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판 두께와 천공의 위치 및 크기가 근접 결합 급전을 이용한 천공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 Thickness, Perforation Position and Size on the Bandwidth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Proximity Coupled Perforated Microstrip Patch Antenna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무선통신, v.39A no.6, 2014년, pp.310 - 321  

이규훈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  곽은혁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  김부균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사각형 천공이 $2{\times}2$ 배열된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에 근접 결합 급전을 이용하여 기판 두께와 천공의 위치 및 크기가 안테나의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안테나 기판과 급전 기판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방사특성의 저하 없이 대역폭이 증가 되었다. 천공 중심의 위치를 패치 길이 방향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경우 방사특성의 큰 저하 없이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천공 중심의 위치를 패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중심 위치가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작았다. 천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대역폭은 증가되고 방사특성은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substrate thickness, perforation position and size on the bandwidth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proximity coupled perforated microstrip patch antenna (PCPPA) with $2{\times}2$ square perforations inside a patch is investigated. As the thicknesses of antenna substrate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중 대역 안테나 구현 시 개구면을 공유하는 구조를 이용하면 무엇이 가능한가? 이중대역 합성 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antenna, SAR)는 파장이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단일대역 안테나에 비해 목표물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1]. 이중 대역 안테나 구현 시 개구면을 공유하는 구조(shared aperture structure)를 이용하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 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구면 공유 구조의 경우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패치 안테나의 방사 소자 사이에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dipole/slot 안테나를 배열하는 interlaced 안테나 구조가 있으며 [2],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천공(perforated)된 패치 안테나의 내부와 외부에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패치 안테나 배열을 집적하는 구조가 있다[1,3].
이중대역 합성 개구 레이더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중대역 합성 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antenna, SAR)는 파장이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단일대역 안테나에 비해 목표물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1]. 이중 대역 안테나 구현 시 개구면을 공유하는 구조(shared aperture structure)를 이용하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 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shared aperture structure 구조의 종류로는 무엇들이 있는가? 이중 대역 안테나 구현 시 개구면을 공유하는 구조(shared aperture structure)를 이용하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 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구면 공유 구조의 경우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패치 안테나의 방사 소자 사이에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dipole/slot 안테나를 배열하는 interlaced 안테나 구조가 있으며 [2],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천공(perforated)된 패치 안테나의 내부와 외부에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패치 안테나 배열을 집적하는 구조가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L. L. Shafai, W. A. Chamma, M. Barakat, P. C. Strickland, and G. Seguin, "Dual-band dual-polarized perforated microstrip antennas for SAR applications," IEEE Trans. Antennas Propaga., vol. 48, no. 1, pp. 58-66, Jan. 2000. 

  2. R. Pokuls, J. Uher, and D. M. Pozar, "Dual-frequency and dual-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s for SAR applications," IEEE Trans. Antennas Propaga., vol. 46, no. 9, pp. 1289-1296, Sept. 1998. 

  3. S. D. Targonski and D. M. Pozar, "Dual-band dual-polarized antenna element," Electron. Lett., vol. 34, no. 23 pp. 2193-2194, Nov. 1998. 

  4. L. L. Shafai, W. A. Chamma, G. Seguin, and N. Sultan, "Dual-band dual-polarized microstrip antennas for SAR applications," in IEEE Antennas and Propaga. Symp., pp. 1866-1869, Montreal, Quebec, Canada, Jul. 1997. 

  5. D. M. Pozar and S. D. Targonski, "A shared-aperture dual-band dual-polarized microstrip array," IEEE Trans. Antennas Propaga., vol. 49, no. 2, pp. 150-157, Feb. 2001. 

  6. D. M. Pozar and B. Kaufman, "Increasing the bandwidth of a microstrip antenna by proximity coupling," Electron. Lett., vol. 23, no. 8, pp. 368-369, Apr. 1987. 

  7. W. S. T. Rowe and R. B. Waterhouse, "Investigation into the performance of proximity coupled stacked patches," IEEE Trans. Antennas and Propaga., vol. 54, no. 6, pp. 1693-1698, Jun. 2006. 

  8. K.-H. Lee, E.-H. Kwak, and B.-G. Kim, "Characteristics of proximity coupled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various thicknesses of antenna substrate," 2013 IEEK Conf., p. 85, Seoul, Korea, May 2013. 

  9. C. A. Balanis, Antenna Theory, 3rd ed., NY: John Wiley & Sons,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