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가속도 계측기의 실시간 자료 전송 Kit 개발
Development of a Kit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data acquired by Earthquake accelerometer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2 = no.24, 2014년, pp.254 - 262  

Heo, Jeongpil (HEESONG GEOTEK Engineering Co., Ltd.) ,  Kim, Kiseog (HEESONG GEOTEK Engineering Co., Ltd.) ,  Lim, Inseub (KIGAM) ,  Jin, Jocheol (KITECH)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지질자원연구원(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은 지진 데이터 연계 및 공유가 용이하도록 KISStool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SStool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자료형식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Kit 개발을 수행하였다. 연구 개발한 Kit는 지진 데이터 변환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기능들은 모듈 단위에서 실시간 기반으로 실행된다. Kit에 내장된 펌웨어는 지진 데이터를 miniSEED와 QSCD20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KISStool 프로그램으로 전송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Kit를 시험해 본 결과, 지진 데이터 변환과 전송 및 저장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전송속도는 기준시스템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펌웨어는 KISStool 프로그램과 호환되지 않는 지진기록계에 내장하여 향후 KISStool 프로그램 연계에 활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형장비의 성능 개선에도 충분히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SStool is developed and established by KIGAM, in order to link and share the earthquake data easily with institutes related, this study includes the development of a KISStool program format and protocol supporting Kit. The Kit has functions such as transforming and sending a seismic data. The fu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진기록계 국산화의 일환으로, KISStool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한 Kit(실시간 지진자료 전송 펌웨어 탑재 Hardware) 개발을 위해 추진되었다. 본 연구로 KISStool 프로그램 연계에 필요한 기능을 가진 Kit 개발에 성공하였다.
  • 본 연구는 지진기록계 국산화의 일환으로, KISStool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한 Kit(실시간 지진자료 전송 펌웨어 탑재 Hardware) 개발을 위해 추진되었다. 본 연구로 KISStool 프로그램 연계에 필요한 기능을 가진 Kit 개발에 성공하였다.
  • 영국 Guralp사는 상용 지진기록계 중 지진 자료 생산계 CMG-DM24와 지진 자료 전송계 CMG-EAM 모델을 공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uralp사의 지진 자료 전송계 CMG-EAM을 대체하는 Kit를 만들었다. 지진 자료 전송계 CMG-EA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UDP 방식으로 지진 자료 전송계 CMG-EAM의 최종 지진 Data만을 수신할 수 있었으나 본 연구에 의해 시리얼 통신(RS232) 방식으로도 지진 자료 생산계 CMG-DM24의 자료를 직접 수신하여 지진 자료를 여러 가지 목적으로 변환하고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진기록계에서 생산된 지진 데이터를 KISStool 프로그램과 호환 가능한 지진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 저장, 전송하는 Kit를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진기록계의 자료 전송계 기능(지진 데이터 포맷 변환, 저장, 전송)을 가지는 Kit 개발이다. Kit 개발 과정에서 지진 자료 전송계의 모듈을 탑재하고 기동하기 위한 하드웨어 장비는 Fig.
  • Kit는 높은 이식성(분리, 결합 및 내장)과 부가적인 기능들(조기경보 상수 적용, 멀티 지진 포맷 변환, 기타 알고리듬 적용 등)을 추가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성능 면에서 기존 지진 자료 전송계의 성능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을 목표로 하였다.
  • 정부는 지진조기경보시스템과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하여 지진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진관측망운영협의회에서의 협의를 바탕으로 각 기관은 지진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하기 위한 체계 구축을 추진하였다. 2001년 3월부터 KISS(Korea Integrated Seismic System)로 명명하여 시험운영을 시작하였고 현재까지 활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 자료 전송계 모듈을 구성하는 모듈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3에 나타난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로 구성된다. 각 모듈들은 시리얼 통신으로 수신한 지진 데이터를 miniSEED와 QSCD20 Format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지진재해는 예측이 가능한가? 자연재해는 인간의 나약함과 부족함을 깨닫게 하는 불가항력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그 중 지진재해는 특히 예측이 불가능하다. 중규모(5.
지진재해로부터 국민들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지진재해로부터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지진발생 상황을 국민들에게 신속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정부는 지진조기경보시스템과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하여 지진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SStool Protocol Description. (2012). KIGAM 

  2. Kim, Sung Kyung, Lee, Jung Mo, and Kim, Jun Kyung. (2001). "Maximum Probal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a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37, No.1, pp.107-114. 

  3. Intruduction and Data format for QSCD20. (2014). KIGAM(http://quake.kigam.re.kr) 

  4. CMG-DM24 Operator's guide, Gulralp System Ltd.(http://www.guralp.com/documents/MAN-D24-0004.pdf) 

  5. the Incorporated Research Institutions for Seismology(IRIS). (2012). "SEED Reference Manual." International Federation of Digital Seismograph Networks Incorporated Research Institutions for Seismology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http://www.iris.edu/dms/nodes/dmc/data/formats) 

  6. Earthworm documentation(http://folkworm.ceri.memphis.edu/ew-doc/) 

  7. Hardkernel co., Ltd.(http://hardkernel.com/main/products/prdt_info.php) 

  8.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otice(http://www.moleg.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