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임 치료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2, 2014년, pp.163 - 172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of pregnant women who underwent infertility treatment,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etal attachment. Methods: As a correlation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36 pregnant women who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불임 환자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증가추이에 있고 성공적 불임 시술 사례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적 해결방안이 필요한 때에, 산전관리 프로그램 또한 불임 후 임신한 여성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이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불임 시술 후의 태아 안녕 등에 대한 보다 더 풍부한 교육적 정보와 정서관리 및 정보전달체계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임 치료를 통해 임신한 여성이 임신기간 동안 경험할 수 있는 임부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정도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불임 후 임신한 여성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불임 후 임신한 임부를 고려한 산전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배란유도,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과 같은 불임 치료를 통해 임신한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불임 치료를 통해 임신한 여성들의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이들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에의 적응을 돕는 산전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불임 치료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정도가 자연 임부에 비해 비교적 높아 불임의 진단과 치료과정뿐만 아니라 불임 시술에 성공하여 임신한 후에도 건강한 임신 유지와 출산을 위해 이들의 심리정서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가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불임 치료 임부를 대상으로 임부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불임 치료를 통해 임신한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정도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불임 치료 임부들의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우고 향후 이들의 신체적‧정서적 변화와 적응을 돕는 산전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중 스트레스는 어떤 경우에 더 흔하게 나타나는가? 임신 중 스트레스는 자연 임부에 비해 불임 치료 임부에게서 더 높은데[6], 특히 유산을 경험한 불임여성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다음 임신에서도 생길지 모르는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되며[7], 불임 기간 동안 정서적 손상감을 많이 느낀 여성에게서 불임기간의 심리적 고통을 보상받고자 하는 마음이 더 강하게 드러난다[5]. 우울 또한 스트레스와 함께 임신한 여성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증상으로 25.
배란유도의 장점은 무엇인가? 3%씩 증가하여 13~15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가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우리사회의 만혼 경향은 여성의 생식능력 감소로 이어져 불임 여성의 발생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1]. 자연적인 임신이 어려운 상태에서 임신을 목적으로 하는 불임 치료방법은 다양한데, 그 중 배란유도는 시상하부-뇌하수체에 작용해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난포 발달과 성숙을 촉진할 목적으로 제공하는 약물치료법으로 완전한 뇌하수체와 정상적인 난소를 가진 불임 환자에게 적용하는 불임치료의 첫 번째 단계로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에 비해 시간적 · 경제적 · 정서적 · 신체적 소모가 적다[2]. 반면, 배란유도, 인공수정 다음으로 임신시도의 마지막 단계인 체외수정은 연령에 따라 성공률은 차이가 있으나 시술건당 평균 성공률 40% 미만[2], 1회 시도 당 출산율 17.
체외수정의 단점은 무엇인가? 2%[3]에 머물고 있다. 즉, 불임 대상자가 보조생식술을 통해 임신에 성공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적 소모와 신체적 · 경제적 부담이 따르고, 임신과 건강한 출생아 분만이 확실히 보장되지 않으므로 인해 불임 여성의 정신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1]. 불임 치료 과정으로 인한 신체적 ‧ 정서적 부담은 불임 치료의 성공률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1] 불임 치료 성공 후 임신으로 이어진 후에도 잔재하여 건강한 임신 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등 불임 여성의 심리 ‧ 정서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wang N.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161-187. 

  2. Kim YJ, Jee BC, Suh CS, Kim SH. Effects of conversion of infertility treatment on semen quality. Korean Journal of Reproduction Medicine. 2007;34(3):159-166. 

  3. Wang YA, Macaldowie A, Hayward I, Chambers GM, Sullivan EA.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2009 [Internet]. Canberra: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2009. [cited 2013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aihw.gov.au/publication-detail/?id10737420465 

  4. McMahon CA, Tennant C, Ungerer J, Saunders D. 'Don't count your chicken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fter IVF conceptio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999;17(4):345-356. 

  5. Chang EY. Women's experiences of pregnancy after infertility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8. 

  6. Hjelmstedt A, Widstro?m A, Wramsby HM, Collins A. Patterns of emotional responses to pregnancy, experience of pregnancy and attitudes to parenthood among IVF couple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aecology. 2003;24(3):153-162. 

  7. Bennett SM, Litz BT, Lee BS, Maguen S. The scope and impact of perinatal los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05;36(2):180-187. 

  8. Choi SK, Ahn SY, Shin JC, Jang D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52(11):1102-1108. 

  9. Dayan J, Creveuil C, Marks MN, Conroy S, Herlicoviez M, Dreyfus M, et al. Prenatal depression, prenatal anxiety, and spontaneous preterm birth: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women with early and regular care. Psychosomatic Medicine. 2006;68(6):938-946. 

  10. O'Keane V, Marsh MS. Depression during pregnancy. British Medical Journal. 2007;334(7601):1003-1005. 

  11. Covington SN, Burns LH. Pregnancy after infertility. In: Burns LH, Covington SN, editors. Infertility counselling: A comprehensive handbook for clinicians. Pearl River, New York: The Parthenon Publishing Group; 1999. p. 425-447. 

  12. Kang CY, Youn JY. The pregnant woman-fetus interaction and attachment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Studies. 2004; 10:131-147. 

  13. Schore AN. Effects of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on right brain development, affect regulation, and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001;22(1-2):7-66. 

  14. Walker LO, Cooney AT, Riggs MW.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in the 1st trimest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99; 28(6):606-614. 

  15. Yarcheski A, Mahon NE, Yarcheski TJ, Hanks MM, Cannella BL.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 (5):708-715. 

  16. Davies MJ, Moore VM, Willson KJ, Van Essen P, Priest K, Scott H, et al.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the risk of birth defec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2;366(19): 1803-1813. 

  17. Hargreave M, Jensen A, Toender A, Andersen KK, Kjaer SK. Fertility treatment and childhood cancer risk: A systematic meta-analysis. Fertility & Sterility. 2013;100(1):150-161. 

  18. Ahn H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5;15(1):5-16. 

  1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98-113. 

  20. Cranley MS.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1981:30(5):281-284. 

  21. Oh J, Kim YA. A comparative study on acceptance and maintain behavior of pregnancy between natural pregnant and infertility treat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 Child Health. 2008;12(2):155-165. 

  22. Harris DL, Daniluk JC. The experience of spontaneous pregnancy loss for infertile women who have conceived through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Human Reproduction. 2010; 25(3):714-720. 

  23. Ulrich D, Gagel DE, Hemmerling A, Parstor VS, Kentenich H. Couples becoming parents: Something special after IVF?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aecology. 2004;25(2): 99-113. 

  24. Latendresse G. The interaction between chronic stress and pregnancy: Preterm birth from a biobehavioral perspectiv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09;54(1):8-17. 

  25.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26. Cho HJ, Kwon JH. A test of the attachment model of pre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21(4):727-744. 

  27. Pascoe JM, Kototailo PK, Broekhuizen FF. Correlates of multigravida women's binge drinking during pregnancy. A longitudinal study. Archive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Medicine. 1995;149(12):1325-1329. 

  28. Cannella BL. Maternal-fetal attachment: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1):60-68. 

  29. Fisher JR, Hammarberg K, Baker GH. Antenatal mood and fetal attachment after assisted conception. Fertility and Sterility. 2008;89(5):1103-1112. 

  30. Bar-Hava I, Orvieto R, Ferber A, Ashkenazi J, Dicker D, Ben- Rafael Z. Standard in vitro fertilization or intracytoplasimic sperm injection in advanced female age-what may be expected? Gynecological Endocrinology. 1999;13(2):9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