서 발표된 Fe3+ 이온의 분광학적 분리인자 g와 영자기장 갈라지기(zero-field splitting) 상수를 사용하여 유효 스핀하밀토니안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iTaO3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LiTaO3 는 열에 대한 응력이 크기 때문에 결정육성 도중에 깨지기 쉽고 열전도율이 금속에 비해 작아 성장도중 형상이 고르지 않은 상태로 육성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육성도중 결정내부의 조성 균질화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LiNbO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LiTaO3 단결정에서 Fe3+ 첨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LiTaO3 단결정 내의 불순물 자리와 관련된 정보는 강유전성 결정의 비선형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Fe3+ 첨가는 광굴절 효과에 중용한 역할을 하고 있다[2, 6]. 광굴절 효과에 대해 더 많은 이해를 하기 위해 LiTaO3와 LiNbO3에서 불순물 Fe3+의 결함구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광굴절 효과는 어떤 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LiTaO3(lithium tantalate)와 LiNbO3 (lithium niobate) 단결정은 강유전성, 압전성 및 전기-광학적 성질의 여러 응용으로 인하여 매력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홀로그램 저장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광굴절 효과는 전이금속원소 불순물 같은 결함의 존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6]. LiTaO3 단결정은 1965년 광전(electro-optic) 및 압전(piezoelectric) 소자 응용을 위하여 Czochralski 방법으로 처음 육성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E. Lines and A. M. Glas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 and Related Materials, Clarendon press, Oxford (1977). 

  2. E. Kratzig and R. Orlowski, Appl. Phys. 15, 133 (1978). 

  3. H. Kurz, E. Kratzig, W. K. Keune, H. Engelmann, U. Gonser, B. Dischler, and A. Rauber, Appl. Phys. 12, 355 (1977). 

  4. F. Mehran and B. A. Scott, Solid State Commun. 11, 15 (1972). 

  5. A. P. Pechney, Sov. Phys. Solid State, 27, 923 (1985). 

  6. E. Kratzig and R. Orlowski, Opt. Quant. Elect. 12, 495 (1980). 

  7. A. A. Ballman, J. Am. Ceram. Soc. 48, 112 (1965). 

  8. S. C. Abrahams and J. L. Bernstein, J. Phys. Chem. Solids, 28, 1685 (1967). 

  9. S. Matsumura, J. Cryst. Growth, 51, 41 (1981). 

  10. H. Chen, H. Xia, J. Wang, J. Zhang, J. Xu, and S. Fan, J. Cryst. Growth, 256, 219 (2003). 

  11. D. W. Rudd and A. A. Ballman, Solid State Technology, January, 52 (1974). 

  12. S. W. Ahn, J. S. Kim, S. H. Choh, and T. H. Yeom, J. Korean Phys. Soc. 27, 535 (1994). 

  13. S. H. Choh, T. H. Yeom, and S. W. Ahn, Bull. Mag. Resonance, 17, 198 (1995). 

  14. T. H. Yeom, S. W. Ahn, and S. H. Choh, J. Korean Phys. Soc. 29, 107 (1996). 

  15. T. H. Yeom J. Phys.: Condens. Matter 13, 10471 (2001). 

  16. H. Sothe, L. G. Rowan, and J.-M. Spaeth, J. Phys.: Condens. Matter 1, 3591 (1989). 

  17. S. G. Min, T. H. Yeom, S. H. Lee, M. K. Lee, H. K. Shin, Y. M. Yu, T. H. Kim, and S. C. Yu, J. Korean Magn. Soc. 13, 171 (2003). 

  18. E. Kratzig and O. F. Schimer, in Photo-refractive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Edited by P. Gunter and J. P. Huingnard), Topics in Applied Physics, 61, Springer, Berlin (1988) P. 131. 

  19. B. T. Matthias and J. P. Remeika, Phys. Rev. 76, 1886 (1949). 

  20. S. C. Abrahams and J. L. Bernstein, J. Phys. Chm. Solids 28, 1685 (1967). 

  21. S. C. Abrahams, W. C. Hamilton, and A. Sequeira, J. Phys. Chem. Solids 28, 1693 (1967). 

  22. C. Y. Chen, K. L. Sweeney, and L. E. Halliburton, Phys. Stat. Sol. 81, 253 (1984). 

  23. S. C. Abrahams, E. Buehler, C. Hamilton, and S. J. Laplaca, J. Phys. Chem. Solids 34, 521 (1973). 

  24. S. C. Abrahams, J. M. Reddy, and J.L. Bernstein, J. Chem. Phys. Solids 27, 997 (1966). 

  25. A. Abragam and B. Bleaney,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f Transition Ions, Clarendon Press, Oxford, New York and Dover (1970 and 1986). 

  26. C. Rudowicz, Magnetic Res. Rev. 13, 1 (1987); Erratum: 13, 335 (1988). 

  27. S. K. Misra and C. Rudowicz, Phys. Status Solidi B 147, 677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