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조명과 인공조명이 병행 적용된 하이브리드 디밍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pplied to Natural Light and Artificial Lighting Hybrid Dimming Control System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4 no.3, 2014년, pp.66 - 74  

성태경 ((주)에이비엠그린텍 기술연구소) ,  이충식 ((주)에이비엠그린텍 기술연구소) ,  김병철 ((주)에이비엠그린텍 기술연구소) ,  정채봉 ((주)에이비엠그린텍 기술연구소) ,  강승훈 (한화건설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Hybrid Dimming control system for Daylighting system is evaluated by accredited tests. The system controls the balance of illuminance of daylight between daylight system and LED light system. It makes the normal illuminance of interior without the effects of wea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 기술은 인공조명 제어분야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어졌지만 태양일주운동하는 태양광의 유입 정도를 실시간 감지하고 이 신호를 인공광원과 연동시켜 제어하는 기술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조명(태양광)과 인공조명(LED)을 센서를 이용하여 동시에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인공광원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설정된 기준조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디밍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를 통해 디밍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자연조명과 인공조명이 병행 적용된 하이브리드 디밍시스템을 소개하고 성능평가를 하였다. 36㎡의 조명면적에 600×300㎜ 크기의 6대의 산광기를 설치하고 실내조도 성능평가를 통한 디밍시스템의 정상 작동여부 및 외부 태양광의 간섭에 대한 주 센서와 보조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밍시스템이란? 디밍시스템은 조명의 밝기를 사용자 환경에 맞추어 빛의 밝기를 조절하여 전력 사용량 절감과 동시에 조명에너지 사용환경을 최적화시키는 제어 솔루션이다.디밍제어 기술은 아크 방전식 전등분야에서 20여년동안 발전해 왔으며,최근 LED용 디밍제어 기술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주광제어 기술의 문제점은? 그러나,주광제어 기술은 태양광을 직접 실내공간으로 유입시켜 조명화하는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태양광을 활용할 수 없는 흐린 날,야간 등에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주광제어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전력소비성수기에 전력수급의 불안정 으로 인한 정전대란 등 어려움을 경험했다.조명관련 소비전력은 대형화,초 고층화되고 있는 현대 건축물을 고려할 때 30% 이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이유로 쾌적한 실내 조명환경을 확보하면서 조명에너지를 절감할수 있는 주광제어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Han. S.P., A Study on Daylighting Control Method for Securing Visual Comfort and Reducing Lighting Loads on Interior Light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6, 2012, pp. 100-105. 

  2. Choi. S.H., Kim. H.B., Gang. S.D., and Nam. S.B., Interior Architectural Lighting, Kimoondang, 2007. 

  3. Park. H.J., Lee. D.H., Lighting Hand Book, Sungandang, 2010.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Environmental Design of Light and Color, Sungandang, 2010. 

  5.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IT-based guidelines for energy saving system, 2011. 12. 

  6. Mis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Development of mutual compensated Illuminiation System with the Artficial lamp and Natural Solar light, Research Repot,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