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1 - 14  

서경민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호용 (동아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이성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권태호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대구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공간변화 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Getis-Ord $G_i^*$ 방법론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0년까지 대구시의 도시성장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구시는 도시성장단계 중에서 역도시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구시는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다핵도시를 지향함으로써 역도시화가 나타난 2000 이후의 도시성장단계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이에 2000년 이후 다핵권역의 세부적인 공간구조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 지가, 고용 요인의 변화를 바키측 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는 다핵화가 진행 중이었으며 도심권역과 칠곡권역은 분산형, 안심 달서권역은 집중형, 성서권역은 집중 분산형태로의 공간구조변화가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다른 도시공간구조를 나타내는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과 개발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Daegu were analyzed connecting with urban planning for efficient urban management. Urban development process from 1970 to 2010 in Daegu was analyzed utilizing Getis-Ord $G_i^*$ methodology, a spatial statistical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공간적 변화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표준편차거리가 증가할수록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며 감소할수록 집중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 지가, 고용의 분포가 집중되는지 분산되는지를 파악하는데 사용하였다. 표준편차거리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식 4).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대구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공간적 변화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지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구 이외의 지가, 고용 요인을 추가하여 요인별 분산과 집중의 세부적 측정에 유용한 바키측정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간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바키측정치에서 나타나는 평균 중심값은 공간중심의 이동패턴을, 표준편차거리는 요인별 집중과 분산 정도를, 편향도는 특정방향의 집중도를 의미한다(표 2).
  • 전체적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는 도시성장단계이론을 바탕으로 국지적 공간 연관성지표를 이용하여 도심과 주변부 인구의 증감을 분석하고, 다핵화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인구·지가·고용지표를 활용하여 도심과 부도심권역의 변화를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 관리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키측정치은 어떤 경우에 유용한가? 바키측정치는 공간적 변수들의 분포특성인 중심, 분산, 발전방향 등을 계산하여 시계열적 변화과정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Kim, 2012). 본 연구에서는 바키측정치를 도심과 부도심 권역의 집중도와 분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활용하였으며, 평균중심을 구하는 방법은 식 (2)와 같다.
국지적 공간 연관성지표란 무엇인가? 국지적 공간 연관성지표(LISA: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는 통계적 분석기법의 추론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국지적 수준에서의 공간적 상관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다. LISA가 클러스터 탐지를 포함한 다양한 탐색적 공간데이터분석(ESDA: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연구에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1990년대 중반부터 인식되었고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최근 대도시는 다핵구조를 지향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대도시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해 다핵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단일도심집중형 개발패턴에서 벗어나 권역별 도시 거주민들의 도시 상업시설이용 및 중심지로의 통근을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기능분산의 효용과 도시 중심지의 업무시설들의 집적이익을 최대로 하려는 기능집중 효용의 총합을 극대화하기 위한 도시공간구조이기 때문이다(Ko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rg, L. van den and L.H. Klaassen. 1987. The contagiousness of urban decline. in: L. van den Berg, L.S. Burns and L.H. Klaassen(Eds). Spatial Cycles. Aldershot: Gower. pp.84-99. 

  2. Berg, L. van den, R. Drewett and L.H. Klaassen. 1982. A Study of Growth and Decline. Oxford: Pegasus. 

  3. Cho, C.B. 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entral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Master Thesis, Univ. of Yeungnam, Daegu, Korea (조창배. 대구시 도시성장과정에서 중심시가지의 공간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Daegu Metropolitan City. 2010. Daegu Statistical Yearbook (대구광역시. 2010. 대구시 통계연보). 

  5. Daegu Metropolitan City. 2012. 2020 Daegu Urban Master Plan (대구광역시. 2012. 2020 대구도시기본계획). 

  6. Getis, A. and A.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189-206. 

  7. Hong, N.H. and M.H. Lee.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 of Seoul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d on land use chang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39-50 (홍남희, 이명훈. 2011.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의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변화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6(1):39-50). 

  8. Jang, Y.H. 2010. Measurement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by the urban sprawl and the compactness growth. Ph.D. Thesis, Univ. of Hanyang, Seoul, Korea (장영호. 2010. 도시의 내연적 성장과 외연적 성장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Jung, C.H., J.H. Yoon and M.H. Choi. 2010. A study on a CBD and sub-CBD policy in Daegu city which made an influence on the urban spatial development: focused at a CBD, sub-CBD and commercial center area pl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e comparison of the accessibility and land price. Jon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11):245-255 (정찬희, 윤재훈, 최무혁. 2010. 대구시 도심.부도심 정책이 도시공간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도심계획 공간구조분석 및 각 생활권 중심지구와의 접근성과 지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6(11):245-255). 

  10. Kim, H.K. 2006.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using GIS: with special reference to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4):204-214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 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204-214). 

  11. Kim, H.Y. 2012. The spatial variation measurement of multi-centric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2):93-103 (김호용. 2012. 부산광역시 다핵구조의 공간적 변동성 측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2):93-103). 

  12. Kim, H.Y., J.S. Kim and S.H. Lee. 2012.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42-54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42-54). 

  13. Kim, J.Y. and Y. Kim. 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e of space structure in Daegu central area. Journal of Residention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9(2):59-71 (김주야, 김영. 2011. 대구시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9(2):59-71). 

  14. Kim, K.Y. 2012. Explor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land pr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8(4):414-432 (김감영. 2012. 대구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414-432). 

  15. Klaassen, L.H. and J.H.P. Paelinck. 1979. The Future of Large Town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1(10):1095-1104. 

  16. Koo, C.E. 2006. The level of multinuclearation by city size. Proceedings of the 2006 Autumn Conference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pp.119-136 (구정은. 2006. 도시 규모에 따른 다핵화 수준에 관한 연구. 2006년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19-136쪽). 

  17. Lee, S.Y. 2003.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renewal of urban central district in Deagu.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4):592-607 (이상율. 2003.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592-607). 

  18. Lever, W.F. 1993. Reurbanization : the policy implications. Urban Studies 30(2):267-284. 

  19. Nam, K.W., I.J. Kang and D.H. Im. 2009.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120-131 (남광우, 강인주, 임두현. 2009.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120-131). 

  20. Nam, K.W., S.H. Lee and C.U. Choy. 2001. A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population growth in Busa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7):257-270 (남광우, 이성호, 최철웅. 2001. 부산시 인구성장의 조정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7):257-270). 

  21. Rerat, P. 2012. The new demographic growth of cities: the case of reurbanisation in switzerland. Urban Studies 49(5):1107-1125. 

  22. Yu, D.H. 2012. A study on geographical pattern of within Daegu. Master Thesis, Univ. of Daegu, Daegu, Korea (유다혜. 2012. 대구시 내부 인구이동의 지리적 패턴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