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유방확대촬영술에서 Air gap technique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for Air Gap Technique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2, 2014년, pp.101 - 107  

김미영 (단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디지털 유방확대촬영술에서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며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촬영조건을 알아보았다. 자동노출방식의 평균유선선량이 수동노출방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노출방식은 그리드(grid) 사용 여부에 따라 평균유선선량과 화질평가에 차이가 많았으나, 수동노출방식은 팬텀영상평가 점수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air gap technique을 사용할 경우 모든 노출방식에서 신호대잡음비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방확대촬영 시 air gap technique을 사용한다면 환자의 평균유선선량을 감소시키고 신호대잡음비를 높여 양질의 화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ptimal exposure condition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to decrease radiation dose and increase image quality of the examinee. Auto mode, the average glandular dose is higher than the manual mode. Average glandular dose and image quality were man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방촬영시에는 대부분 5:1의 이동 격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유방확대촬영의 경우에는 유방과 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 후 air gap technique을 이용하여 산란선을 제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팬텀영상과 피폭선량의 평가를 통해 미세석회화를 발견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확대촬영의 air gap technique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최적의 촬영조건을 설정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고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산란 방지 격자의 사용유무에 따른 팬텀영상을 평가함으로써 air gap technique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국내 유방암 환자 수의 수준은? 한국유방암학회에서 발간된 유방암백서에 따르면 2013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전체 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2010년 현재 유방암은 전체 여성암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방암 환자 수는 1996년에 비해 2010년 약 4.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유방암의 변화 추세는? 4%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방암 환자 수는 1996년에 비해 2010년 약 4.3배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발생률은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의 발생률은 가파른 상승곡선을 띄고 있다1). 조기 유방암을 발견하는 것은 초기 병기진단과 치료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유방암 선별검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유방암 선별검사는 유방암의 조기진단과 사망률 감소를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검사로는 유방촬영술이 있다 특히 디지털 유방촬영술은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가 우수하며 치밀유방의 평가와 미세석회화의 발견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대한유방암학회: 2013 유방암백서통권제1호. 2013. 

  2. Kim MY, Kim HS. The Evaluation of Radiation Dose by Exposure Method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J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5(4), pp.293-298, 2012. 

  3. Kang SH, Chung KY, Kim YS, Choi JS, Lee SS. Pathologic Analysis of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Found on Mammograms: A Review of 77 Case. J Korean Surg Soc. 66(1), pp.5-9, 2004. 

  4. McParland BJ. Image Quality and Dose in Film-Screen Magnification Mammography. Brit J Radiol. 73, pp.1068-1077, 2000. 

  5. Jeon SJ, Kim MJ, Kim EK, Son EJ, Youk JH, Kwak JY et al. Interobserver Variability in th Interpretation of Microcalcification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ies. J Korean Soc Radiol. 63, pp.383-389, 2010. 

  6. Tahoces PG, Vidal JJ. The Classification of Mammographic Breast Parenchymal Pattern. Physics of Medicine and Biology. 40(1), pp.1103-117, 1995. 

  7. Kopans DB, Wood WC. Palpable Breast Masses, The Importance of Preoperative Mammography. JAMA. 246, pp.2819, 1981. 

  8. Tan PH, Ho J TS, Ng EH, Chiang G SC, Low SC, Ng FC, Bay BH. Pathologice-Radiologic Correlations in Screen-Detected 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Findings of the Singapore Breast Screening Project. Int J Cancer. 90, pp.231-236, 2000. 

  9. Kim SH, Kim YM, Chung EA, Yang I, Lee Y, Chung SY. Benign Clustered Microcalcifications on Mammography: Comparison with Malignant calcification. J Korean Radiol Soc. 32, pp.643-647, 1995. 

  10. Han YH, Do YS, Cho BJ, Han H, Choi YH, Park JM et al. Clustered Microcalcifications without Mass on Mammography: Benignancy vs. Malignacy. J Korean Radiol Soc. 35, pp.819-824, 1996. 

  11. Sickles EA. Further Experience with Microfocal Spot Magnification Mammography in the Assessment of Clustered Breast Microcalcification. J Radiology. 137, pp.9-14, 1980. 

  12. Hong SS, Kang KM, Seong MS, Lee JW. Study on Dose and Image Quality by Added Filter and Grid Change when Exam Abdominal Fluoroscopy. Korean J Digit Med. 14(2), pp.47-56, 2012. 

  13. Dance DR, Skinner CL, Young KC, Beckett JR, Kotre CJ. Additional Factors for the Estimation of Mean Glandular Breast Dose Using the UK Mammography Dosimetry Protocol. Phys Med Biol. 45, pp.3225-3240, 2000. 

  14. Supawitoo Sookpeng, Potjana Ketted. Mean Glandular Dose from Routine Mammography. Naresuan University Journal. 14, pp.19-26, 2006. 

  15. GE Medical System: Senographe 2000 D DAP: Quality Control Tests for MQSA Facilities-QC Manual, pp.15-25, 2003. 

  16. Tanaka N, Naka K, Fukushima H, Morishita J, Toyofuke F, Ohki M et al.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with Matched Incident Exposure: Physical Imaging Properties and Detectability of Simulated Microcalcifications. Radiol Phys Technol. 4, pp.156-163, 2011. 

  17. Boyce SJ, Samei E. Imaging Properties of Digital Magnification Radiography. Med Phys. 33(4), pp.984-99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