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도시철도의 표정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데 출입문 폭 확장을 통한 정차시간 단축은 이러한 방안 중 하나이다. 그러나, 출입문 폭을 확장하였을 때 단축되는 승객 승하차시간을 예상하기 위해 적합한 국내 모델과 수식은 아직 수립되지 않은 형편이다. 승하차 동작은 사람의 행동 방식에 영향을 많이 받고 이는 국가 별로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승하차시간에 대한 외국 모델을 따른 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측정 및 실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모델을 세우고 관련 수식과 변수를 유도함으로써 출입문 폭 확장 시 승하차시간 단축효과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scheduled speeds of the urban railways. Reducing the train dwell times by extending door widths is one such method. However, there is thus far no domestic model of boarding and alighting that is appropriate to lead to boarding and al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도시철도 열차의 승하차시간 모델을 설립에 관한 것이다. 실제 노선에서 승하차 시간을 측정하고 데이터 분석과 조정결정계수 비교를 통해 적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 다만, 국내 승객의 승하차 행동 방식이 외국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적합한 모델과 계수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12].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호선 및 분당선 승하차시간 측정결과와 모의실험을 통해 승하차 인원과 출입문 폭에 따른 승하차시간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단, Lin[8]에서는 해당 차량 1량에 대한 전체 승하차 인원 및 재차 인원으로 모델을 설립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출입문 당 인원으로 기준을 세웠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수를 조정하였다. 즉, Green Line의 1량 열차의 출입문이 2개 이므로 2개의 출입문으로 승하차하는 인원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CA, CB는 연구에서 제시된 값에서 2배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차의 정차시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 사전적으로 정차시간은 열차가 역에 정지해 있는 시간으로 정의되며, 열차가 정지하여 열차의 출입문이 열리도록 지령하는 순간부터 열차의 출입문이 닫히고 잠길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15]. 따라서 정차시간 안에 출입문이 여닫히는 시간, 승객이 승하차하는 시간, 출발 신호가 떨어져서 출입문을 닫기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포함된다[14].
도시철도의 출입문 확장 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무엇이 있는가? 또한 도시철도의 표정속도를 증가시켜서 수송분담률을 제고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는데[1-5] 출입문 폭을 확장한다면 승하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6] 정차역이 많은 국내 도시철도에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출입문 확장 시에는 차량의 구조적 안전성과 개폐 동작 시간, 창문 축소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출입문을 적정 수준으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입문 폭이 확장되었을 때 승하차시간 단축효과를 예상하여 적절한 규격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도시철도의 출입문의 폭이 1,300mm로 규정된 것의 근거는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 주요 구간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의 출입문의 폭은 1,300mm로 되어있다. 이는 승객의 표준 체형과 차량의 구조체 안전성을 고려하여 정해진 것이며 전동차 표준사양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규격은 40년 전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 당시의 규격이어서, 현재의 승객의 체형이 훨씬 커졌음을 고려할 때 출입문 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S. Kim, J. Kim, T. Kim, S.S. Park, et al. (2013) Study of the metropolitan rapid transport system to minimize sidetrack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5), pp. 402-409. 

  2. S. Choi, B. Lim, H. Park (2012)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xpress train for the Gimpo city urban railwa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Mokpo, pp. 177-184. 

  3. F. Takayoshi, H. Roh, and G. Kim (2004)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rapid service in urban railwa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Gyeongju, pp. 144-149. 

  4. J. Park, H. Lee, J. Won (2006) A development of optimum operation models for express-rail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4), pp. 679-686. 

  5. K. Sohn (2007) Mixed operation with express train for urban railway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25(5), pp. 195-207. 

  6. S. Oh, H. Jang, H. Shin (2013) A statistical study on doorway flow-time for designing doors of Ui L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2), pp. 144-150. 

  7.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0) Highway Capacity Manual 2000,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8. T. Lin, N.H. Wilson (1992) Dwell time relationships for light rail system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61, pp. 287-295. 

  9. W.H.K. Lam, C.Y. Cheung, and Y.F. Poon (1998) A study of train dwelling time at the Hong Kong mass transit railway system, Journal of advanced transportation, 32(3), pp. 285-295. 

  10. A. Puong (2000) Dwell time model and analysis for the MBTA red lin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s Open Course Ware Project Report. 

  11. S.Y. Kim (2003) Development of dwell time relationship and impaction on line capacity at Seoul Metro, Ma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2. S. Oh (2005) An analysis of the passenger flow time in the congested subway station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Uiwang, pp. 42-49. 

  13. N.G. Harris (2005) Train boarding and alighting rates at high passenger loads, Journal of Advanced Transportation, 40(3), pp. 249-263. 

  14. T. Parkinson and I. Fisher (1996)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Report 13 Rail Transit Capac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p. 38-50. 

  15. N. Baeg and S. Lee (2007) Railroad Dictionary, Golden Bell, Seoul. 

  16. Seoul Metro (2012) The transportation plan of Seoul Metro in 20120, Seoul Metro, Seoul, pp. 143-167. 

  17. S. Shin (2011) Congestion Index of Urban Rail Transit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pp. 9-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