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다관측 입출구 유동 특성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Inlet/Outlet Flow Characteristics in Tube-side of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8 no.7 = no.346, 2014년, pp.581 - 588  

도흔승 (경상대학교 대학원 기계항공공학부) ,  왕개 (경상대학교 항공기부품기술연구소) ,  박승하 (동화엔텍(주)) ,  김형범 (경상대학교 대학원 기계항공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다관측 유량의 분배도 향상을 위해 다공성 배플 유무에 따른 입구 및 출구부의 유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원통 및 다관측 유량의 분배성능은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성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실험 연구를 위하여 원형 크기의 1/3로 축소한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고, 60, 80, 90 LPM의 유량 조건에서 다공성 배플의 유무에 따른 다관측의 분배 성능을 입자화상속도기법을 이용한 입구 및 출구부의 속도장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로부터 절대 불균일 분배도를 계산하여 정량적으로 다공성 배플이 유량의 분배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유량에 상관없이 배플을 설치하였을 경우 74%의 절대 불균일 분배도의 감소 효과를 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let/outlet flow in the tube-side of the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was experimentally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orous baffle on uniform flow distribution. A 1/3rd scale-downed model of a heat exchanger was used and particle image velocimetry was applied for measuring th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LNG 공정에서 기화기(vaporizer)(8)로 사용되는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에서의 유량의 불균일 분배를 낮추기 위한 다공성 배플의 효과를 유속 측정을 통해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유량 조건에서 다관측 입구부 전면에 배플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다관측으로 들어가는 입구 유속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절대 불균일 분배도를 계산하여 균일도 향상을 위한 배플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가 고성능의 열교환기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다관측 유량 분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플을 설치한 후 유량을 달리하며 분배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열전달 부위에서의 유량의 균일한 분포는 열교환기 설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가정이다. 이러한 가정은 실제 열교환기에서는 구현되기가 매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량의 불균일 분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러한 가정은 실제 열교환기에서는 구현되기가 매우 어렵다. 유량의 불균일 분포(maldistribution)는 노즐(nozzle), 헤더(header) 및 각종 배관(manifold) 등의 형상 등에 의해 생기는 기계적 요인에 의한 불균일과 열교환기가 작동시, 작동 유체의 점도, 밀도 및 상변화 등과 같은 동작 환경에 기인한 물성 변화로 발생하는 불균일로 크게 구분된다. (1)
판-핀형 열교환기는 무엇에 의해 유량의 균일 분배 성능이 크게 증가하는가? 유량의 불균일 분배가 큰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판-핀형 열교환기에서는 입구부에 설치한 다공성 배플(baffle)에 의해 유량의 균일 분배 성능이 크게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9,10) 반면 NTU가 작은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에서는 원통측 유량의 균일 분배 향상 연구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다 관측의 유량 분배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배플이 없는 일반적인 형태의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바깥쪽 다관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로부터 배플이 없는 일반적인 형태의 원통-다관형 열교환기는 입구측 유동 구조가 충돌 분류의 형태를 가지며 대부분의 유량이 중심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바깥쪽에 위치한 다관에서는 축방향 속도가 음으로 나타나 역류 현상도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ueller, A. C. and Chiou, J. P., 1988, "Review of Various Types of Flow Maldistribution in Heat Exchanger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9, No. 2, pp. 36-50. 

  2. Soltan, B. K., Saffar-Avval, M., and Damangir, E. 2004, "Minimizing Capital and Operating Costs of Shell and Tube Condensers Using Optimum Baffle Spacing,"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4, pp. 2801-2810. 

  3. Roetzel, W., Na Ranong, R, C. and Fieg, G., 2011, "New Axial Dispersion Model for Heat Exchanger Design," Heat and Mass Transfer, Vol. 47, No. 8, pp. 1009-1017. 

  4. Wang, J., 2008, "Pressure Drop and Flow Distribution in Parallel-Channel Configurations of Fuel Cells: U-type Arrangement," Int. J. of Hydrogen Energy, Vol. 33, No. 21, pp. 6339-6350. 

  5. Vist, S. and Pettersen, J., 2004, "Two-Phase Flow Distribution in Compact Heat Exchanger Manifolds," Exp.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28, pp. 209-215. 

  6. Lalot, S., Florent, P., Lang, S. K. and Bergles, A. E., 1999, "Flow Maldistribution in Heat Exchanger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9, pp. 847-863. 

  7. Pacio, J. C. and Dorao, C. A., 2010, "A Study of the Effect of Flow Maldistribution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Evaporator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40, pp. 3868-3877. 

  8. Lee, J. K. and Oh, H. C., 2008, "Introduction of LNG Regasification Vessel," Daewoo Eng. Tech report, Vol. 24, No. 1, pp. 80-89. 

  9. Wen, J., Li, Y., Zhou, A. and Zhang, K., 2006,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 Patterns in the Entrance of Plate-Fin Heat Exchanger," Int. J.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49, pp. 1667-1678. 

  10. Wen, J. and Li, Y., 2004, "Study of Flow Distribution and Its Improvement on The Header of Plate-Fin Heat Exchanger," Cryogenics, Vol. 44, pp. 823-841. 

  11. Gaddis, E. S. and Gnielinski, V., 1997, "Pressure Drop on The Shell Side of Shell-and-Tube Heat Exchangers with Segmental Baffle," Chem. Eng. and Proc., Vol. 36, pp. 149-159. 

  12. Li, H. and Kottke, V., 1999, "Analysis of Local Shellside Heat and Mass Transfer in the Shell-and-Tube Heat Exchanger with Disc-and Doughnut Baffles," Int. J.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42, pp. 3509-3521. 

  13. Lee, S. J. and Kim, H. B., 1999, "Laboratory Measurements of Velocity and Turbulence field behind the porous fences," J. of Wind Eng. and Ind. Aerodyn., Vol. 80, pp. 311-326. 

  14. Ranganayakulu, Ch. and Seetharamu, K. N., 2000, "The Combined Effects of Wall Longitudinal Heat Conduction and Inlet Fluid Flow Maldistribution in Crossflow Plate-Fin Heat Exchangers," Heat and Mass Transfer, Vol. 36, pp. 247-255. 

  15. Lee, E., Kang, H., Heo, J., Kim, Y., Park, J. and Cho, S., 2011, "Numer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uminum Plate-Fin Heat Exchangers According to the Distributor Aspect Ratio,"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5, No. 8, pp. 805-8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