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 시대와 모성의 건강증진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6, 2014년, pp.162 - 173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OECD회원국 가운데 10여년 넘게 지속적으로 합계출산율이 1.3명 미만을 기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2006년부터 정부는 인구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한번 떨어진 출산율은 도무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저출산의 덫'에 빠져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저출산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국가경쟁력은 물론이고 국가의 존속 자체를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학업과 취업으로 인해 여성의 출산이 점점 늦어지고 있으며, 열악한 근로환경에 의해 임신에 부적절한 건강상태를 초래하기도 하므로 가임기 여성과 임산부에 대한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시대에 있어 주요 국제기구와 국가가 추진하는 모성 중심의 건강증진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의 모성 건강증진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건강증진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OECD countries, Korea is the only country which has continuously recorded total birthrate below 1.3 person for over 10 years. Since 2006,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opulation policy in full scale. But, the fertility rate which became low has not shown any sign to go up again. Th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부는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이른바 ‘새로마지(새로 맞이하는 행복한 출산과 노후)플랜 2010’을 수립하여 저출산 극복을 위한 출산지원과 차세대 인구자질 향상 관점에서 모성 건강증진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건강보험제도를 통해서도 자연분만, 모자동실 입원료 및 모유수유 관련 건강보험 수가를 책정하고 모성보호 및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해 수가를 상향 조정한바 있으며 일부 산전검진과 정상 분만에 따른 본인부담금을 면제하는 등 의료 접근성 향상과 형평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 최근에는 2010년 12월에 'Healthy People 2020'이 수립되었는데, 여기에는 가족계획과 아동·청소년의 건강, 건강서비스 사업 등 42개의 사업영역에서 600여개에 달하는 중점과제가 선정되었다. 그리고 모든 인구집단의 건강을 증진함과 동시에 생애의 모든 주기에서 건강한 성장발달과 생활습관, 삶의 질의 향상 등을 총괄목표로 하였다. 이것에 대한 달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인구집단(인종별, 성별, 사회경제적 상태별 등)의 건강격차 및 형평성을 측정하고 육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관련 삶의 질, 만성질환  등을 평가지표를 함께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시대에 있어 주요 국제기구와 국가가 추진하는 모성 중심의 건강증진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 모성을 위한 효과적인 건강증진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 현재 한국 사회는 저출산·고령화로 대표되는 인구현상의 격랑기에 놓여 있어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다[3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의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현상을 고려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모성의 건강증진은 문제 해결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요 국제기구 및 국가에서의 전략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에서의 효과적인 모성 건강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 세계적으로 저출산이 문제되고 있는 가운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인구보건복지연맹(International Planed Population Federation; IPPF)등의 국제기구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 모성의 건강증진에 대한 우수한 평가를 받는 미국과 일본 등의 주요 국가들이 국민의 건강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일반적인 보건정책과 함께 모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추가적으로 어떠한 규정을 마련하고 정책을 추진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 우선, 모성 지원을 위한 대책으로 고령 임신 및 고위험 임산부 건강관리 강화, 분만취약지역 해소를 위한 투자 확대, 불임(난임)부부 임신 및 출산을 위한 의료적·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모성의 건강행위 실천과 주산기 관리를 강화하여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 위험요소를 예방함으로써 건강한 출산을 도모하고 장애발생을 최소화하며, 모성의 사망률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4년 저출산과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한국의 미래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201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19로 나타나 전년보다도 0.1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1], 이것은 OECD회원국들과 비교하여 아주 낮은 수준이다. OECD회원국 가운데 한국, 일본, 스페인, 독일 등의 12개국이 출산율이 1.
신생아 수가 크게 줄고 노인 인구의 비중이 커지면서 생기는 문제는? 이와 같이 신생아 수가 크게 줄고 노인 인구의 비중이 커지면서 정부의 복지지출 부담도 크게 늘어나 국가재정건전성에도 심각한 위협요인이 될 것이다. 청장년층의 연령대 인구가 줄고 고령 인구가 늘어나는 것은 국가의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가 줄어드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저출산이 지속되는 경우를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해왔던 일을 무엇이며 그 효과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OECD국가들은 20세기 초부터 인구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4]. 한국 정부도 2006년부터 저출산 극복을 위해 매년 평균 6조원 이상을 인구정책에 투입하고 있지만, 한번 낮아진 출산율은 요지부동이다. 지금까지 정부는 저출산 대책 예산의 70%를 보육 환경 개선에 집중해 왔고, 2014년에도 보육 관련 예산은 전년도 대비 27.7% 증가한 약 5조 3천억 원이지만, 이러한 대책이 저출산 문제해결에 전혀 효과적이지 못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통계청, 출생.사망통계, 서울: 통계청, 2013. 

    인용구절

    인용 구절

    201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19로 나타나 전년보다도 0.1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1], 이것은 OECD회원국들과 비교하여 아주 낮은 수준이다.

    둘째와 셋째 이상의 자녀를 출산한 여성의 연령도 32.62세와 34.36세로 전년도보다 각각 0.22세, 0.19세 올라갔다[1].

    실제로 2011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신생아 10만명 출생당 임신 중이나 출산 6주 이내에 사망하는 산모의 수를 나타내는 모성사망비는 17.2명이며[1], 이것은 OECD국가 중 1위 인 것으로 나타나 임산부의 건강에 대한 대책 마련이 더욱 시급함을 시사한다2).

  2. W. Lutz, V. Skirbekk, and M. R. Testa, "The Low-Fertility Trap Theory,"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Vol.4, pp.167-192,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한국의 출산율은 유럽이나 일본에서도 볼 수 없었던 'L'자형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한번 떨어진 출산율이 도무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Lutz et al.(2006)[2]가 제기했던 ‘저출산의 덫’에 빠져있다고 볼 수 있는 우려를 낳고 있다1).

  3.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서울: 통계청,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핵심생산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49년의 27.9%에서 증가하여 2006년 42.8%로 정점에 달했지만, 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94년 이후 20년 만에 40% 이하로 내려오게 되었다[3].

    특히, 미국의 여성건강 분야의 기반구조가 가진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여성건강과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의 양성 및 교육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상당히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다[3].

  4. G. Dawson, S. B. Ashman, and L. J. Garver, "The role of early experience in sharping behavioral and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12, pp.695-712, 200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OECD국가들은 20세기 초부터 인구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4].

    미국, 일본 등의 주요 국가들은 산모의 건강과 안전한 출산을 위해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산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임산부를 위한 다양한 조기 예방 의료서비스를 실천하고 있다[4][7].

  5. 조남훈, 새정부 출범에 따른 저출산.고령화 사회 정책 신규과제 발굴,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학업과 경제활동 참여로 출산이 늦어져 임산부 건강 및 태아 이상을 우려하여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심지어 임신과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5][6].

  6. E. Haelterman, R. Qvist, P. Barlow, and S. Alexander, "Social deprivation and poor access to care as risk factors for severe preeclampsia,"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Vol.11, No.1, pp.25-32, 2003.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학업과 경제활동 참여로 출산이 늦어져 임산부 건강 및 태아 이상을 우려하여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심지어 임신과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5][6].

  7. 최정현, 장재선, 김성철, "산모의 직업활동이 태아, 신생아 및 분만방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346-353, 2012.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더욱이 여성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인해 부적절한 건강상태를 초래하기도 하므로[7]가임기 여성과 임산부에 대한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일본 등의 주요 국가들은 산모의 건강과 안전한 출산을 위해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산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임산부를 위한 다양한 조기 예방 의료서비스를 실천하고 있다[4][7].

  8. 김춘숙, 여성의 임신-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국에서도 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고[8][9], 임산부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출산 전 가임기 여성들과 임산부를 위한 임신 및 출산에 대비한 건강관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10].

  9.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 자료 분석: 한국 여성의 임신 및 출산 특성", 육아정책포럼, 제16권, pp.17-24,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국에서도 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고[8][9], 임산부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출산 전 가임기 여성들과 임산부를 위한 임신 및 출산에 대비한 건강관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10].

  10. 이혜정, 이광옥, 신미경, "우리나라 모자보건 정책사업 분석: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81-87, 2009.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국에서도 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고[8][9], 임산부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출산 전 가임기 여성들과 임산부를 위한 임신 및 출산에 대비한 건강관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10].

  11. 이삼식,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저출산이 단기간에 바꾸기 어려운 추세가 되어버린 이상, 물리적·금전적 지원을 통해 보육환경에만 치중되어 있는[11]현재의 인구정책으로는 출산율 제고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고령의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현상을 인식하여 모성의 건강에 대한 투자 등도 함께 고려한 종합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면서 다각적인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2006년부터 ‘난임부부지원사업’을 도입하였고, 출산에 있어서 직접적인 도움이 되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11], 여성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까지는 아니더라도 생식건강에 대한 고려조차도 전혀 없어서 여성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없음은 물론 여성의 건강을 ‘저출산 대응’을 위한 도구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5].

  12. 김동진, "미국 Healthy People 2020의 내용 및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제172권, pp.94-108,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전략의 변화에는 1960년대 이후의 인플레이션과 경기 후퇴로 인한 정부 예산지출의 부담, 건강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의학기술의 획기적 발전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12].

  13. 이정수, 이원철, 이경수, 고광욱, "일본 건강증진 정책 방향: 생활습관병 대책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67-181,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정책에서 목표설정이나 검진서비스 등의 보건정책을 시행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과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나온 결과에 따라 시행해야 한다는 인식 즉, 근거중심보건의료(EBH; Evidence Based Healthcare)의 생각이다[13].

  14. Tanji Hohi, "일본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전 략:Health Japan21",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55-88,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일본 21’은 건강을 증진하여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정부뿐만 아니라 파트너십으로 대표되는 각종 단체의 기능을 활성화시킴으써 건강한 사회 구현을 위한 환경을 적극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다[14].

  15. 신윤정, 최근 일본의 저출산 대책과 시사점. 제5 차 저출산대책 포럼 자료집, 서울: 보건복지부,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과제에서는 저출산 대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미래를 짊어질 아이들을 보호하고 키우는 사회구축’을 비전으로 제시함으로써 저출산 정책 추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15].

  16. 이상영,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총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심혈관 질환, 각종 암 등의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국민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됨에 따라 예방을 중심으로 한 보건정책과 사업이 더 절실히 요구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16].

  17. 최은진, "건강잠재력 확충을 위한 건강관리체계 강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166권, pp.37-47,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계획의 비전은 ‘온 국민이 함께 만들고 누리는 건강세상’으로 각 구성원의 적극적인 자기건강관리 참여를 도모하며, 건강은 국민의 기본권으로서 평등하게 누릴 수 있다는 개념이 적용되고 있어[17]궁극적으로 건강수명의 연장과 건강 형평성의 제고를 지향한다.

  18. 김혜영, 선보영, 김상돈,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러나 가임기 여성들이 확대된 건강지원정책에 느끼는 정도는 아직 미흡하다.저출산 문제와 관련하여 여성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복수응답 허용)를 한 결과, 교육정책의 개선(45.2%)과 출산관련 복지혜택 강화(40.9%)등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18].

  19. 보건복지부,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인공임신중절률은 2008년 21.9건에서 2010년에는 15.8건으로 나타나 약 28% 감소한 것이다[19].

  20. 신희정,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11-321, 2013.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한국은 보건의료시설, 재화, 서비스 측면은 OECD회원국 중에서 높은 수준이지만, 보건의료의 공공성이 낮고 국민의 경제적 부담이 아직 크게 작용하고 있어[20]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실천을 도모하는 방안이 더 바람직하다.

  21. J. S. Forsyth, P. Willatts, C. Agostoni, J. Bissenden, P. Casaer, and G. Boeh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in infant formula and blood pressure in later childhood: follow up of a randomised control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6, pp.953-958, 200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세계보건기구는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 향상과 건강불평등을 줄이는 방법으로 모유 수유의 보급률을 늘리는 정책을 권고하는데 모유 수유는 그들의 장기적인 건강보장과 관련되어 있다[21].

  22. NHS CRD, "Promoting the initiation of breastfeeding," Effective Health Care, Vol.6, No.2, pp.1-12, 2000.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히 동료 간 지지 요소를 포함할 경우에는 여성의 모유 수유 개시율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있으며, 성공적으로 모유 수유한 여성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역할 모델이 된다[22].

  23. B. Hamlyn, S. Brooker, K. Oleinnikova, and S. Wands, "Infant feeding 2000: Social Service and Public Safety in Nortbern Ireland," London: The Stationery Office,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스웨덴과 노르웨이 등의 북유럽 국가들은 산후휴가로 여성이 장기간 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유 수유의 개시와 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23].

  24. J. Crofton and D. Simpson, Tobacco: Aglobal threat, Oxford: Macmillan Education,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흡연은 남성은 물론 여성의 생식계 건강을 해치는데 여성 흡연은 비흡연 여성에 비해 1/3이상 임신될 확률이 낮아진다[24].

  25. 서미경, "금연정책의 현황 및 정책과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175권, pp.74-83,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다행히 정부 주도의 흡연예방 및 금연정책을 ‘2010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의거하여 평가한 결과 청소년의 최초 흡연시도 및 매일 흡연을 하는 시작 평균연령의 하향 억제에 대해서는 목표를 달성하여 장기적으로 흡연율 저하를 보일 수 있는 기반은 마련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25].

  26. D. Stanistreet and V. Jeffery, "Injury and poisoning mortality among young men are there any common factors amenable to prevention?," Crisis, Vol.24, pp.122-127, 200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흡연과 함께 문제되는 알코올 섭취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많은 질환과 사망을 야기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사고나 중독으로 인한 사망의 중요한 기여 요인으로 보고 있다[26].

  27. H. Graham and C. Power, "Childhood disadvantage and adult health: A lifecourse framework," London: Health Development Agency,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음주 시작 연령은 생애 알코올 의존율과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고, 알코올 오용의 비용은 반사회적 행동과 건강에 대한 손상, 생식력 손실 등을 포함해 연간 200억 파운드에 달한다는 영국에서의 연구결과가 있다[27].

  28. 오영호, 한국의 건강보험재정의 전망과 대책.운동실천율 제고를 위한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보건복지부, 2012.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히 가임기 여성의 경우 적절한 신체활동은 전반적인 신체능력 향상은 물론 유방암과 자궁암 발생률을 감소를 가져온다[28].

  29. 최은영, 한국의 차별 출산력 분석. 제6차 저출산 대책 포럼 자료집, 서울: 보건복지부,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대도시와 농촌지역 등 지역별 차별 출산력이 뚜렷이 나타나므로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서비스 지원과 그에 따른 대책이 필요하겠지만[29], 필수적인 서비스는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표준화하여 임신한 여성뿐만 아니라 가임기 여성들이 일상에서 건강한 생식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0. W. Allan, Healthy Eating During Pregnancy, The Harvard Medical School,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임신 기간 중 좋은 영양 상태의 중요성에 대해서 일깨워 주는 연구 분야인 ‘태아 프로그래밍’은 산모의 전체적인 건강 상태가 태아의 건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30].

  31. 김영주, 저출산 시대의 임신 전 관리와 태아건강. 제5차 저출산 대책 포럼 자료집, 서울: 보건복지부,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즉 태아기 동안의 영양상태가 한 개인의 두뇌개발과 신체구성의 변화, 각종 질환의 위험 등의 평생건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고, 결국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좋은 영양섭취가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다[31].

  32. L. Myatt, "Placental adaptive responses and fetal programming,"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572, pp.25-30, 20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결국, 태아기 때부터 성인질환이 유래한다는 태아 프로그래밍은 저체중출생아의 적극적인 치료로 성인질환의 다수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줌으로써 현재와 같은 저출산 시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32].

  33. 최세경, 안세영, 신종철, 장동규, "임신 중 우울증상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52권, 제11호, pp.1102-1108,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우울과 불안으로 인하여 증가되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33].

  34. 권미경, "임신 중 우울과 모-태아 상호작용",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16-426, 200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임신 중 우울은 임산부로 하여금 부적절한 산전관리, 영양결핍 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태아의 발달 장애나 조산의 확률이 높아지고, 출산 후 아동의 사회·심리적 기능의 저하와 행동문제의 증가와 연관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후 우울증 등은 생리적 변화나 생물학적 원인보다는 심리·사회적인 원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34]이를 위해 가족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민이 함께 요구된다.

  35. 하정옥,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한국여성학, 제28권, 제1호, pp.35-69, 201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면서 다각적인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2006년부터 ‘난임부부지원사업’을 도입하였고, 출산에 있어서 직접적인 도움이 되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11], 여성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까지는 아니더라도 생식건강에 대한 고려조차도 전혀 없어서 여성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없음은 물론 여성의 건강을 ‘저출산 대응’을 위한 도구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5].

  36. 최령, 황병덕,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31-340,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여성의 연령이 35세가 넘으면서 체외수정으로 인한 임신 성공률이 급속하게 떨어지므로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검진 수검율을 올리면서 가임기 여성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건강검진 항목을 추가하는 등의 실질적인 방법[36]을 통해서 가임기 내지는 결혼 초기에 여성의 생식상태를 미리 검사하여 불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관련 시술을 조기에 시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37. 남은우, "IUHPE의 건강증진 사업 실행을 위한 우선순위 검토",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pp.38-42,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세계보건기구의 제1차 건강증진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발표한 Ottawa Charter에서는 건강증진을 위한 공공정책 개발을 위해 다른 분야와의 협력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37].

  38. 황나미, "건강한 생의 출발을 위한 모성 및 영유아 건강증진정책 방향", 보건복지포럼, 제141권, pp.5-19,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건강증진정책의 민간부문과의 연계는 공공기관의 역량과 가용자원, 서비스의 전문성 등에 따라서 공공과 민간이 각각의 기능을 분담하는 방법을 도입하거나, 민간위탁(Contracting Out), 보조금 지급, 민간서비스 구매권(Vouching)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38].

  39. 이삼식, "인구정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07권, pp.41-52, 2014.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 한국 사회는 저출산·고령화로 대표되는 인구현상의 격랑기에 놓여 있어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다[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