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대결절 음성 중증도에 따른 MDVP와 Praat 프로그램 별 파라미터 차이
Difference in Voice Parameters of MDVP and Praat Programs according to Severity of Voice Disorders in Vocal Nodul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2, 2014년, pp.107 - 114  

심상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김향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재활의학연구소,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김재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  신지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재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DVP and Praat are measured by nine variables in common; F0, jitter local, jitter absolute, jitter relative average perturbation, jitter period perturbation quotient, shimmer local, shimmer dB, shimmer amplitude perturbation quotient, and NHR. In the present study, 30 female subjects were divid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음성장애 중증도 별로 MDVP와 Praat 간 프로그램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정상 성인 음성의 경우 지터, 쉼머 관련 변인들, 그리고 NHR에서 MDVP의 수치가 Praat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대결절 대상자도 중증도와 상관없이 지터 변인들과 NHR에서 MDVP 수치가 Praat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그리고 각 프로그램 내에서 중증도에 따른 음향학적 변인 차이를 확인하여 MDVP와 Praat의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 같은 중증도의 음성을 MDVP와 Praat에서 비교하였을 때 두 프로그램의 어떤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질환, 성별, 연령, 중증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MDVP와 Praat을 이용해 모음 /a/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파라미터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각 프로그램이 음성장애 중증도를 잘 구분할 수 있는지, 각 중증도에 따라 두 프로그램의 음성 분석 수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첫째, 각 프로그램 내에서 음성의 중증도(정상, G1, G2)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대결절 대상자의 음석을 분석을 위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무엇을 얻을수 있는가? 성대결절 대상자의 음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음성을 객관적 수치로 측정 가능하며 대상자에게 음성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2].
성대결절이란 무엇인가? 성대결절은 기능적 음성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성대의 오용 및 남용으로 인하여 주로 성대의 앞쪽 1/3 지점에 발생한다[1]. 성대결절 대상자의 음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음성의 음향학적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은 무엇인가? [2]. 현재 음성의 음향학적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들로는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이하 MDVP), Praat, Dr. Speech, Visi-Pitch, CSpeech, AMPEX, BioVoice 등이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M. K. (2011). Comparison on Frequency of Vocal Misuse and Abuse Behavior in Normal and Vocal Nodules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9), 429-436. (이무경 (2011). 정상 아동과 성대 결절 아동의 음성 오용 및 남용 행동의 발생 빈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429-436.) 

  2. Silva, D. G., Oliveira, L. C. & Andrea, M. (2009). Jitter estimation algorithms for detection of pathological voices. 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9. 

  3. Yoo, J. Y., Jeong, O. R., Jang, T. Y. & Ko, D. H. (2003). A correlation study among acoustic parameters of MDVP, Praat, and Dr. Speech. Speech Sciences 10(3), 29-36. (유재연, 정옥란, 장태염, 고도흥 (2003). MDVP와 Praat, Dr. Speech간의 음향학적 측정치에 관한 상관연구. 음성과학 10(3), 29-36.) 

  4. Manfredi, C., Bocchi, L. & Cantarella, G. (2009). A multipurpose user-friendly tool for voice analysis: application to pathological adult voices.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4(3), 211-219. 

  5. Ko, D. H., Jeong, O. R. & et al. (2001). Manual of speech and language acoustic analysis programs. Seoul: Hankukmunhwasa. (고도흥, 정옥란 외 (2001). 음성 및 언어 분석기기 활용법. 서울: 한국문화사.) 

  6. Maryn, Y., Corthals, P., De Bodt, M., Van Cauwenberge, P. & Deliyski, D. (2009). Perturbation measures of voic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and praat.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1, 217-226. 

  7. Lieshout, P. (2004). Praat short tutorial.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8. Oguz, H., Kilic, M. A. & Safak, M. A. (2011). Comparison of results in two acoustic analysis programs: praat and mdvp. Turkish Journal of Medical Sciences 41(5), 835-841. 

  9. Amir, O., Wolf, M. & Amir, N. (2009). A clinical comparison between two acoustic analysis softwares: MDVP and Praat.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4(3), 202-205. 

  10. Ueng, S. K., Luo, C. M., Tsai, T. Y. & Chang, H. (2012). Voice quality assessment and visualization.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lex, Intelligent, and Software Intensive Systems (CISIS), 618-623. 

  11. Oguz, H., Tarhan, E., Korkmaz, M., Yilmaz, U., Safak, M. A. & Demirci, M. (2007). Acoustic analysis findings in objective laryngopharyngeal reflux patients. Journal of Voice 21, 203-210. 

  12. Ko, D. H. (2003). A study of extracting acoustic parameters for individual speakers. Speech Sciences 10(2), 129-143. (고도흥 (2003). 개별화자 음성파라미터 추출에 관한 연구: 음성파라미터 상관관계 중심으로. 음성과학 10(2), 129-143.) 

  13. Finger, L. S., Cielo, C. A. & Schwarz, K. (2009). Acoustic vocal measures in women without voice complaints and with normal larynxes.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75(3), 432-440. 

  14. Deliyski, D. D., Heather, S., Shaw, K. E. & Maegan, K. E. (2005). Influence of sampling rate on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coustic voice analysi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0(2), 55-62. 

  15. Bielamowicz, S., Kreiman, J., Gerratt, B. R. & Dauer, M. S. & Berke, G. S. (1996). Comparison of voice analysis systems for perturbation measur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26-134. 

  16. Manfredi, C., Giordano, A., Schoentgen, J., Fraj, S., Bocchi, L. & Dejonckere, P. H. (2012). Perturbation measurements in highly irregular voice signals: performances/validity of analysis software tools.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7, 409-416. 

  17. Dejonckere, P. H., Schoentgen, J., Giordano, A., Fraj, S., Bocchi, L. & Manfredi, C. (2011). Validity of jitter measures in non-quasi-periodic voices. part I: perceptual and computer performances in cycle pattern recognition.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6, 70-77. 

  18. Boersma, P. (2009). Should jitter be measured by peak picking or by waveform matching?.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1(5), 305-308. 

  19. McFarlane, S. C., Watterson, T. L. & Von Berg, S. (1999). Behavioral intervention in the presence of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indications, diagnosis, techniques, and interpretation. Phonoscope 2(4), 203-215. 

  20. Jeong, G. E., Kim, S. T., Kim, S. Y., Roh, J. L., Nam, S. Y. & Choi, S. H. (2010). Factors Predictive of Voice Therapy Outcom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21(2), 121-127. (정고은, 김성태, 김상윤, 노종렬, 남순열, 최승호 (2010). 일측성 성대마비 환자에서 음성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21(2), 121-127.) 

  21. Kim, J. O. (2009).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Voices of Korean Normal Adults by Gender on MDV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4), 147-157. (김재옥 (2009). 성별에 따른 한국 정상 성인 음성의 음향학적 평가 기준치. 말소리와 음성과학 1(4), 147-157.) 

  22. Boone, D. R., Mcfarlane, S. C., Von Berg, S. L. & Zraick, R. I. (2009). The voice and voice therapy(8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3. Linville, S. E. (1996). The sound of senescence. Journal of Voice 10(2), 190-200. 

  24.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ger Verlag. 

  25. Bhuta, T., Patrick, L. & Garnett, J. D. (2004).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s. Journal of Voice 18(3), 299-304. 

  26. Uloza, V., Saferis, V. & Uloziene, I. (2005). Perceptual and acoustic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and the efficacy of endolaryngeal phonomicrosurgery. Journal of Voice 19(1), 138-145. 

  27. Dejonckere, P. H., Obbens, C., Demoor, G. M. & Wienecke, G. H. (1993). Perceptual evaluation of dysphonia: reliability and relevanc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45, 76-83. 

  28. Yu, P., Ouaknine, M., Revis, J. & Giovanni, A. (2001). Objective voice analysis for dysphonic patients: a multiparametric protocolincluding acoustic and aerodynamic measurements. Journal of Voice 15(4), 529-542. 

  29. Na, H. (2010). 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s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s nodules patient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나희 (2010). 성대 결절 환자의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양상, 음향학적 특성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Pyo, H. Y., Sim, H. S. & Lim, S. E (2000). The change of correlation between GRBAS scales and MDVP paramet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ngth of voice samples for MDVP analysis. Speech Sciences 7(2), 71-81. (표화영, 심현섭, 임성은 (2000). 음성 Sample의 길이 변화에 따른 MDVP 측정치와 GRBAS 척도 간의 상관관계 변화 비교. 음성과학 7(2), 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