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표지 이해 및 산출 특성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ense Markings in Language Delayed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2, 2014년, pp.123 - 131  

조미옥 (단국대학교 대학원) ,  최소영 (단국대학교) ,  황민아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various tense markings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Thirty children with language delay(LD) and 30 typically developing(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each group, half were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시제 표지의 이해와 산출 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언어연령을 4세와 7세로 나누어 발달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 시제 표지의 산출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형태에 관해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와 그 시사점에 대해 아래에 논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비언어성 지능지수가 70 이상이면서 감각·신경·정서·행동적 결함이 없는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시제 이해와 산출 특성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시제표지의 발달 양상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의 문법형태소 체계는 어떤 특징을 가졌는가? 한국어의 문법 형태소 체계는 그 형태와 복잡성 측면에서 타 언어권과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특히나 관심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는 체언과 결합하는 조사와 서술어에 붙는 어미를 중심으로 문법형태소가 발달되어 있으며, 문장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있어 문법형태소가 어순보다도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 예로 영어를 사용하는 언어장애 아동들이 시제, 인칭과 수의 일치, 단서의 성별과 같은 문법형태소에서 두드러지는 문제를 보이는데 반해(Bedore & Leonard, 1998; Rice & Oetting, 1993), 한국어는 주어의 인칭 및 수에 따른 동사 변화가 없고 단어에 성별 구분이 없지만 다양한 격조사 표지를 사용한 표현이 가능하다.
한국어의 '시제 어미'는 어떻게 나눠볼 수 있는가? 한국어의 시제는 어미, 보조용언, 부사 등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주로 사용되는 시제 어미는 사용 위치에 따라 문장 종결형 선어말어미(‘-었, -았었-, ㄴ/는다, -더, -겠-’ 등)와 관형사형 어말어미(‘-(으)ㄴ', -는, -(으)ㄹ, 던’ 등)로 나눌 수있다(남기심, 2001). 과거 시제로는 완료상 또는 완결의 의미로 해석되는 시제 어미 ‘-었-’이 주로 쓰이고, 현재 시제는 대개 원형으로 나타나지만 선어말어미 ‘-ㄴ/는다’에 의해 표현되기도 하며, 미래 시제를 표시하는 형태소는 ‘-겠-’이나 ‘(으)ㄹ’ 등을 들 수 있다.
언어발달을 하는 아동이 문장을 조합하고 산출하는 과정은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되는가? 일반적인 언어발달을 하는 아동은 한 낱말을 사용하기 시작한 뒤 어휘수가 증가하고 두 낱말을 조합하면서 문장을 산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능어(functional word)인 문법형태소를 습득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문장의 길이를 확장하는데 중요하며, 이러한 속성은 의사소통 기능, 인지발달, 지각의 현저성, 문법적 의미의 복잡성 등의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조명한, 1982). 즉, 문법형태소를 사용한다는 것은 복잡한 문법적 체계와 의미적 관계를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edore, L. & Leonard, L. (1998).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Grammatical Morphology: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1, 1185-1192. 

  2. Cho, M. H. (1982).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of Korean children:strategy model.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조명한 (1982). 한국아동의 언어획득 연구:책략모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3. Han, H. S. (2003).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in Language Delayed Children. Dankook University, Yongin. (한효섭 (2003). 청각장애아동과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문법형태소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Hansson, K. & Nettelbladt, U. (1995).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Swedish Children With SLI.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589-598. 

  5. Hwang, M. (2003).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Impairments. Speech science, 10(3), 47-64. (황민아 (2003).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문법형태소 산출. 음성과학, 10(3), 47-64.) 

  6. Hwang, M. H. (2003). A Longitudinal Study of a Korean Child's Language Development:from 30 to 41 Months. Dankook University, Yongin. (황미하 (2003). 2;6-3;5세 한국아동의 언어습득에 관한 종단적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Jung, K. H. & Pae, S. Y. (2010). The Grammaticality Judgment in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5(4), 619-631. (정경희, 배소영 (2010). 초등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법형태소 판단 능력. 언어청각장애연구, 15(4), 619-631.) 

  8. Kim, E. Y. (2003).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ankook University, Yongin. (김은영 (2003). 학령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비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Kim, J. A. (2002). Production of Connective Endings of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allym University, Chuncheon. (김정아 (2002).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Kim, J. H. (2002). The Development of Connective Endings in 3 to 5-Years-Old Language Delayed Children. Dankook University, Yongin. (김주환 (2002).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3-5세 아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Kim, S. Y. & Pae, S. Y. (2002).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peech Sciences, 9(4), 77-91. (김수영, 배소영 (2002).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특성. 음성과학, 9(4), 77-91.) 

  12. Kwon, D. H. & Jeong, B. S (2000). The Development of Particles in the Normal Children Aged from 2 to 5 Year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9(1), 139-163. (권도하, 정분선 (2000). 2-5세 아동의 조사 발달 연구. 언어치료연구, 9(1), 139-163.) 

  13. Lee, J. M. (2001).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Children with SLI in Sentence Repeti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이정미 (2001). 문장 따라말하기에 나타난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조사처리능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Lee, N. Y. (2004). Producing particles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length of utterance of normal children in the period of basic grammar. Yonsei University, Seoul. (이나영 (2004). 기본문법기 정상아동의 연령과 발화 길이에 따른 조사의 산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Lee, S. B. (1994).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for children. Seoul:Jeongmin. (이승복 (1994). 어린이를 위한 언어 획득과 발달. 서울:정민사.) 

  16. Lee, S. H. (2000). The Acquisition of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in Early Childhood.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1(4), 51-68. (이순형 (2000). 한국아동이 초기에 획득한 문법적 형태소의 종류 및 획득 시기. 한국아동학회지, 21(4), 51-68.) 

  17. Leonard, L. B., & Bortolini, U. (1998). Grammatical morphology and the role of weak syllables in the speech of Italian-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1, 1363-1374. 

  18. Leonard, L., Eyer, J., Bedore, L., & Grela, B. (1997) Three accounts of the grammatical morpheme difficulties of English-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741-753. 

  19. Nam, K. S. (2001). Modern Korean Syntax. Seoul:Thaehaksa. (남기심 (2001). 현대국어 통사론. 서울:태학사) 

  20. Pae, S. Y. (1995).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primary data of diagnosis. Speech therapy specialists training. Seoul:Kore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배소영 (1995). 한국아동의 언어발달: 진단의 일차적 자료. 언어치료전문요원 교육, 서울:한국언어병리학회.) 

  21. Pae, S. Y. (200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Adaptation of MCDI.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8(2), 1-14. (배소영 (2003).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8(2), 1-14.) 

  22. Paradis, J., & Crago, M. (2000). Tense and temporality: A comparison between childr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and children with SL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 834-847. 

  23. Park, J. H. (2001). Cohesive conjunctives in narratives of language delayed and normal children. Ewha University, Seoul. (박주현 (2001). 언어발달지체 및 정상아동의 접속표지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Park, J. H. (2002). The use of case-particles of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nsei University, Seoul. (박정현 (2002). 학령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조사 사용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Plante, E. (1998). Criteria for SLI: The Stark and Tallal legacy and beyon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1, 951-957. 

  26. Rice, M. (2003). A unified model of specific and general language delay: Grammatical tense as a clinical marker of unexpected variation. In Language Competence Across Populations: Towards a Definition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 Levy and J. Schaeffer (eds.), 63-94. Mahwah, NJ: Lawrence Erlbaum. 

  27. Rice, M. & Oetting, J. (1993). Morphological deficit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Evaluation of number marking and agre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6, 1249-1257. 

  28. Rice, M. & Wexler, K. (2001). Test of Early Grammatical Impairment. New York, NY: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29. Rice, R. & Wexler, K. (1996). Toward tense as a clinical marker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 1236-1257. 

  30. Rice, M., Wexler, K. & Cleave, P. (1995).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s a period of extended optional infinitiv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850-863. 

  31. Rice, M., Wexler, K. & Hershberger, S. (1998). Tense over time: The longitudinal course of tense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1, 1412-1431. 

  32. Seo, B. Y. & Joo, Y. H. (1986).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teaching. Seoul: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서봉연, 주영희 (1986). 언어의 발달과 지도.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 

  33. Seo, H. S. & Lee, S. H. (1999). The Development of Connect ive Endings of 2-5 Year Old Norma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4, 167-185. (서희선, 이승환 (1999). 2-5세 정상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4, 167-185.) 

  34. Stark, R. E. &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35. Won, H. M. & Hwang, M. (2005).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ense Markings in 3- to 5-year Old Korean Childre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2(4), 183-195. (원혜미, 황민아 (2005). 3-5세 아동의 시제어미 이해와 산출의 정확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12(4), 183-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