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부식품제공사업이 저소득층 이용자의 식품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ood Choice Satisfaction and Food Cost Reduction of Food Donation Progra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6, 2014년, pp.152 - 161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양옥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기부식품제공사업은 2013년 3월을 기준으로 총 425개소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사회 저소득층 결식문제 완화를 위한 민간사회안전망의 중추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부식품에 대한 저소득층 이용자의 질적, 양적, 종류측면의 만족정도와 그 요인을 확인하여 기부식품제공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들은 식품질 양 종류의 측면에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에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식품이 저소득층의 식품이용에 기여하고는 있지만, 제공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전월세로 거주하여 별도의 주거비용이 들거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기부식품의 양과 종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제학적 측면에서 월생활비와 월식료품비가 적은 저소득가정의 어려운 경우에 기부식품 질과 양 종류에 만족도가 높았다. 적은 양의 식품지원이라도 이용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부식품 이용특징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결과 푸드마켓을 이용하는 저소득층일수록 기부식품의 양 종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일방적 지원보다는 선택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만족도 개선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기부식품 제공은 식품의 질과 양 종류의 측면에서 저소득층의 식품이용만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식품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analyze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kinds's satisfaction of donated food of low-income users and to propose reasonable suggestions to food assistant polic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level of quantitative is the lowest. Second, the quantita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부식품제공사업에 대한 저소득층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식품의 질·양·종류의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하고 요인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부식품제공을 받은 저소득층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그 요인을 확인하였다.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의 기부식품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기부식품에 대한 저소득층 이용자의 만족정도와 그 요인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지역 푸드뱅크 및 푸드마켓을 방문하는 이용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부식품제공사업에 대한 저소득층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식품의 질·양·종류의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하고 요인을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기부식품의 새로운 제공방식으로 푸드뱅크의 대안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확대가 예상되는 푸드마켓을 이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비교평가함으로써 우리나라 기부식품지원정책에 대한 합리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기부식품 이용자의 품질·양·종류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경제적 특성에 따라 기부식품 이용자의 품질·양·종류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기부식품이용 특성에 따라 기부식품 이용자의 품질·양·종류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4.일반적 특성,경제적 특성,이용기관특성이 이용자의 품질·양·종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드뱅크 운동은 1967년 미국에서 무슨 이름으로 시작되었나요? 이러한 푸드뱅크 운동은 1967년 미국에서 Second Harvest(제2의 수확)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1981년 캐나다, 1984년 프랑스에서 도입하였으며 1986년에는 유럽 푸드뱅크연맹이 설립되어 각 국가별로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보편적인 운동으로 발전해오고 있다[12].우리나라는 초기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라는 환경문제 차원에서 도입되었으며[13],1998년보건복지부가 서울,과천,대구,부산의 4개 지역에 푸드뱅크 사업을 시범운영하였고 같은해 6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푸드뱅크사업에 관한 타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14].
복지부가 정의한 푸드뱅크란 무엇인가요? 기부식품제공사업의 시작인 푸드뱅크에 대해 정무성외[9]는 식품제조기업,물류업체,요식업체,제과점,개인 등 다양한 기탁처로부터 잉여식품을 제공받아,빈곤계층 및 단기 혹은 장기적 결식대상자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복지프로그램으로 정의하고 있으며,복지부[5]는 식품의 제조·유통·판매·이용과정에서 발생한 여유식품을 우리 주위의 어려운 이웃에게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저소득 취약계층의 결식문제를 완화하고 식품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사업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푸드뱅크는 기탁품 제공방식에 있어 이용자의 욕구를 고려하지 않는 공급자 중심의 일괄기탁과 일괄배분으로 인해 수혜자의 필요와 선호도의 미반영에서 오는 낙인감과 자괴감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푸드마켓을 운영하게 되었다.
푸드뱅크 사업의 여러 가지단점 중 하나는 무엇인가요? 기부식품제공사업의 시작인 푸드뱅크에 대해 정무성외[9]는 식품제조기업,물류업체,요식업체,제과점,개인 등 다양한 기탁처로부터 잉여식품을 제공받아,빈곤계층 및 단기 혹은 장기적 결식대상자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복지프로그램으로 정의하고 있으며,복지부[5]는 식품의 제조·유통·판매·이용과정에서 발생한 여유식품을 우리 주위의 어려운 이웃에게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저소득 취약계층의 결식문제를 완화하고 식품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사업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푸드뱅크는 기탁품 제공방식에 있어 이용자의 욕구를 고려하지 않는 공급자 중심의 일괄기탁과 일괄배분으로 인해 수혜자의 필요와 선호도의 미반영에서 오는 낙인감과 자괴감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푸드마켓을 운영하게 되었다. 수혜자 중심의 푸드마켓사업은 잉여식품 등의 효과적 활용을 통하여 음식물의 낭비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함은 물론,저소득층의 실질생활비 절감 및 생활고를 완화하고 더불어 사는 복지공동체를 구현함으로써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푸드뱅크의 긍정적 취지와 목적을 담고 있으면서,개인의 욕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푸드뱅크 사업의 여러 가지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계임, 황윤재, 이동소, 식품지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농업전망2013, 2013. 

  2. 이화정, "식품기부사업의 효과성 연구 : 비용편익 분석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2집(2012년 9월), 2012. 

  3. Feed America, Hunger in America 2010 : Executive Summary, 2010. 

  4. 보건복지부, 기부식품제공사업안내, 2013. 

  5. 보건복지부, 기부식품제공사업안내, 2012. 

  6. 이인규, 서울시 푸드마켓 이용자의 만족도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13. 

  7. 박효양, 푸드마켓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08. 

  8. 정기혜, 푸드뱅크(FoodBank)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140, 2011. 

  9. 정무성, 김종승, 양용희, 기업의 식생필품 기탁참여 활성화 방안-푸드뱅크사업을 중심으로, 서울: 전국푸드뱅크, 2004. 

  10. 한재랑, 지역사회조직화의 실천사례에 관한 연구 : 관악사회복지의 네트워크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서강대 석사논문, 2000. 

  11. 유주현, 인천광역시 푸드뱅크 사업의 기업기탁 증대방안 연구, 인천대 석사논문, 2010. 

  12. 정무성, 푸드뱅크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세미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3. 유기영, 음식물쓰레기 감량 및 자원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7. 

  14. 정기혜, 박수천, 김영래, 푸드뱅크의 정착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15. 홍민아, 조미나, 강혜승, 양일선, "정부주도형 및 민간주도형 푸드뱅크(foodbank)사업의 운영형태 및 특성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1권, 제5호, 2006. 

  16. 최일섭,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 출판부, 2000. 

  17. 한국사회복지협의회(http://kncsw.bokji.net) 

  18. 정기혜, "푸드뱅크(Foodbank)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제140호(2008년 6 월), 2008. 

  19. 이계임, 황윤재, 이동소, 김가영, 이윤나, 김기량, 식품지원제도 활성화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20. 권순자, 이선영, "대전지역 외식.급식업체의 푸드뱅크 인지도 및 이용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3권, 제6호, 2004. 

  21. 강혜승, 양일선, 이영선, "푸드뱅크(Foodbank) 사업 수혜자의 실태 분석 및 이용편익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8권, 제2호, 2003. 

  22. 신미해, 오상헌, 황대용, 서수석, 김영철, "SNS 특성이 농식품 콘텐츠의 소비자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2012. 

  23. 최철재, "식품소매점 이미지 구성요인과 만족, 신뢰, 충성도 간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2013. 

  24. Feed America, John Cook. K, Jeng, Child Food Insecurity : The Ecomomic Impact on our Nation, May, 2009. 

  25. The Global Food Banking Network, Makinga World of Difference,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