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중학생의 절망감, 사회심리적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opelessnes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e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6, 2014년, pp.3685 - 3695  

배상윤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과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또한 자살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경인 지역의 4개 중학교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학생 975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5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자살생각은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자살생각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음주경험여부, 취미 및 여가의 충분성, 주관적 건강상태, 학년, 학교폭력 경험, 절망감의 수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수준, 우울수준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절망감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나 우울수준보다는 자살생각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우울수준 및 절망감이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icide ide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hopelessnes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som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975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in area during the period, May $1^{st}$ to Ju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자살생각과 시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밝혀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자살생각과 시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밝혀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살생각과 시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측정 가능하였던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이 상호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한 후, 절망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구모델을 구축하였다. Kim[9]은 고등학생들에게서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 이와 같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는 정신건강 및 심리적 요인에서 자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우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절망감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관련성 및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기존 연구들에서 검증이 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기존연구가 다루지 않고 있는 절망감을 한 요인으로 다루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우울 및 절망감과 자살생각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 자살생각의 원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과 자살예방교육의 활용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는 정신건강 및 심리적 요인에서 자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우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절망감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관련성 및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기존 연구들에서 검증이 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기존연구가 다루지 않고 있는 절망감을 한 요인으로 다루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우울 및 절망감과 자살생각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 자살생각의 원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과 자살예방교육의 활용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자살문제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보면, 개인의 기대와 현실적인 괴리가 초래한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등 정신건강적인 어려움을 겪는 중학생이 절망감이 높아질 때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등 정신건강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중학생이 주변 환경이나 심리적인 요인으로 절망감이 높아지면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망감이란? 절망감은 스트레스 및 우울과 함께 자살문제의 대표적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2]. 절망감은 자신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보고,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정의된다[13]. 절망감이 장기화되고 심화되면 부정적인 자아개념, 활동수준 저하, 흥미상실, 주의집중 곤란, 의욕상실 및 수면장애 등의 심각한 장애가 동반된다[14].
우울이란?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등 정신건강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중학생이 주변 환경이나 심리적인 요인으로 절망감이 높아지면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우울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결과를 의미하며 근심, 침울, 실패감, 상실감, 무기력 및 무가치감 등을 나타내는 정서적인 문제를 의미한다[2].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생각률, 자살계획률, 자살시도율은 어떠한가? 보건복지가족부[1]는 최근 12개월 동안 전국의 중, 고등학교 조사결과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인 자살생각률은 중학생 18.5%, 고등학생 18.0%, 자살계획률은 중학생 7.3%, 고등학생 5.3%, 자살 시도율은 중학생 4.6%, 고등학생 3.5%로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하여 자살 계획 및 자살시도율 뿐만 아니라 자살생각률이 모두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살생각에 대한 조사연구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mental health, the prevalence of suicide plans, ideation and attempts. 2012. 

  2. Beck AT, Weissman A, Lester D, Trexler L.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 Consult Clin Psychol. 42(6):861-865, 1974. DOI: http://dx.doi.org/10.1037/h0037562 

  3. Lee YJ. The effects of suicidal risk factors on suicid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resilienc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9:659-673, 2008. 

  4. Lee ES.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4):576-585, 2007. 

  5. Yoon MS. Suicidal ideation among alcoholics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use. Mental Health & Social Work, 38:113-140, 2011. 

  6. Baumaster RF,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90-113,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97.1.90 

  7. Oh EJ. The effects of a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dysfunctional attitude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of adolescen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10. 

  8. Yoon HW.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isk behavior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youth.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aster's thesis. 2011. 

  9. Kim HS, Kim BS.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2):325-343, 2008. 

  10. Kang SH, Moon ES, Cha M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ife event stres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comparison of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2):277-293, 2011. 

  11. Choi HC, Kim OJ. Exposure to stress, stress generation, and reciprocal effects in adolescent stress and depression. Studies on Korean Youth. 20(3):401-429, 2009. 

  12. Sim MY, Kim K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sex and developmental period.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3):313-325, 2005. 

  13. White JL, The troubled adolescent, New York: Pergamon Press. 1989. 

  14. Beck AT, Steer, Kovacs M, Garrison B. Hopelessness and eventual suicide: A 10-year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hospitalized with suicidal ideation. Am J Psychiatry. 142:559-563, 1985. 

  15. O'Connor RC, Connery H, Cheyne WM, Hopelessness: The role of depression, future directed thinking and cognitive vulnerability. Psycho. Health Med. 5(2):155-161, 2000. DOI: http://dx.doi.org/10.1080/713690188 

  16. Rifai AH, George CJ, Stack JA, Mann JJ, Reynolds CF. Hopelessness in suicide attempters after acute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in late life. Am J Psychiatry. 151(11):1687-1690, 1994. 

  17. Uncapher H, Gallagher-Thompson D, Osgood NJ, Bongar B.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38(1):62-70, 1998. DOI: http://dx.doi.org/10.1093/geront/38.1.62 

  18. Gibbs L, Dombrovski AY, Morse J, Siegle GJ, Houck P R, Szanto K. When the solution is part of the problem: problem solving in elderly suicide attempters. Int J Geriatric Psychiatry. 24(12):1396-1404, 2009. DOI: http://dx.doi.org/10.1002/gps.2276 

  19.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20.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1-19, 1990. 

  21. Beck AT, Steer RA, Manual for the Beck Hopelessness Scale.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 1988. 

  22. Goldberg D.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78. 

  23. Chang SJ.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eoul, p92-143, 2000. 

  24. Weissman MM, Locke BZ.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102:430-431, 1975. 

  25.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3):381-399, 1993. 

  26.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47:343-352, 1979.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47.2.343 

  27. Park BS. The path analysis for mutual relationship of stress and depression that affect the suicidality : comparison of sex and age group.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3):485-521, 2012. 

  28. Kwon JD, Um TY, Kim YJ.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uicide risk among seniors who live alone : The effect of lonel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1):89-114, 2012. 

  29. Hong YS, Jeon SY.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19:25-149, 2005. 

  30. Beck AT.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NY: John Wiley and Sons.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